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하락 방어(헤징) 수단과 전략
- 주식 시장이 하락할 때,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보호해야 할까? 변동성이 커지고 하락장이 예상될 때, 헤징(위험 회피) 전략을 활용하면 손실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 대표적인 헤징 방법으로 옵션(풋/콜), 상장지수펀드(ETF), 인덱스 펀드, 섹터 펀드, 뮤추얼 펀드, 매수 후 솎아내기 전략 등이 있다.
1. 옵션(풋/콜) 매매 전략 - 변동성 활용하기
-풋옵션(하락 베팅)과 콜옵션(상승 베팅)은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투자자를 보호하는 수단이 된다.
주가 상승이 예상되면
- 콜옵션 매수(프리미엄을 지불하고 저렴한 가격에 주식을 매수할 권리 확보)
시장 하락이 예상되면
- 풋옵션 매수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미리 정해진 가격에 주식을 매도할 권리 확보)
하지만 풋옵션은 패닉장에서 좋은 투자 수단이 아니다
- 시장 변동성이 커질수록 옵션의 프리미엄(가격)이 상승해 비용 부담이 커진다
- 옵션 거래는 복잡하고, 능숙하지 않다면 손실 가능성이 크다
- 풋옵션 매수보다 풋옵션 매도(프리미엄 수취) 전략을 고려할 수도 있다.
예) 변동성 축소가 예상될 때, 풋옵션을 매도해서 프리미엄을 확보
- 하지만 풋옵션 매도는 리스크가 크므로 초보자는 추천하지 않는다
※ 옵션은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유용하지만, 숙련된 투자자가 아니면 매수보다는 헤징 목적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좋다.
2. 변동성 지수(VIX) 상품 활용 -변동성 급등 대비
- 변동성 지수(VIX) 관련 상품을 활용하면 시장 급락 시 방어가 가능하다
- VIX 상승 시 수익이 나는 상품 매수
- VIX 하락 시 수익이 나는 상품 매도
추천 상품
- 'ProShares VIX Short-Term Futures ETF' (미국)
- 'VelocityShares Daily 2X VIX Short-Term ETN' (미국)
※ VIX 관련 상품은 복잡하고 변동성이 높아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3. 상장지수펀드(ETF) 및 인덱스 펀드 - 포트폴리오 방어 및 분산 투자
- ETF는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분산 투자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 뮤추얼 펀드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거래가 자유롭다
- 다양한 ETF가 있어서 상황에 맞게 투자 가능
추천 ETF 유형
1) 방어적 ETF - 경기 방어주 중심
XLP (소비재)
XLV(헬스케어)
XLU(유틸리티)
2) 금리 상승/하락 대비 ETF
TLT(장기국채) - 금리 하락 시 상승
SHY(단기 국채) - 금리 변동 리스크 방어
3) 금/은/원자재 ETF - 인플레이션 헤지
GLD (금)
SLV (은)
GDX (금광기업)
4) 인버스 ETF
- 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이 발생하는 ETF로, 시장 하락에 대비한 헤징 수단으로 활용된다.
예) 'KODEX 200 선물 인버스 2X'(한국), 'ProShares Short S&P500' (미국)
5) 레버리지 ETF
- 지수 변동의 2배 또는 3배의 수익을 추구하는 ETF로,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활용해서 헤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예) 'TQQQ' (NASDAQ 100 지수 3배 레버리지 ETF), 'SPXL' (S&P500 지수 3배 레버리지 ETF)
※ 레버리지 ETF는 변동성이 크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4. 안전자산 투자
1) 금 및 귀금속 ETF
-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며, 시장 불확실성 증가 시 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예) 'SPDR Gold Shares' (미국), 'iShares Silver Trust' (미국)
2) 국채 ETF
- 특히 미국 국채는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며, 시장 변동성에 대한 헤징 수단으로 활용된다.
예)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미국), 'KODEX 국고채 3년' (한국)
5. 섹터별 펀드 및 방어주 투자
1) 방어주 섹터 ETF
-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유틸리티 등 경기 변동에 비교적 영향을 덜 받는 업종에 투자해서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
예) 'Consumer Staples Select Sector SPDR Fund' (미국), 'Health Care Select Sector SPDR Fund' (미국)
※ 특정 섹터에 집중 투자할 경우, 해당 섹터의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분산 투자가 중요하다
6. 현금 비중 확대
- 시장 불확실성이 높을 때 현금 비중을 늘려,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줄이고, 앞으로의 투자 기회를 대비할 수 있다.
주의 사항
- 현금 보유는 인플레이션에 따른 구매력 감소 위험이 있으므로, 시장 상황에 맞게 조절해야 한다.
관련 글: 주가지수 '선물거래' 에 관한 모든 것
주가지수 '선물거래' 에 관한 모든 것
주가 지수 선물 거래에 대한 모든 것 1. 파생상품이란? - 환율 · 금리 · 주가 등의 시세변동에 따라 손실 위험을 줄이기 위해, 미래 일정 시점에 일정한 가격으로 상품이나 주식, 채권 등을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해외 투자 전 알아야 할 것들
해외 투자 전 알아야 할 것들
해외 투자하는 이유 - 해외 투자를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포트폴리오의 다양화 측면이다. 한국에서 하고 있는 투자의 성과가 그다지 좋지 않거나 또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경기침체 시기 안전자산 투자 | 종류와 방법
경기 침체 시기 안전 자산 투자 종류와 방법
경기 침체 시기 안전자산 종류와 방법 1. 채권투자 -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면 상대적으로 안전한 채권 시장으로 자금이 몰릴 수 있다. 만기까지 보유 시 꾸준히 이자를 받을 수 있다게 장점이다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매도 전 해야 할 질문 3가지 (0) | 2023.11.27 |
---|---|
데이비드 드레먼 역발상 투자 심리 규칙 39가지 (※ 긴 글 주의) (0) | 2023.11.26 |
포트폴리오 역발상 투자 전략 4가지 (0) | 2023.11.25 |
계좌를 파랗게 만드는 심리 요소 4가지 (0) | 2023.11.22 |
고금리 시대 채권 투자 방법 (0) | 2023.1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