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들 차트 패턴과 주가 파동으로 세우는 실전 매매 전략
기술적 분석의 기본인 캔들 차트 패턴과 주가 파동 분석을 통해, 매수·매도 시점을 보다 명확히 판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시장은 금리·심리·테마 변동성이 커지면서, 단순 지표보다 구조적 흐름 이해가 중요해졌습니다.
1. 추세 반전형 캔들 패턴
① 단일 캔들 패턴
- 망치형: 하락 후 아래꼬리 긴 양봉 → 상승 전환 신호
- 유성형: 상승 후 위꼬리 긴 음봉 → 하락 전환 신호
- 십자형/잠자리형: 방향 전환 예고
② 2개 봉 패턴
- 상승 장악형: 음봉 뒤 양봉이 감쌀 때 → 매수
- 하락 장악형: 양봉 뒤 음봉이 감쌀 때 → 매도
③ 3개 봉 패턴
- 적삼병: 양봉 3개 연속 발생 → 상승 지속 기대
- 흑삼병: 음봉 3개 연속 발생 → 하락 신호
2. 추세 지속형 캔들 패턴
- 상승 N자형: 눌림 후 직전 고점 돌파 → 매수
- 하락 격리형: 반등 후 재하락 → 매도
3. 주가 파동 이론과 매매 전략
① 상승파동 (1-2-3파)
- 2파에서 눌림 발생 시, 저점 확인 후 양봉 출현 → 매수 시점
- 3파에서 성급한 익절보다는 추세 지속 확인
② 하락파동 (a-b-c파)
- b파 반등 시 매도 → 이후 c파 급락 대비
③ 횡보파동
- 명확한 돌파 전까지 관망
- 박스권 전략: 상단 매도 / 하단 매수
④ 파동 연장과 주가 낙폭 주의
- 추세선 이탈 전까지 상승 지속 가능성
- 과도한 낙폭 → 우량주라면 기회 / 부실주는 철저히 회피
4. 실전 투자 예시
예시 1: 삼성전자 (상승파동 + 장악형)
3월 초 장기 하락 후, 망치형 출현 + 상승 장악형 발생 → 눌림 후 재상승 흐름. 2파 조정 시 전저점 방어 확인 후 진입, 3파 진행 중인 흐름으로 판단.
예시 2: 에코프로비엠 (흑삼병 + 하락 격리형)
2월 말 고점 형성 후, 3개의 음봉 출현(흑삼병), 이후 상승 시도 없이 하락 격리형 발생 → 매도 신호로 작동.
예시 3: 카카오 (횡보박스권 + 양운 돌파)
1월~3월까지 박스권 유지하다 4월 초 양운 상단 돌파 발생 → 추세 전환 확인 시 매수 유효.
5. 전략 요약: 파동과 패턴의 조합
- 상승파동: 공격적 매수, 추세 지속 시 익절 유보
- 하락파동: 손절 우선, 반등 매도 기회로 활용
- 횡보파동: 돌파 여부에 따라 기계적 대응
지금처럼 혼조장세에서는 캔들 패턴과 파동 흐름을 병행해보세요. 단기 트레이딩뿐 아니라 중기 포지션 전략에도 유효한 기준이 됩니다.
관련 글: 봉 차트(캔들) 보는 법/종류 1
갭(Gap)과 봉차트 분석: 상승/하락 신호 제대로 읽기
봉차트(캔들) 보는 법과 종류 1. 봉차트란? - 봉차트는 시가(시작 가격), 고가(최고 가격), 저가(최저 가격), 종가(마감 가격)를 막대 모양으로 시각화한 기본적인 차트 유형이다. - 미국식 도표는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 관한 모든 것
스토캐스틱 보는법과 원리 | 모멘텀 지표
스토캐스틱(Stochastic) 종류 - 일정 기간 동안 등락을 보인 가격 범위, 즉 최고가와 최저가 안에서 현재 주가가 어디쯤에 있는가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주가를 예측하는 기술적 분석기법이다. 일정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눌림목 조건 검색으로 공략하는 법
눌림목 공략 매매 방법 | 조건 검색
조건 검색으로 눌림목 공략하는 방법 눌림목 매수와 단기 공략법 - 눌림목이란, 주가가 눌려지는 일시 조정을 얘기한다. 대부분의 초보자들이 공격적인 거래를 하다 급한 마음에 실패한다. 초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D 추세 분석: 골든크로스와 다이버전스 완벽 활용법 (0) | 2022.12.30 |
---|---|
추세 분석과 추세선 활용법: 주가 방향 읽는 매매 전략 (0) | 2022.12.30 |
갭(Gap)과 캔들 차트 분석: 상승/하락 신호 제대로 읽기 (0) | 2022.12.29 |
손절매와 캔들 패턴으로 읽는 주식 매매 성공 비법 (0) | 2022.12.29 |
급락 후 반등 공략법: 조건 검색과 캔들 패턴으로 타이밍 잡기 (0)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