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F, 주식처럼 사고파는 펀드 |가장 싸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 ETF 펀드 차이 - ETF는 펀드처럼 투자자들의 돈을 모아 하나의 펀드로 구성해서 주식, 채권, 원자재 등의 자산에 투자한다. 단 이 둘은 거래 방식이 다르다. ETF는 투자자들이 펀드의 지분(share)을 회사로 부터 직접 사고팔 수가 없다. 마치 주식처럼 증권거래소에서 그때그때 거래된다. 그렇기 때문에 펀드와 달리, 거래 가격을 알기 위해 그날의 주식시장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ETF를 이용해 코스피지수에 투자를 한다면, 지수의 가격 변화를 봐가면서 투자를 할 수가 있다. 또 ETF는 펀드와 비슷한 특징을 지닌 거의 모든 종류의 펀드를 가지고 있다.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펀드의 지분을 사는 것과 ETF의 지분을 사는 것은 차이가 있다. ETF의 지분을 살 때는, ETF의 기본 자.. 2023. 8. 19.
ETF 투자란? (기본 개념 정리) ETF  투자란?  ETF (상장지수펀드) - ETF(Exchange Traded Fund)란, 특정 주가 지수 움직임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는 지수형 상품으로, 상장된 주식처럼 언제든지 매매가 가능한 펀드 상품이다. 펀드 상품을 어떻게 마음대로 사고 파느냐? 각 펀드 상품별로 종목명(상품명)과 종목 번호가 주어져 있어, 일반 종목처럼 상장되기 때문에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다.   - 일반 종목과는 다르게, 독자적으로 상승 · 하락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지수의 움직임을 추적하도록 설계되어, 특정 주가 지수가 상승하면 같은 비율로 상승한다. 예를 들면, 자동차 업종군과 연계된 KODEX(코덱스)자동차는 자동차 주가가 오르면 같은 비율로 오르고, 반도체 업종과 연계된 KODEX(코덱스) 반도체도 마찬가지다. .. 2022. 7. 27.
ETF 단기 투자 방법 ETF 단기 투자방법 1, 투자금액의 상한선과 나름의 투자원칙  - 어떤 종목을 어떤 경우에 매수하고, 매도할 것인지 사전에 나름의 투자원칙을 만들어 놓은 투자자만이 단기매매에 성공할 수 있다. 정해둔 투자원칙대로 했는데, 연속적으로 맞지 않는다면, 즉시 거래를 그만두고, 투자원칙을 다시 세워야 한다. 또, 1회 거래한도를 포함한 투자금액의 상한선을 사전에 정해두는 것도 중요하다. 투자금액 상한선은 만약 예상과 다르게, 손해를 봤을 때,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정해둬야 한다. 2. 설정 규모가 크고 거래가 많은 종목을 선택   - 유동성이 떨어지면, 매매하고자 하는 가격과 시간에 거래하지 못할 위험이 있으므로, 투자대상 ETF의 설정규모가 크고, 거래가 많은 종목을 선정해야 한다.  - 거래량은 레.. 2021. 6. 15.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