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ETF 파생상품 외환 공부

ETF로 투자하는 원자재, 개인이 수익내는 방법

by 블랙스완 미니 2025. 3. 22.

원자재-투자-전략-공략-시장-방법-총-정리-자원-전쟁
원자재 투자 방법

원자재 시장, 다시 주목받는 이유

코코아 가격이 1년 새 102% 이상 상승하며 비트코인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여기에 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갈등 등 지정학적 이슈까지 겹치면서 희토류, 리튬, 코발트 같은 자원 가격이 크게 출렁이고 있습니다.

기후, 전쟁, 정책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원자재 시장에서는 타이밍과 정보력이 핵심입니다.

 

1. 코코아처럼 급등하는 원자재, 왜 생기나?

 
  • 기상 이변: 엘니뇨로 인한 폭우로 코코아 생산량 급감
  • 정책 실패: 고정 수매가 정책으로 농가 이탈
  • 공급망 병목: 국제 운송 지연, 생산지 갈등
요점: 수요는 그대로인데 공급이 줄면 가격은 급등합니다. 특히 천연 자원은 대체가 어려워 가격 변동성이 큽니다.

 

2. 전략 ① 원자재 ETF 분산 투자

 

ETF는 개별 원자재를 직접 매수하는 것보다 리스크 분산에 유리합니다. 다양한 섹터에 분산 투자할 수 있어 시장 전반의 흐름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iPath Bloomberg Cocoa Subindex Total Return ETN (코코아)
  • SPDR Gold Shares (GLD) (금)
  • Invesco DB Agriculture Fund (DBA) (농산물)
TIP: ETF는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어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 수 있으며, 다양한 원자재를 한 번에 담을 수 있습니다.

 

3. 전략 ② 희귀 자원 테마형 주식

 

전기차, 2차 전지 산업의 폭발적인 수요 증가로 인해 리튬, 코발트, 희토류 관련 기업들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 Albemarle (미국) – 리튬 채굴
  • MP Materials (미국) – 희토류 생산
  • Pilbara Minerals (호주) – 리튬
  • Lynas Rare Earths (호주) – 희토류
주의: 자원 매장 지역의 정치 불안, 전쟁 등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분산 투자 및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4. 전략 ③ 선물·선도 거래는 전문가용

 

선물 거래는 수익도 크지만, 레버리지와 마진콜 리스크도 높습니다. 개인 투자자가 진입하기에는 진입장벽이 높으며, 손실 가능성도 큽니다.

따라서 ETF나 관련 주식, 펀드를 활용하는 간접 투자 방식이 더 현실적인 선택입니다.

요약: 초보 투자자라면 선물보다는 ETF/주식 기반 전략이 더 안전합니다.

 

5. 원자재 투자 시 체크리스트

 
  • 최근 3~6개월 가격 흐름은 어떤가?
  • 공급 리스크가 있는 지역인가?
  • 관련 산업 트렌드와 연결되어 있는가?
  • 실물 보유, ETF, 주식 중 어떤 방식이 적합한가?
정리: 원자재 시장은 다양한 변수로 급등락이 반복됩니다. 분산 투자와 정보 분석이 핵심이며, 간접 투자 방식이 리스크 관리에 유리합니다.

관련 글: 환율 변동 시기, 외화 투자로 수익 올리는 방법 3가지

 

환율 변동 시기, 외화 투자로 수익 올리는 방법 3가지

외화 투자로 수익 올리는 방법1. 외화예금- 외화예금은 은행에 달러나 외화를 예치해서 환차익과 이자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안정적인 투자 방법이다. 투자 방법1) 외화예금 계좌 개설- 국내 은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중소형주 사업 보고서, 이 6가지만 보면 끝!

 

중소형주 사업 보고서, 이 6가지만 보면 끝!

중소형주의 사업보고서 분석:핵심 내용  1. 사업 개요 1) 주요 사업 영역-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과 핵심 매출원이 무엇인지 파악 2) 경쟁력-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강점이나 독점적 지위가 있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 하락 헤징과 포트폴리오 방어 수단 6가지

 

주식 하락 헤징과 포트폴리오 방어 수단 6가지

주식 하락 방어(헤징)  수단과 전략  - 주식 시장이 하락할 때,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보호해야 할까? 변동성이 커지고 하락장이 예상될 때, 헤징(위험 회피) 전략을 활용하면 손실을 줄이고 안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