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금융 세금 공부

왜곡된 통계/정보 정확히 보는 방법 10가지

by 블랙스완 미니 2022. 11. 22.

왜곡된-조작-통계-정보-정확히-보는-방법
왜곡된 정보/통계 정확히 보는법

1. 출처를 정확히 파악한다

- 각각의 통계를 만드는 사람이 누구인지, 만든 사람이 노리는 목표가 무엇인지, 항상 의문을 품어야 한다. 단순히 어떤 사실을 밝히려는 것인지, 아니면 통계를 조작해서 특정 의견이나 결과를 팔려고 하는 것인가?

2.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 2개의 변수가 체계적으로 한 방향에 있을 때는 3가지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첫 번째 변수가 두 번째 변수의 원인이 되거나, 두 번째 변수가 첫 번째의 원인이 되거나 아니면, 둘 다 서로의 원인이 되지 않는 경우, 이렇게 세 가지 경우의 수가 나올 수 있다. 우연히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한, 이 2개의 변수는 공통으로 제3의 변수에 종속된다. 

3. 제로 리스크 환상을 버린다

 

 

- 모든 리스크를 완전히 배제하려는 시도는 모두 실패할 수밖에 없다. '리스크가 있는가?'가 아니라, '리스크는 얼마나 되는가?'를 물어야 한다. 

4. 끊임없이 리스크의 절댓값을 물어야 한다

- 상대적인 리스크는 증가든, 감소든, 착오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리스크가 거의 없을 확률이 100퍼센트라는 것은 언제나 거의 불가능하다. 

5. 퍼센트의 바탕에 주목

- 퍼센트(%)로 표기된 정보나 통계라면, 어떤 것에 대한 퍼센트인지 정확히 봐야 한다. 그리고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p)는 다르다. 

6. '과학적으로' 또는 '유의미한' 을 조심하라

- 형용사의 남용을 조심해야 한다. 별표를 달아놓은 통계는 과학과는 완전히 무관하며, 그 결과는 흔히 중요하지 않을 때가 많다. 과학은 '원인'과 '결과'가 명확하게 나온 것을 말하는 것이다. 

7. 자료의 표본을 정확히 확인한다

 

- 표본조사에서는 표본으로 누가 파악되는지, 특히 누가 파악되지 않는지를 정확하게 물어야 한다. 예를 들어, '30대 여성 미혼 인구가 33.6%나 된다' 라는 통계가 있을 30대 미혼 여성 100%에게 물어서 나온 33.6%인건지, 아니면 통계청의 자료에서 나온건지를 정확히 봐야 한다. 혼인신고 하지 않고 결혼식만 올린 경우도 있고, 동거하는 사람도 많다. 

8.  증가율을 절대 산술적인 수치로 생각하면 안 된다

- 60퍼센트 이상과 50퍼센트 이하의 평균은 5% 이상이 아니다. 통계학에서 하는 계산법이 따로 있다. 

9. 통일된 기준에 주목한다

- 위에 예처럼, 30대 미혼 여성의 기준은 무엇인가? 혼인신고만 안하고 결혼식 올리고 사는 미혼여성? 동거도 결혼식도 안 하고 있는 미혼여성? 개념 규정에 따라 결과는 완전히 달라진다. 

10. 우연을 통해 나온 결과인지, 전체에서 나온 결과인지 파악한다

- 경제생활이나 사회생활은 물론이고, 일상생활에서도 우연이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우리가 안다고 믿는 많은 기준은 전혀 기준이 되지 못한다. 전체를 반복하면 그 기준은 사라진다. 예를 들어,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다'는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특정 상황에서는 비만(초고도비만 제외)한 사람이  오히려 수명이 더 긴 것으로 나온 연구 결과가 있다. 

 


관련 글: 투자 전문가 의견을 백퍼 믿을 수 있을까? | 경제 공부

관련 글:  합리적 의사결정과 선택에 관한 오해 11가지

관련 글: 주식 운 vs 실력 | 운 좋은 바보 특징 7가지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