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용증 증여 합리적으로 하는 법
증여 vs 차용증, 차이점은?
증여
- 부모가 자녀에게 돈을 주는 것 (10년간 5,000만 원까지 비과세)
차용증
- 부모가 자녀에게 '빌려주는 것'으로 처리 (이자 납부 필요)
※ 차용증을 쓰면 증여세 없이 2억 원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단, 적정 이자율과 원금 상환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차용증 활용 시, 적정 이자율은?
- 국세청이 정한 적정 이자율은 연 4.6%다. 이보다 낮은 이자로 빌려주면 이자 차액을 증여로 간주 한다.
예시
- 5억원을 자녀에게 빌려줄 경우
연 4.6% 적용 시 -> 매년 2,300만 원의 이자 납부 필요
연 2.7%로 낮출 경우 -> 매년 1350만원 이자 (차액 950만 원)
이자 차액이 1000만 원 미만이면 증여로 간주되지 않는다
- 즉, 2억 1700만 원까지는 무이자로 빌려줘도 증여세가 없다. (연 4.6% 이자 적용 시 이자 금액이 1000만 원 미만)
차용증을 썼다고 해서 무조건 증여세를 피할 수는 없다
- 세무 당국은 차용증이 실질적인 증여인지, 실제 대여인지 철저히 조사한다.
과세 당국이 의심하는 사례
- 비현실적인 상환 계획 (예: 30년 분할 상환)
- 자녀가 원금 상환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
- 차용증 작성이 불분명하거나 사후 작성된 경우
차용증이 인정받기 위한 필수 조건
차용 기간은 현실적으로 설정 -> 5년 이내가 가장 적절
실제로 원금 상환할 것 -> 월 10만~100만 원씩 상환 기록 남기기
공증 또는 내용증명받기 -> 작성한 날짜가 확인되도록 남겨둘 것
자녀가 소득이 없는 경우, 주의해야 할 점
- 과거 사례를 보면,
자녀에게 소득이 없는데도 거액의 증여세를 낸 경우
부모에게 돈을 빌린 것으로 처리했지만, 실제로는 증여로 간주된 사례
해결책
자녀의 소득이 없는 경우, 무조건 큰 금액을 빌려주는 것은 위험
소득이 있다면 월급이나 기타 수입으로 상환 가능하도록 계획 세우기
차용증 작성 후, 반드시 공증 또는 내용증명 확보하기
차용증을 활용한 합법적인 절세 전략
- 2억 1700만 원까지는 증여세 없이 무이자로 빌려줄 수 있음
- 적정 이자율(연 4.6%)을 지키거나, 1000만 원 이하 이자 차액 유지
- 차용 기간을 현실적으로 설정 (5년 이내가 적절)
- 원금 상환 기록을 남기고, 공증 또는 내용증명 확보 필수
※ 세법을 잘 활용하면 자녀의 내 집 마련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관련 글: 사전 증여 효과 제대로 보는 방법
사전 증여 효과 제대로 보는 방법
사전증여 효과 제대로 보는 방법- 사전증여로 상속세를 절감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지만, 세금 부담을 줄이는 만능 해결법은 아니다. 사전증여해서 절세 효과를 얻으려면 상속 자산의 종류와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집 판돈 물려줄 때 '증여합산 배제' 조심
집 판돈 물려줄 때 '증여합산배세' 조심
집 판돈 '증여합산 배세' 조심- 피상속인이 부동산 매도 거래 중에 상속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전체 거래대금 가운데 이미 수령한 부분과 아직 수령하지 않은 부분으로 나눠 과세 여부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해외주식 증여세 절세 방법
해외주식 증여세 절세 방법
해외주식 증여세 절세 방법- 해외주식 양도차익이 크다면 증여를 이용한 절세도 고려할만하다. 해외주식에 초기부터 투자해서 큰 수익을 본 경우, 양도소득세가 수억 원대에 이를 수 있기 때문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세금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납부 실수 사례 (0) | 2024.09.22 |
---|---|
주식 양도세 '예정' 신고 8월말 까지 (0) | 2024.08.27 |
금리 역전 현상으로 '보험사' 가 은행보다 주담대 저렴 (0) | 2024.08.24 |
만 65세 이상부터 받을 수 있는 혜택 총 정리 (0) | 2024.08.22 |
집 판돈 물려줄 때 '증여합산배세' 조심 (0) | 2024.08.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