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외 단일가 매수잔량 패턴 분석 전략
장 마감 후 진행되는 시간외 단일가 거래는 다음날 주가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강력한 힌트를 제공합니다. 특히 매수 잔량의 급증은 단기 급등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어,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요약:
시간외 단일가 매수잔량은 단기 수급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선행 지표입니다. 패턴 분석을 통해 다음날 시초가 갭 상승 가능 종목을 선별할 수 있습니다.
시간외 단일가 매수잔량은 단기 수급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선행 지표입니다. 패턴 분석을 통해 다음날 시초가 갭 상승 가능 종목을 선별할 수 있습니다.
1. 시간외 단일가란?
- 정규장이 끝난 15:30부터 16:00까지 10분 간격으로 체결
- 단일가로만 거래되며 총 6회 체결됨
- 실제 투자자 수급 심리가 반영되기 시작하는 시점
2. 매수 잔량 패턴이 중요한 이유
- 수급 우위가 지속되면 다음날 시초가 갭상승 가능성↑
- 개별 재료, 뉴스 수혜주에 매수세 몰림 여부 포착 가능
- 단일가 5~6회차에서 매수 잔량 급증 시, 확률 높아짐
실전 팁:
체크리스트:
- 마지막 체결가가 정규장 종가보다 3% 이상 상승했는가?
- 마지막 회차 매수잔량이 1회차보다 2배 이상 증가했는가?
- 해당 종목에 관련 뉴스나 공시가 있었는가?
3. 매매 전략
1) 매수 전략
- 마지막 체결가 + 대량 매수 잔량 = 시초가 갭 상승 기대
- VI 발동 이력 있는 종목 우선 추적
- 조건검색식: 시간외 상위 + 거래량 급증 + 종가상승률
2) 매도 전략
- 갭상승 후 고점 대비 -3% 하락 시 일부 매도
- 정규장 전반부에서 거래량 터지며 윗꼬리 발생 시 익절 우선
4. 조건 검색 활용 방법
- HTS/MTS 조건식 입력: "시간외 종가 > 정규 종가" AND "시간외 거래량 > 전일 대비 150%"
- 매수 잔량 급증 종목에 필터 적용
유의사항:
단일가 거래는 일부 세력의 유도일 수 있습니다. 뉴스, 수급 동향을 반드시 함께 확인하세요.
단일가 거래는 일부 세력의 유도일 수 있습니다. 뉴스, 수급 동향을 반드시 함께 확인하세요.
5. 실전 투자 사례
- A 종목: 시간외 +6% 상승 → 다음날 시초가 +4%, 종가 +11% 기록
- B 종목: 거래량 +500% & 공시발표 → 다음날 장초반 급등
지금 주목할 시간외 단일가 매수 상위 종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
관련 글: 급등주 돌파 매매, 손절을 최소화 하는 매매 타이밍 잡기
급등주 돌파 매매, 손절을 최소화 하는 매매 타이밍 잡기
급등주 돌파 매매 시 손절 최소화 하는 타이밍- 급등주 돌파 매매는 단타 매매에서 가장 강력한 전략 중 하나지만, 잘못된 진입은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손절을 최소화하는 정확한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시간 외 단일가 매매, 거래 시간/전략 최고 효율 내는 법
시간 외 단일가 매매, 거래 시간/전략 최고 효율 내는 법
시간 외 단일가 매매란? 거래 가능한 시간과 전략시간 외 단일가 매매는 정규장 마감 이후에도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10분 단위로 주문을 모아 한 번에 체결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시간 외 단일가 매매, 찐 호재 vs 작전주 판별 방법
시간 외 단일가 매매, 찐 호재 vs 작전주 판별 방법
시간외 단일가 매매, 걸러야 할 모든 것시간외 단일가 매매는 정규장이 종료된 후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운영되는 별도의 거래 세션입니다. 이 시간대는 하루 12번, 10분 간격으로 체결되며, 많은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금 캘린더 한 장으로 수익률 2배 높이는 투자 방법 (0) | 2025.04.06 |
---|---|
단타 수급 잡는 조건식, 실전 사용법과 전략 조합(한투/삼성/NH 비교) (0) | 2025.04.06 |
변동성 돌파 전략, 조건식과 백테스트 시뮬레이션 (한국/미국 종목) (0) | 2025.04.05 |
장기 인컴 투자, 매달 돈 버는 구조 만드는 조합 (0) | 2025.04.05 |
배당주 투자, 금리 흐름 맞춤 투자 방법, 수익률 결정 핵심 원리 (0) | 2025.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