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바뀐 해외 ETF/펀드 과세, 어떻게 대응할까?
2025년부터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와 연금저축 계좌 내 해외 배당형 상품에 대한 세제 혜택이 축소됐습니다. 해외 배당 ETF 및 펀드 투자자라면 전략 수정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해외 ETF/펀드 과세 변경 핵심 요약
- 기존: 배당금 전액 수령 → 과세 이연 및 저율 과세 가능
- 변경: 해외 원천징수 즉시 부과 (예: 미국 15%) → 추가 과세 없음
- ISA 비과세 한도 및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은 여전히 유지
변화에 따른 투자자 유형별 영향
1) 일반 계좌 투자자
- 해외 원천징수 후 배당금 지급 (기존과 동일)
- 일부 국가 배당은 국내에서 추가 과세 (예: 중국)
2) 절세 계좌 투자자
- 기존 과세 이연/저율 혜택 소멸
- 배당금 수령 즉시 해외세 부과 → 실질 수익 감소
- 자본이득 중심 전략으로 전환 필요
절세 계좌 투자자 대응 전략 4가지
① 배당형 ETF → 성장형 ETF로 전환
- S&P500, 나스닥100, AI, 반도체 등 성장 중심 ETF 선택
- 대표 ETF: SPY, QQQ, ARKK, SOXX 등
② 국내 상장 해외 ETF 활용
- KODEX, TIGER 등의 미국 지수 추종 ETF
- ISA 내 연 200~400만 원 비과세 적용 가능
- 연금저축계좌 내 3.3~5.5% 저율 과세 유지
③ 커버드콜 ETF 활용
- 옵션 프리미엄 + 배당 수익 추구
- 대표 ETF: QYLD, JEPI, TIGER 나스닥100 커버드콜
④ 해외 직접 투자로 전환 고려
- 절세 계좌 대신 직접 투자 통한 유연성 확보
- 대표 배당주: KO, PG, JNJ / 성장주: AAPL, MSFT
해외 배당 ETF 전략, 이렇게 바꾸자
- 배당보다 자본이득 중심의 ETF 또는 종목 선택
- 국내 상장 ETF 및 커버드콜 ETF 적극 활용
- 해외 직접 투자 시 외국납부세액공제 검토 필수
이제는 단순히 절세 계좌를 활용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세법 변화에 맞춰 ETF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해야 할 때입니다. 지금 계좌별 자산 배분을 점검해 보세요.
관련 글: 파킹/청약/예금/월급/적금 통장 | 효율 극대화 하는 법
파킹/청약/예금/월급/적금 통장 | 효율 극대화 하는법
예금/연금저축펀드/파킹/월급/청약/적금 통장 아직도 저금만? 제대로 된 활용법. 파킹/적금/청약/예금/월급 통장 효율 극대화 방법 1. 적금 통장1) 5% 이상 적금 1~2개만 가입한다. - 요즘에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미국 ETF와 국내 ETF 비교: 투자 수익률과 세금 차이
미국 ETF와 국내 ETF 비교: 투자 수익률과 세금 차이
미국 ETF와 국내 ETF 비교- 미국 지수 ETF에 투자할 때 발생하는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는 장기 투자에서 복리 효과가 떨어진다. 하지만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면 더 효율적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 하락 헤징 방어 수단 5가지
주식 하락 헤징 방어 수단 5가지
주식 하락 헤징 방어 수단 1. 풋과 콜 - 포트폴리오를 방어하기 위해서 풋과 콜을 매수해야 할까? 패닉에서는 풋은 좋은 투자가 아니다. 풋옵션과 콜옵션은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투자자를 보호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신약 개발 시장, 관련 주와 조건 검색 (0) | 2025.02.07 |
---|---|
주식 거래 12시간, 대체거래소(ATS) 도입 후 투자 전략 (0) | 2025.02.06 |
주식/코인 초보도 쉽게 써먹는 기술적 분석 차트 종류 (0) | 2025.02.03 |
상한가 종목 유형 별 대응 법 및 투자 전략 (0) | 2025.02.02 |
신고가 돌파 직전, 단기 매매 전략 (조건 검색식) (0) | 2025.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