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세금 재테크 공부

가족 간 송금, 증여세 안 내고 안전하게 거래하는 방법

by 블랙스완 미니 2022. 11. 11.

 

가족간-계좌이체-증여세-기준
가족간 계좌이체 증여세

가족 간 재산 이전 시 꼭 알아야 할 증여세 규정 (2025년 최신 기준)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따라, 가족 간 재산을 무상으로 주고받은 경우에도 대부분 증여세 대상이 됩니다. 단순한 '용돈', '축하금'이라고 해도 금액과 상황에 따라 세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아래 내용을 통해 정확한 기준을 확인해보세요.

 

1. '사회 통념상 인정되는' 금액만 비과세

 
  • 상속세법 46조: 생활비·교육비·이재금품 등은 비과세 가능
  • 시행령 35조: 기념품, 축하금, 부의금 등 통상적 수준은 비과세
  • 몇만 원~몇십만 원 정도는 비과세 범위, 수백만 원 이상은 과세 위험

 

2. 증여세 비과세 한도 (10년 기준)

증여자 공제 한도
배우자 6억 원
직계존속 (성인) 5,000만 원
직계존속 (미성년자) 2,000만 원
직계비속 5,000만 원
기타 친족 1,000만 원

예외 대상이 아니라면 증여 신고 후 세금 납부가 안전합니다.

 

3. 무신고 시 가산세 및 불이익

  • 일반 무신고: 20% 가산세 부과
  • 부정 무신고: 40% 가산세 부과
  • 납부 지연: 매일 0.025% 이자 부과

 

4. 계좌이체보다 '주식계좌 개설'이 유리할 수 있다

 
  • 수증자 명의 계좌에 직접 투자금 입금 → 증여세 과세
  • 이후 발생하는 배당금·차익은 증여세 면제
  • 본인 명의 계좌로 굴린 후 나중에 증여 시 → 더 많은 증여세 발생

 

5. 자금출처 조사 시 계좌 조회 기간

조사 항목 조사 기간
주식·부동산 자금출처 취득일 포함 4년
사업장 세무조사 5년
상속세 관련 조사 10년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부부 간 큰 금액 이체도 증여세 대상인가요?

→ 네. 부부간이라도 해당 자금으로 주식·부동산을 매입해 수익 발생 시 증여세 과세될 수 있습니다.

Q2. 가족 간 거래도 국세청 조사 대상인가요?

→ 네. 특히 부동산·주식 취득 시 자금출처조사를 통해 과거 거래 내역이 확인됩니다. 정기 세무조사 외에도 비정기 조사는 5~8년 이상 소급될 수 있습니다.

 핵심 체크포인트
  • 가족 간 거래라도 금액이 크면 증여세 대상
  • '사회 통념상 인정되는 수준'만 비과세
  • 모르고 넘기면 가산세 + 납부지연 이자까지 부담

 가족 간에도 돈이 오갈 땐 반드시 세법 기준을 확인하세요. 정상적인 증여 신고로 불이익 없이 자산을 이전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절세 전략입니다.

 


관련 글: 부모 자식 차용증 효력/양식

 

부모 자식 간 차용증 작성 방법과 증여세 주의사항 (2025)

부모 자녀 간 금전거래 시 증여세를 피하는 방법  왜 차용증이 필요한가?부모가 자녀에게 돈을 빌려줄 때 차용증을 작성하지 않으면 증여로 간주되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특히 무이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상속 주택 6개월 내 매각 시 절차와 주의 사항

 

상속 주택 6개월 내 매각 시 절차와 주의 사항

상속주택 6개월 내 매각 절차와 주의할 점 1. 상속주택 6개월 내 매각 절차상속 개시일 확인: 상속 개시일은 피상속인의 사망일이며, 6개월 기산일로 계산됩니다.부동산 평가: 상속 개시일 전후 6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세대 생략 할증' 세액 30% 피하려면 꼭 알아야 할 증여 팁

 

'세대 생략 할증' 세액 30% 피하려면 꼭 알아야 할 증여 팁

가족 간 부동산 증여 시 세대생략 할증세액 피하는 방법 1. 세대 생략 할증 세액이란?조부모가 손자·손녀 등 직계비속에게 재산을 직접 증여할 경우, 일반 증여세율에 30%의 할증세율이 적용됩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