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잔고비율 변화 추적법: 세력 움직임을 읽는 실전 데이터 분석
1. 공매도 잔고비율이란?
공매도 잔고비율은 특정 종목의 총 발행주식 수 대비 공매도된 주식 수의 비율입니다. 일반적으로 기관이나 외국인의 매도 포지션 강도를 파악하는 데 활용되며,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 규모를 수치화한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계산 방식
공매도 잔고비율 (%) = (공매도 잔고 / 총 발행주식 수) × 100
2. 공매도 잔고 vs 공매도 거래량의 차이
- 공매도 거래량: 하루 동안 실제 공매도 주문이 체결된 양
- 공매도 잔고: 공매도 포지션이 아직 청산되지 않고 누적된 총량
공매도 거래량은 단기 수급, 공매도 잔고는 중장기적인 매도 포지션 흐름을 보여줍니다.
3. 공매도 잔고비율을 추적해야 하는 이유
- 세력의 매도 포지션 유지 여부 파악 가능
- 숏커버링(공매도 청산) 시점 예측 가능
- 주가 상승 시 공매도 청산이 불러올 급등 가능성 체크
4. 공매도 잔고비율 확인 방법
공매도 잔고 데이터는 매일 장 마감 후 금융투자협회 사이트 및 한국거래소(KRX)에서 공시됩니다.
공매도 잔고비율 확인 사이트
5. 잔고비율 변화 추적 시 주요 관찰 포인트
- 잔고비율이 2% 이상으로 지속 증가 → 하락 압력 가능성 확대
- 주가 반등 구간에서 잔고 감소 → 숏커버링 가능성, 상승세 전환 신호
- 공매도 거래량 급증 + 잔고비율 고점 유지 → 악재 선반영 중
6. 실전 예시: 공매도 잔고 추적 사례
A 종목의 공매도 잔고비율이 1.2%에서 꾸준히 올라 2.8%까지 증가했지만 주가는 일정 구간 박스권을 유지했습니다. 이후 거래량 증가와 함께 주가가 급등하자, 공매도 잔고가 하루 만에 1.5%까지 급락했으며 이는 강한 숏커버링 신호로 작용했습니다.
7. 공매도 잔고 추적 팁
- 단기보다는 5일~10일 추세선으로 확인
- 주가 차트와 동시에 비교해 위치 분석
- 공매도 잔고 감소 = 숏커버링 가능성으로 주목
- 뉴스, 실적 발표 시점과 함께 체크
8. 공매도 데이터는 매수의 단서가 되기도 한다
관련 글: 공매도 제도 개편(3월 31일) 개인 투자자 활용 전략
공매도 제도 개편(3월 31일) 개인 투자자 활용 전략
공매도 제도 개편, 개인 투자자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공매도 시장이 변화해서 25년 3월 31일부터 재개된다. 개정 내용과 개인 투자자가 공매도를 활용해서 투자할 수 있는 방법까지 정리했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공매도 타깃 피하는 법부터 수익 전략까지 완벽 분석
공매도 타깃 피하는 법부터 수익 전략까지 완벽 분석
2025 공매도 재개, 어떤 전략으로 대응할까? 외국인 수급과 타깃 업종 분석1년 5개월 만에 공매도가 재개됩니다. 이번에는 무차입 공매도 원천봉쇄 시스템이 도입돼 제도적 신뢰도도 상승했는데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신용 거래 융자 잔고, 왜 주가 하락의 전조일까?
신용 거래 융자 잔고, 왜 주가 하락의 전조일까?
신용거래융자 잔고 증감과 주가의 상관관계 분석 신용거래융자란?신용거래융자란 투자자가 증권사에서 자금을 빌려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일종의 레버리지 투자입니다. 투자금 대비 더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 비중 급증 종목, 조건 검색으로 찾는 방법 (0) | 2025.03.28 |
---|---|
공매도 체결 강도 분석으로 세력 흐름 읽는 핵심 지표 (0) | 2025.03.28 |
비상장 주식 국가별 거래 방법, NEEQ부터 OTC까지 총 정리 (0) | 2025.03.27 |
거래량만 믿고 들어갔다가 물리는 이유 (급등주 주의사항) (0) | 2025.03.27 |
단타 매매에 최적화된 MTS 따로 있다, 증권사별 기능 비교 (0) | 2025.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