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산세와 종합 부동산세 차이 (+ 입주권/오피스텔 사례) 재산세와 종합 부동산세, 내는 입장에서는 비슷해 보이는데 어떤 게 다를까?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의 차이 - 재산세는 모든 부동산에 대해 시가표준액 전체 금액에 대해 부과된다. 하지만 종합부동산세는, 주택과 일부 토지의 유형별로 과세기준금액 초과 금액에 대해서만 부과된다. 종합 부동산세와 재산세 비슷한 점 - 시기가 아닌, 시가표준액 또는 기준시가로 세금을 부과한다. (용어만 다를 뿐 의미는 같다) 과세는 6월 1일을 기준으로, 부동산 보유 여부를 판정한다. 시가 표준액: 지자체에서 지방세(재산세 등) 부과를 위해 고시 기준시가: 국가에서 국세(종합부동산세 등) 부과를 위해 고시 조합원 입주권에 대한 재산세/종합부동산세 사례 1) 과세기준일(6월1일)에 주택이 멸실되지 않은 상황 -> 주택에 대한 재산세,.. 2022. 7. 17.
금리 인상기 자산 배분은? 요즘 같은 금리 인상 시기. 자산 배분은 어떻게 해야 할까? 금리 상승기 투자 법 - 지금처럼 시장 전망이 불투명한 때일수록, 확실한 정보에 근거해서 움직이고, 하루 사이에도 급등락 하는 수익률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투자 전략을 취해야 한다. 가끔씩 수익률을 확인할 때마다 심리가 불안해지고, 근거 없는 단타 매매를 늘려, 수익률이 더 악화되는 악순환을 방지할 투자철학을 세우는 것이 필수다. 1. 금리에 민감하게 - 상대적으로 공개되는 정보량이 많은 금리 변동에 주목해야 한다. 시중 은행들이 취급하는 예적금/ 대출상품 금리의 경우,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각국 국책은행/정부기관의 정책이 모두에게 공개되고, 이런 정보에 근거해서 금리가 움직이는 방향을 높은 확률로 예측할 수 있다. - 대표적인 공개 정보는, .. 2022. 6. 9.
전직 은행원이 말하는 부자들의 3가지 습관 1. 보험은 부자들을 위한 상품이다. - 대부분 먼 미래의 위험을 대비하기 위해서나 노후를 위해서 보험에 가입한다. 하지만 보험료를 끝까지 납입하는 것부터가 쉽지가 않다. 월급을 쪼개서 보험료를 내다가, 돈이 급한 일이 생기면, 가장 먼저 하는 일이 보험 해지다. 보험에서 보상이 기대한 것과는 다른 경우도 많다. - 그러나 부자들의 보험 가입은, 그 목적부터 다르다. 그들은 위험(질병, 노후)을 자산으로 방어할 수 있다. 그래도 넣는 이유는, 세금을 줄이기 위해 보험을 활용한다. 보험에 가입해서 재산을 줄여 소득세를 낮추거나, 자식이 부담할 상속세를 준비한다. - 일반 사람들의 보험과 부자들의 보험은, 인식부터 활용하는 것까지 큰 차이가 있다. 미래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실비 보험과 국민건.. 2022. 5. 24.
금리 인상 기 예금 잘 굴리는 방법 금리 인상 기 이자 손해보지 않는 방법 - 요즘 같은 금리 인상이 자주 있을 것 같은 시기에는 정기예금을 넣어놔야 할지, 더 기다리는 게 나을지 고민이 된다. 전문가들은 이럴 때 만기가 짧은 예/적금에 넣어두고 금리가 오를 때마다 발 빠르게 갈아타는 것을 추천한다. - 예를 들어, 신한은행 '쏠 편한 정기예금'에서 가입 기간을 1개월로 설정하고, 만기를 채우면 연 1.1% 금리가 지급된다. 12개월 만기 정기예금(연 2.1%) 보다 금리가 절반 수준이지만, 만기가 짧아서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중도 해지로 이자 손해를 볼 가능성도 적어진다. - 이 상품을 12개월 만기로 계약했다가 6개월 만에 해지하면, 이자를 연 0.98% 밖에 받지 못한다. 회전식 정기예금 - 정기예금 가입 기간 중 시.. 2022. 5. 2.
안 찾으면 국고 환수 되는 '숨은 돈 찾기' 8가지 1. 건강보험료 과오납 환급금 - 내가 낸 건강보험료 중에 이중으로 납부됐거나, 기타의 사유로 금액이 조정돼서 돌려받아야 하는 돈. - 본인부담금 환급: 본인부담 상한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환급된다. - 보험료, 기타징수금 환급: 이중, 착오납부, 보험료 소급 조정 등 - 약품비 본인 일부 부담 차액: 고가의 약에 대해 약품비 일부 지원 건강보험료 과오납 환급금 찾는 방법 - 인터넷/ 어플: '국민건강보험 ( www.nhis.or.kr )' 에서 본인인증 로그인 후 환급금 조회/신청 메뉴에서 확인한다. (건강보험 어플에서도 가능) - 전화: 1577- 1000으로 전화 후 미지급 환급금 내역 문의. 환급금 통지서를 받았다면, 안내문에 따라 전화 신청이 가능하다. 2. 휴면예금, 보험금 - 우체국, 은행이나.. 2022. 4. 22.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