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ETF 파생상품 외환 공부

지금 알아야 할 투자법, ETF와 ELF 차이와 활용 방법

by 블랙스완 미니 2024. 12. 6.

 

 

ETF-ELF-초보자-전략
ETF ELF 초보

ETF와 ELF 차이와 활용 방법

ELF(주가연계 펀드)

- ELF(Equity Linked Fund)는 특정 주가지수나 개별 주식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수익이 결정되는 펀드 상품이다. 주로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원금 보존형 상품도 많아서 은퇴자나 안정적인 투자를 선호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주요 특징

1. 원금 보존 옵션

- 약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원금을 보존하며 수익을 낼 수 있다

- 약정 조건 미충족 시 손실 가능성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제한적

2. 정기예금 대비 높은 수익 가능

- 시장 변동성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지만, 정기예금보다 높은 목표 수익률을 제시 

3. 장점

- 위험을 관리하며 꾸준한 수익 추구

- 은퇴자나 보수적인 투자자에게 적합

4. 단점

- 투자 기간 중 자금을 회수하거나 중도 해지 시 불이익 발생 가능

-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원금 손실 가능성 존재 

ETF(상장지수펀드)

- ETF(Exchange-Traded Fund)는 특정 주가지수나 자산군(산업, 국가, 채권 등)을 추종하며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상품이다. 유동성이 높고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할 수 있어서 공격적이고 장기적인 성향의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주요 특징

1. 높은 유동성

- 주식처럼 언제든 매매 가능하며, 자금이 필요할 때 쉽게 현금화할 수 있다. 

2. 다양한 투자 대상

- 산업, 테마, 지역(미국/중국), 자산군(채권, 금, 부동산 등) 등 광범위한 투자 가능

3. 장점

- 소액으로 분산 투자가 가능해 초보 투자자도 쉽게 접근 가능

- 비용 효율성(낮은 수수료)과 높은 투명성(매일 자산 구성 공개)

4. 단점

- 시장 변동성에 직접적으로 노출

- 레버리지 또는 파생상품 ETF는 원금 손실 가능성 증가 

ELF와 ETF의 주요 차이점

항목  ELF ETF
투자구조 약정조건 충족 시 수익 지급,
원금 보존 가능
시장 지수나 자산군의 실적을 직접 추종
유동성 투자 기간 중 자금 회수 제한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 가능
수익률 제한적(약정 조건에 따라) 시장 변동성에 따라 수익률 변화
리스크  약정 조건 미충족 시 손실 가능 시장 변동성 리스크,
투자 대상별 손실 가능
투자 대상 특정 주가지수, 개별 주식 연계 산업,국가, 테마 등 광범위한 자산군
적합한 
투자자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보수적 투자자 유동성과 장기 성장을 노리는 적극적 투자자 

 

투자 시 고려할 위험 요소

1. ELF의 리스크

- 약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손실 가능성

- 중도 해지 시 원금 손실 또는 약정 수익 감소 위험

2. ETF 리스크

- 시장 하락 시 직접적인 손실 가능

- 변동성이 큰 레버리지 ETF나 파생상품 ETF 투자 시 손실이 확대될 위험 

3. 공통 리스크

- 환율 변동

: 해외 투자 상품(미국/중국 ETF)의 경우 환율 영향

- 경제 상황

: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 거시경제 요인이 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 

결론: 나에게 적합한 선택은?

- 안정성 우선: 원금 보존 가능성과 꾸준한 수익을 원한다면 ELF

- 유동성과 다양성 우선: 다양한 자산군에 쉽게 접근하고 싶다면 ETF

- 투자 목표와 리스크 선호도를 명확히 파악한 후 선택하세요! 


관련 글: 예측 불가능한 시장에서도 이기는 투자 전략 4가지

 

예측 불가능한 시장에서도 이기는 투자 전략 4가지

안정적인 수익을 원한다면? 투자 전략 4가지 1. 원금 보존 추구형 주가연계 펀드(ELF) "정기 예금보다 높은 수익 + 낮은 리스크, 둘 다 누릴 수 있다!"- 원금 보존 추구형 ELF는 약정 조건에 따라, 리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E로 시작하는 파생상품 종류

 

E로 시작하는 파생상품 종류

ETF(Exchange Traded Fund) 란? - '상장지수펀드'라고 한다. ETF는 지수를 추적하는 인덱스펀드이다. 주식처럼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다. 펀드의 장점과 주식의 장점을 뽑아서 만든 금융상품이다. 1) 지수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배당형 ETF로 '배당 달력' 짜기 전략

 

배당형 ETF로 '배당 달력' 짜기 전략

배당형 ETF '배당 달력' 전략서학개미 '필수템' 미국 배당 ETF- 'SCHD' 'VOO' 'QQQ' 'JEPT' 등 얼핏 암호처럼 보이지만 해외주식 투자하는 사람 사이에서는 익숙한 단어다. 서학개미는 올해 들어 지난 19일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