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평균선 매매 전략, EMA 기울기/기간 선택/심리 분석 까지 이동평균선 심리 분석과 실전 매매 전략이동평균선은 단순한 선이 아닙니다. 그 속에는 군중 심리와 시장 참여자들의 평균적인 합의 가치가 담겨 있습니다.이동평균 핵심:- 이동평균은 군중이 어떤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이동평균의 기울기와 위치를 보면 시장의 심리가 보입니다. 1. 단순이동평균(SMA)의 한계오래된 주가가 빠질 때 SMA는 현재 추세와 관계없이 흔들릴 수 있음10일 SMA는 하루가 10% 비중 → 민감한 단기선200일 SMA는 하루가 0.5% → 안정적인 장기선 2. 지수이동평균(EMA)의 장점최근 데이터에 더 큰 비중 → 추세 변화에 빠르게 반응과거 데이터가 서서히 반영되어 SMA보다 안정적기울기 상승 = 시장의 낙관 심리 / 기울기 하락 = 비관 심리기억하세요:- 이동평균선은.. 2023. 10. 16. 박스권인지 추세인지? 차트 패턴과 시간 단위 분석 매매 박스권과 추세 구간을 구분하는 차트 분석 전략트레이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방향'입니다. 그러나 그보다 먼저 해야 할 일은지금이 박스권인지, 추세 구간인지를 구별하는 일입니다. 실전 요약:- 박스권은 싸움 중인 시장, 추세는 쫓고 도망가는 싸움이 끝난 시장입니다.- "불확실하면 박스권으로 본다"는 프로의 판단을 기억하세요. 1. 군중 심리가 투영되는 박스권군중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추세 없이 방황합니다.흥분(뉴스, 수급 등)으로 잠시 추세 형성 → 다시 박스권 회귀불확실성에 대한 집착은 손실 확대의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2. 추세와 박스권을 구별하는 기준고점·저점 패턴: 상승은 고점/저점 상향, 하락은 하향, 박스권은 불규칙이동평균선 기울기: 평평하면 박스권, 지속 기울기면 추세오실레이터: MAC.. 2023. 10. 16. 주식 차트 분석 지지/저항 구간, 강도 분석으로 수익 지키는 방법 지지와 저항의 강도 분석과 실전 매매 전략주가가 일정 가격 구간에 머물며 횡보하는 밀집 구간은, 시간이 지날수록 시장 참여자들의 감정이 쌓이고 거래가 집중됩니다. 이러한 구간은 지지선 또는 저항선으로 작용하며, 매매 시 중요한 기준점이 됩니다. 핵심 요약:- 밀집 구간의 길이, 높이, 거래량이 강도를 결정합니다.- 지지선은 아래에서 접근할 때, 저항선은 위에서 접근할 때 나타납니다. 1. 지지·저항 강도를 결정짓는 3요소기간(길이): 오래 머문 구간일수록 강도 높음폭(높이): 변동 범위가 클수록 저항이 강함거래량: 거래량이 많을수록 감정적 집착이 강해 강도 높음 2. 실전 매매 전략에 적용하는 방법지지선 부근 하락 시 가짜 이탈 여부 확인 → 반등 시 매수저항선 돌파 시 되돌림 여부 확인 → 되돌림 없다.. 2023. 10. 13. 잘못된 신호/추세선 돌파/갭 메움이 알려주는 반전 매매 전략 잘못된 신호, 진짜 고수만이 수익으로 바꾸는 기술차트 분석의 핵심은 신호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신호가 실패했을 때 시장이 무엇을 말하는지 읽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강세·약세 함정, 추세선 오신호, 갭 메움 등 실전에서 자주 나타나는 '잘못된 신호'를 어떻게 수익 전략으로 바꾸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실전 포인트:잘못된 신호 = 실패가 아닌 기회일 수 있습니다. 되돌림, 돌파 무효, 갭 메움은 모두 반전 매매의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1. 강세 함정·약세 함정: 신호 반대로 움직일 때가 진짜 기회강세 함정: 상향 돌파 후 하락 → 매도 시그널약세 함정: 하향 돌파 후 상승 → 매수 시그널박스권 돌파 이후 추세가 이어지지 않고 되돌림이 발생하면, 기존 신호는 무효이며 반대 방향의 강한 추세가.. 2023. 10. 1. 목표가 설정부터 포지션 청산까지, 차트로 수익 지키는 실전 전략 목표치 설정과 포지션 청산 전략, 수익을 결정짓는 기술단순히 수익을 바라는 투자보다, 목표치를 명확히 정하고 언제 청산할지 아는 투자자가 결국 수익을 지켜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차트 기반 목표 설정과 실전 청산 기준을 함께 정리해봤습니다. 실전 매매에서 가장 많이 묻는 질문:"목표가는 어디 잡고, 언제 팔아야 할까요?" 지금부터 그 해답을 구체적으로 풀어봅니다.1. 차트 패턴 기반 목표치 설정법헤드 앤 숄더 패턴: 목선 돌파 이후, 머리에서 목선까지 거리만큼의 하락 목표치를 예상P&F 차트: 박스(기둥)의 수 = 돌파 후 칸 수 → 간단하지만 유용한 패턴 추정법 주의: 패턴은 '매수 신호'로는 유효해도 '목표치'로는 오차가 큽니다. 여러 패턴이 겹치는 지점을 목표가로 삼으면 신.. 2023. 9. 30. 이전 1 ··· 4 5 6 7 8 9 10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