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RIP와 ETF로 미국 배당주 고소득 방법 미국 배당주 고소득 방법1. 고소득을 위한 미국 배당주 선택 기준1) 높은 배당 수익률(Dividend Yield)- 연간 배당금/주가로 계산되며, 배당 수익률이 높을수록 매력적이지만 지나치게 높은 경우 지속 가능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추천 섹터: 에너지, 유틸리티, REITs(부동산 투자 신탁) 등 방어적 섹터에서 고배당 주식이 많다. 2) 배당 성장주(Dividend Growth Stocks)- 단순히 높은 배당 수익률이 아니라, 배당 성장률(배당금 증가 속도) 이 높은 주식을 선택한다. - 배당 귀족주(Dividend Aristocrats): 최소 25년 연속 배당금을 증가시킨 기업들로 안정성과 성장성을 가졌다.  예) 코카콜라(Coca-Cola), P&G(Procter & Gamble),.. 2024. 12. 7.
지금 알아야 할 투자법, ETF와 ELF 차이와 활용 방법 ETF와 ELF 차이와 활용 방법ELF(주가연계 펀드)- ELF(Equity Linked Fund)는 특정 주가지수나 개별 주식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수익이 결정되는 펀드 상품이다. 주로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원금 보존형 상품도 많아서 은퇴자나 안정적인 투자를 선호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주요 특징1. 원금 보존 옵션- 약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원금을 보존하며 수익을 낼 수 있다- 약정 조건 미충족 시 손실 가능성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제한적2. 정기예금 대비 높은 수익 가능- 시장 변동성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지만, 정기예금보다 높은 목표 수익률을 제시 3. 장점- 위험을 관리하며 꾸준한 수익 추구- 은퇴자나 보수적인 투자자에게 적합 4. 단점- 투자 기간 중 자금을 회수하거나 중도 해지.. 2024. 12. 6.
S&P500 추종 ETF와 배당 ETF 장단점 비교 S&P500 추종 ETF와 배당 ETF 장단점 비교 - S&P500 ETF와 배당 ETF는 각기 다른 투자 목표와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 아래에 두 상품의 장단점을 비교했다.  1. S&P500 ETF 1) 대표 상품- SPY (SPDR S&P 500 ETF): 가장 인기 있는 S&P500 ETF- VOO (Vanguard S&P 500 ETF): 저비용으로 운용되는 S&P 500 ETF2) 장점 가. 다양한 산업 섹터에 분산 투자 - S&P 500 지수는 미국 500대 대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어 리스크가 분산됨. - 기술주, 헬스케어, 금융 등 다양한 산업 포함 나. 안정적 성장- 장기적으로 연평균 7~10%의 안정적 수익률 기록  다. 낮은 비용 - 낮은 총.. 2023. 12. 25.
ETF 투자 전 알아야 할 것 ETF의 숨은 비용들 - ETF 역시 뮤추얼펀드처럼 투자설명서에서 비용 정보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그런데 이 투자설명서에 나와 있지 않은 두 가지 비용이 있다. 첫 번째 비용은 ETF를 사고팔 때, 증권회사(미국은 중개인)에게 내는 커미션이다. 요즘은 커미션을 받지 않는 브로커들도 꽤 있다. 커미션은 거래의 건당 얼마 하는 식으로 부과가 되기도 하고, 거래의 크기에 따라서 다른 커미션이 부과되기도 한다. 두 번째 비용은, 비드-애스크 스프레드다. 모든 금융자산은 두 가지 가격이 있다. 팔려는 사람이 요구하는 가격과 사려는 사람이 지불하려는 가격이다. 보통 사려는 사람이 지불하려는 가격은, 팔려는 사람이 요구하는 가격보다 낮고, 이 차이를 비드-애스크 스프레드라고 한다. 예를 들어, ETF의 비드가 .. 2023. 8. 21.
스마트 베타 ETF 개념과 종류 스마트 베타 ETF 개념 - 베타란, 어떤 투자자산이 속해 있는 시장이 변화할 때 그에 따라 자산이 변화하는 정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A주식의 베타가 1.5라면, 코스피 지수가 1% 변화할 때 A주식은 1.5% 정도 변화하는 성향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A주식의 베타가 -1.5라면 -1.5% 정도 변화하는 성향을 갖는다. 즉 베타의 절대값이 클수록, 시장이 변화할 때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베타는 투자자산이 시장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정도라고 봐도 무방하다. 스마트베타 ETF 역시 바탕으로 하는 지수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지수는 코스피나 S&P500처럼 주식의 시가총액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지수가 아니다. 여기서 바탕이 되는 지수는 특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든 .. 2023. 8. 20.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