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코인 공부

keplr Wallet mobile (케플러 지갑 모바일) 사용의 모든 것

by 블랙스완 미니 2022. 1. 29.

케플러-모바일-사용방법-모든것
케플러 모바일 사용방법

keplrwallet 모바일로 기존 계정 가져오기 

- keplr Mobile은 플레이스토어(안드로이드)/애플 스토어(ios)에서 모두 다운로드 가능하다. 다운로드 후 새로 만들어도 되고(여러 개 지갑 운영 가능), 렛저 연결, 기존 데스크톱과 동기화해서 사용도 가능하다. 기존 계정을 가져오기 위한 방법은 3가지가 있는데, 

- 동기화된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 
- QR 코드를 통해 keplr 확장을 가져온다. (keplr Extention에 연결된 모든 계정을 한 번에 가져올 수 있음)
- 기존 니모닉 시드 구문을 이용해서 가져온다. 

osmosis와 keplr mobile 연결하는 방법 

 

1. 모바일에서 keplr Wallet 앱에 로그인한다. 

2.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https://app.osmosis.zone/ 을 들어간다. 

3. 왼쪽 하단에 [Connect Wallet] 클릭 (아이폰: 케플러를 열라는 프롬프트에서 [열기] 클릭)

4. keplr 모바일 앱으로 리디렉션 된 후 [승인]을 클릭해서 osmosis 연결 허용

(아이폰: https://app.osmosis.zone/    을 열었던 브라우저로 수동으로 돌아가야 한다. )

 

Osmosis - The Cosmos Interchain AMM

Osmosis is the first IBC-native Cosmos interchain AMM

app.osmosis.zone

오스모시스 연결 후 되돌아가기 (아이폰)

5. 오스모시스로 돌아가서, keplr mobile로 로그인한다. (완료)

케플러를 이용한 거래(Transactions)

1. '메모' 필드 작성 

- keplr와 비슷한 비 거래소 지갑으로 토큰을 보내는 경우, 메모 필드는 선택사항이다. 케플러에서 CEX(Binance 같은 중앙 집중식 거래소)로 토큰을 보내는 경우, 메모가 필요할 수 있고, 대상 거래소 자체에서 제공한다. 

2. 거래 현황, 내역 확인 방법

- 케플러 지갑 내에서는 거래 내역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다. https://mintscan.io 에서 블록 탐색기를 사용해 온체인에서 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 메모하지 않은 상태로, 거래내역 확인이 어려울 때

- 대부분의 거래소에는 메모가 누락된 거래를 복구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포함된 페이지가 사이트에 있다. 일반적으로 계정이 실제 내 것이라는 증거가 필요하다. 그 증거로 블록 탐색기에서 트랜잭션의 스크린숏을 보낼 수 있다. 스크린 숏이 어려운 경우, 메모 필드에 올바른 메모가 포함된 작은 양의 거래를 보내고, 거래를 함께 매핑하도록 요청하는 것이 좋다. 

4. 거래(Transaction)가 실패하는 이유 

1) 거래 수수료가 너무 낮게 설정되어 있고, 거래가 성공했지만 케플러가 거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을 때. 블록 익스플로러에서 주소를 확인하고, 내역이 있다면 다시 시도하기 전에 5~10분 정도 기다려 봐야 한다. 

 

2) 사용 가능한 잔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송금/스테이킹하려고 시도할 때. 또는 거래 수수료를 고려하지 않고 금액을 적었을 때. 총 거래+수수료가 사용 가능한 총잔액보다 적은 지 확인해야 한다. 

 

3) 코인이 잠겨 있거나, 스테이킹 되어 있어서 사용할 수 없거나, 충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위임 취소 및 재위임에 대한 수수료를 충당할 수 없을 때. 

 

※ 위의 3가지가 아니더라도 사람이 많이 몰리는 시간(이자 나오는 시간)이라 늦어질 수 있고, 기다려도 확인이 안 된다면 keplr 고객센터로 채팅을 통해 문의하면 된다. 

5. 502 불량 게이트웨이 페이지가 뜰 때 

- 502 게이트웨이 에러는, 여러가지 이유로 나타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에러 발생 시, 공식 채널을 통해 프로젝트 구성원에게 알리고 팀에서 확인할 시간을 준다. 문제가 keplr 관련인 경우, 채팅창을 통해 문의한다. 

- 블록 높이가 동기화 되지 않았을 때 
- 로드 밸런스가 포워딩을 포착하지 못했을 때 
- 시스템이 재부팅 중 일때

6. 거래가 실패했는 데도 사용 가능 잔액이 감소하는 이유?

- 실패한 대부분의 표준 거래는 선택한 수수료가 너무 낮고, 이것을 처리하는 체인이나 검증자가 요구하는 수수료를 충당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된다. 그러나 체인은 거래를 완료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금액이라도, 거래로 인식하고 입력한 금액을 수수료로 처리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네트워크 표준 요금을 확인해 두는 것이 좋다.  

7. 거래 수수료는 얼마?

- 거래 수수료는,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검증인에게 가는 수수료를 말한다. 각 검증인은 [low] [average] [high] 사이에서 허용하는 최소 수수료를 설정한다. Secret Network와 같이 유효성 검사기의 보급률이 [보통] 또는 [높음]만 허용하는 일부 네트워크에서는, 작업이 실패하고 거래 수수료가 반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Low]를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사용자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더 빠른 거래 처리를 위해 거래 수수료를 높여야 할 수 있다. keplr/Chainapsis는 거래 수수료로부터 이익을 얻지 않는다. 모든 수수료는 거래를 처리한 검증인에게 돌아간다. 

8. 다른 지갑에서 케플러로 입금 후 익스플로러에서는 확인이 되는데 케플러에서 안 뜨는 경우?

