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코인 공부

ICO 과정 4단계 (개념 요약)

by 블랙스완 미니 2021. 11. 23.

ICO 과정 4단계 요약
ICO 과정 요약 

ICO 4단계 간략 요약

1. 웹 페이지 제작

-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팀과 백서를 게시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개설한다. 추가적으로 SNS 채널 정보나 기술 블로그 등을 소개해서, 프로젝트 참가자와 접점을 늘리는 것도 좋다. 사용자 트래픽을 유동적으로 견딜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게 좋다. 

2. 화이트리스트(Whitelist)를 통한 ICO 참가 제한

- 화이트리스트는 ICO가 공개된 상태에서, 소수의 접근 권한이 제한된 참가자로 진행되는 것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한 방식이다.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되지 않은 지갑 주소의 경우, ICO에 참가할 수 없도록 접근 제한을 걸고 한다

 

- 최소 투자 금액 등도 제한해서, 이 ICO가 일반 대중에게 자금을 공모하려 하지 않았다는 것을, 외부에 공표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현행법상 반드시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국가별로 외부 대중에 대한 투자 접근성에 따라서, 각각 다른 법률로 규제하는 곳도 있으니, 큰 문제가 없다면 진행하는 게 좋다

3. 참가자 신원확인(KYC:Know Your Customer)

- 일반적으로 자금 세탁 방지법 준수나 테러 자금으로 흘러가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투자자의 신원확인 절차다. 보통 본인의 신분증/여권을 들고, 사진을 찍어 올리고,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완료된다. 꼭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해당 토큰이 언제 어떻게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으로 분류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해야 한다.

 

- 증권형 토큰으로 법률해석이 일어났을 때 세금 문제 등에 있어서도, KYC를 하지 않으면, 곤란해질 수 있기 때문에 KYC를 진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 이 과정에서 특정 국가의 참여자가 아님을 동의받고,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KYC에 사용되는 여권 및 개인 사진은 민감한 개인정보로 분류되는데, EU의 GDPR은 매우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 또 그때그때 ICO에 대해 우호적이지 않은 국가들에 대해서도 참가를 금지시킬 수 있다. 한국의 경우 많은 ICO 프로젝트에서 종종 참가 금지 국가로 지정되는 경우가 있다. 

4.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 및 배포 

- 자체 개발팀을 통해 작성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ICO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건 코드의 보안성 감사(Audit)다. 일반적인 패턴으로 작성된 솔리 디티 코드는, 한 번 배포하면 수정할 수 없다. 이 말은 한 번 취약점이 작성되면, 수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 일반적인 보안사고가 개인정보의 유출과 2차 피해로 이어진다면, ICO 프로젝트에서 보안사고는, 직접적인 자금 유출로 이어진다. 정말 뛰어난 개발팀이 작성한 코드이기 때문에 99% 믿을 수 있다 해도, 스마트 컨트랙트 외부 전문 감사(Audit) 업체를 통해, 검토를 받는 것을 적극 권장한다. 

 

- 국내에도 해치 랩스(Haechi Labs)나 온 더(Onther), 아톰 릭스(Atomrigs), 리턴 밸류(ReturnValues) 등이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 분야에서, 수준 높은 감사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관련 글: 토큰 이코노미 설계와 가치 제안 (One Page Whitepaper)

관련 글:  토큰 용어 TGE와 IEO/IFO/IDO 특징 (+ 프라이빗 블록체인/스테이블 코인)

관련 글: 비트코인 기술적 특징 6가지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