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주택자도 양도세 비과세 가능! 필수 조건과 주의 사항 다주택자도 양도세 비과세 받는 방법과 필수 조건 2가지 - 정부의 세법 개정으로 다주택자도 임대사업 등록과 2년 거주 요건을 충족하면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생애 한 번이 아니라 횟수 제한 없이 비과세 적용 가능하므로, 제대로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다.  1. 다주택자의 거주주택 비과세 요건 양도세 비과세를 받으려면?- 관할 지자체에 임대사업자로 등록 필수 - 세무서에도 사업자 등록 완료해야 함- 2년 이상 실거주한 주택만 비과세 가능 - 임대주택은 5% 이상 임대료 인상 금지 & 임대의무기간 준수 (최소 6년~10년)일시적 2 주택/3 주택 이상도 비과세 가능 - 기존 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임대주택을 추가로 보유해도 비과세 적용 가능 - 단,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는 주택은 2.. 2025. 2. 15.
부동산 양도세 필요경비로 절세 하는 방법 부동산 양도세 '필요경비'로 절세 양도세 계산 구조 1. 과세 대상매도 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양도차익2. 공제 항목- 장기보유특례공제: 3년 이상 보유 시 연 2% 씩, 최대 30% 공제- 기본공제: 250만 원3. 과세표준- 양도차익에서 위 공제를 제외한 금액- 과세표준에 따라 6.6~49.5% 양도세율 적용  양도세 절세 방법: 필요 경비 반영  1. 부동산 가치를 위한 지출 필요 경비 인정 항목 - 베란다 새시 공사- 거실/방 확장 공사- 난방시설 교체 - 방범창 설치 비용 인정되지 않는 항목 - 벽지, 장판, 싱크대 교체 등 단순 수리비- 주방기구, 문, 조명, 변기 교체 등 본래 기능 유지비  ※ 공사 전 견적서 세부 내역에서 필요경비 인정 여부를 확인 2. 세금 및 기타 비용 .. 2024. 11. 26.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알아야 할 것 들 5월 종합소득세 알아야 할 것 들  12억 넘는 집 월세 받고 있다면 1 주택자도 종합과세- 부동산을 임대하고 받는 임대료는 종합소득 중 사업소득에 해당한다. 즉, 상가/통지/주택을 임대하고 소득이 생기면 사업자등록 여부와는 관계없이 매년 5월에 종합소득세를 신고 납부해야 한다. 상가와 토지의 임대소득은, 무조건 종합과세 대상이다.  주택 임대는 주택 수와 임대 유형에 따라 과세 대상이 달라진다 주택 임대소득의 주택 수는 인별 계산을 원칙으로 하되, 부부는 합산해서 계산한다. 월세는 2 주택자부터, 보증금은 3 주택자부터 과세 대상이 된다. 단, 1 주택자라도 해외 주택과 고가 주택에서 받는 월세는 과세 대상이다.  고가 주택 기준과 월세/간주 임대료  - 고가 주택이라함은, 기준시가 12억을 초과하는 .. 2023. 5. 22.
부동산 투자 기초_ 동산의 구분과 세금 부동산 투자 시작 전- 부동산의 종류와 각종 세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부동산이란, 원래 '움직여서 옮길 수 없는 재산'으로, 토지나 건물 등을 포함한다.  부동산의 구분- 부동산에는 아파트 외에 다른 종류도 있다. 토지도 있고, 수익형 부동산이라고 불리는 상가나 오피스텔도 있다.  1. 주택- 주택이란, 세 가지 요건을 갖춰야 한다.  1) 세대원이 장기간 독립적 주택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건축물과 그 부속 토지일 것2) 영구적 건축물로, 한 개 이상의 부엌과 방 그리고 독립된 출입구가 있을 것3) 소유 매매가 가능해야 할 것 1) 단독주택- 공통된 특징은, 가구 수와 상관없이 소유주가 하나로 돼 있다는 것이다. 단독주택은 다시 3종류로 구분되는데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으로 나뉜다. 건축.. 2023. 1. 2.
재산세와 종합 부동산세 차이 (+ 입주권/오피스텔 사례) 재산세와 종합 부동산세, 내는 입장에서는 비슷해 보이는데 어떤 게 다를까?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의 차이- 재산세는 모든 부동산에 대해 시가표준액 전체 금액에 대해 부과된다. 하지만 종합부동산세는, 주택과 일부 토지의 유형별로   과세기준금액 초과 금액에 대해서만 부과된다.  종합 부동산세와 재산세 비슷한 점 - 시기가 아닌, 시가표준액 또는 기준시가로 세금을 부과한다. (용어만 다를 뿐 의미는 같다)  과세는 6월 1일을 기준으로, 부동산 보유 여부를 판정한다. 시가 표준액: 지자체에서 지방세(재산세 등) 부과를 위해 고시 기준시가: 국가에서 국세(종합부동산세 등) 부과를 위해 고시  조합원 입주권에 대한 재산세/종합부동산세 사례  1) 과세기준일(6월1일)에 주택이 멸실되지 않은 상황 -> 주택에 .. 2022. 7. 17.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