- IBC 거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UI 업데이트가 지연될 수 있다. 보낸 쪽에서 거래가 확인됐다면, 해당 거래는 블록체인에 있는 것이며, keplr가 수치를 반영할 때까지 기다리면 된다. 시간 지연이 약간 있을 수 있다. 

위임/스테이 킹 

1. 검증인 선택 기준

1) 자기 보유량이 높을수록, 검증인의 신뢰도는 높아진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검증자가 공정한 태도와 인프라를 안전하게 유지할 모든 이유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2) 수수료를 고려해야 한다. 수수료는 검증자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0~20%이다. 검증자가 서비스에 대해 요구하는 지불금을 나타낸다. 일부 검증인은 커뮤니티에서 매우 활동적이며,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추가 도구를 개발한다. 이것은 부가가치를 가져오지만 검증인과 함께하는 팀의 운영 비용도 증가시킨다. 

 

- 네트워크 성장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검증인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네트워크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수수료를 사용하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가 되기 때문이다. (수수료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텔레그램이나 트위터에서 검증인을 팔로우해서 변경 사항을 최산 상태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3) 검증자에 대한 정보를 알아봐야 한다. 케플러 대시보드[(stake) 섹션 또는 유효성 검사기 이름 이름 옆에 있는 [관리]  버튼 클릭) 또는 Mintscan, BigDipper, Hubble, Aneka, Secret Nodes 및 기타 여러 탐색기를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2. 위임했을 때 스테이 킹 보상/APY는 얼마나 되나?

- 많은 변수가 있어서 다르지만, Staking Rewards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보상 계산기를 사용해서 대략적으로 계산은 가능하다. 스테이 킹된 자산의 양이 증가/감소에 따라 스테이 킹 비율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한다. 

3. 위임했을 때 위험 요소

1) 검증인이 슬래시를 겪을 가능성이 있다. 지분 검증 업무를 제대로 하지 못했을 때의 페널티. 

- 다운타임(지분의 0.01% 감소)
- 이중 사인(지분의 5% 감소)

2) 보상은 언제 지급되나?

- 보상은 블록 단위로 지급된다. '스테이 킹 보상 청구(Claim)' 거래를 사용해서 청구할 수 있는 보류 중인 스테이킹 보상에 누적된다. 

 

3) 얼마나 자주 보상을 청구해야 할까? 

- 얼마나 많은 토큰을 맡기고 있는지, 특정 네트워크의 거래 수수료 등을 포함해서 너무 많은 요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답은 없다. 

 

4) 위임을 취소/재위임하기 전에 보상을 청구하는 것을 잊었는데, 사라진 경우

- 스테이킹 보상은 결합을 해체하거나, 재위임하면 자동으로 청구되고 사용 가능한 잔액에 추가된다. 

 

5) 검증인을 여러 명으로 늘려도 한 번에 청구가 가능한가?

- 가능하다. 대시보드 또는 특정 네트워크의 [지분] 섹션에서 [보상 청구]를 누르면 모든 보상을 한 번에 청구할 수 있다. 

 

6) 재위임은 몇 번이나 할 수 있나? 

- 재위임(검증자를 바꾸는 것)은 최초 1회는 즉시 이루어지지만, 그 이후부터는 21일의 기간 제한이 있다. 이것과는 다르게 토큰 위임(스테이 킹)은 즉시 취소할 수 있지만, 21일의 언본딩 기간 동안 이자를 하나도 못 받게 된다. 

 

※ 날짜 제한 이외 재위임이 안 되는 경우 

- 사용 가능 잔액이 거래 수수료를 충당할 만큼이 되지 않을 때 
- 해당 네트워크에서 거래를 성공시키기에 너무 낮은 수수료를 선택했을 때 
- 토큰이 in [unbonding period] 새로운 토큰을 시작 검증인에 추가한 지 21일이 지나지 않았을 때 
- 재위임한 지 21일이 지나지 않았을 때 

※ 스테이 킹 언본딩 기간은 토큰마다 기간이 다르다. (오스모스:14일, DVPN: 28일 등)

 

7) 보상을 청구하고(Claim) 스테이 킹 하기 위해 더 높은 가스 요금(수수료)을 지불해야 하는 이유는?

- 수수료는 검증인이 설정한다.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을수록 수수료가 더 높을 수 있다. 

거버넌스(Gervernance) 투표

1) 투표 기간에 어떤 거버넌스 제안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 wallet.keplr.app 안에 [거버넌스] 섹션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거나, 케플러 트위터 계정 팔로우, 텔레그램 커뮤니티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거버넌스 제안에 투표하는 방법은?

- 해당 제안을 클릭 후 어떤 것에 대한 투표인지 확인 후 yes, no, abstain, no with veto 중 선택 후 approve를 누르면 반영된다. (토큰에 따라 수수료가 발생될 수 있다.)

 

3) 마음이 바뀌었을 때, 재투표할 수 있나?

- 제안이 아직 투표 기간이라면, 언제든지 재투표할 수 있다. 

 

4) 내 검증인의 투표가 내 투표를 무효화할 수 있는가?

- 정반대의 일이 발생된다. 투표력에 비례해서, 검증인의 투표를 개인의 투표가 덮어쓰게 된다. (백분율은 내가 현재 스테이크에 넣은 토큰을 기준으로 계산됨.) 

 


관련 글: 암호화폐 국내로 옮길 때 알아야 할 4가지 (+ 비트코인의 역할)

관련 글: 바이낸스 (Binance) 마진(margin) 거래 하는 방법 (+ 기본 개념)

관련 글: 코인 스캠(coin scam) 구별하는 방법 (+ 백서 Whitepaper 분석)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