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코인 공부

거래소 망하면 내 암호 화폐는 어떻게 될까?

by 블랙스완 미니 2022. 6. 7.

국내 거래소는 몇 개 안되고 어느 정도 관리가 되기 때문에 그럴 일이 거의 없지만, 외국 거래소는 백사장 모래알처럼 무수하게 많기 때문에 혹시라도 망하거나 없어질 경우, 내 코인은 어떻게 될까?  

 

거래소-망하면-내-암호화폐
코인 거래소가 망하면?

거래소 폐업하면 내 코인은 어떻게 될까?

- 암호화폐를 보유한 법인/개인이 파산할 때 파산선고일 기준 전후 1개월의 평균가로 암호화폐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법원의 가이드라인이 처음 제시됐다.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 회생 법원 가상자산 연구반은, 파산 시에 암호화폐의 가치 평가 기준 등이 포함된 가이드라인을 제작해서 배포했다. 

 

- 해당 가이드라인에는 개인/법인의 회생/파산 사건 시 암호화폐 평가 및 환가 방법이 담겨 있다. 또 비상장 암호화폐와 탈중앙 금융(디파이)은 어떻게 자산을 평가할 것인지 등에 대한 연구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현실에서도 자산으로 활용 가능해지면서, 도산 사건에도 명확한 처리 절차를 확립할 필요성이 생겼다"라고 가이드라인 작성 이유를 설명했다. 

 

-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법원은 법인이 암호화폐 등을 보유한 경우, 이것을 자산으로 평가해서 회생/파산 선고 등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특히 법인 파산선고 시 암호화폐 거래소의 시세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개인/법인의 회생/파산 시에 암호화폐 자산 평가 

-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암호화폐는, 암호화폐 관련 협회, 전문가 단체, 대학 등 이해관계가 없는 전문가들의 시가감정촉탁을 거쳐서,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고려 중이다. 반면에, 개인파산 시에는 암호화폐가 파산 원인에 영향을 미쳤는지, 개인이 해당 자산에 대한 면책 신청을 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해서, 자산을 평가할 예정이다. 

 

- 기존 자산을 변제 재원으로 투입해야 하는 개인/법인 회생의 경우는 회생 신청 혹은 개시 결정 시에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 자산을 평가해서, 변제 재원으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단, 암호화폐 가격이 실시간으로 변하는 만큼, 각 기준일 전후 1개월 동안의 평균가액으로 가치를 산정할 것으로 보인다. 

 

- 이것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증세법)상 암호화폐를 평가하는 방법을 참고한 것이다. 단, 이런 방식은 상속과는 상관없이 암호화폐의 변동성 때문에 회생이나 파산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기준일 전후 1개월 평균가로 가치를 계산하면, 당사자에게 불리한 판단이 나올 수도 있다. 

 

 

 

 


관련 글: 암호화폐 국내로 옮길 때 알아야 할 4가지 (+ 비트코인의 역할)

관련 글: 코인 스캠(coin scam) 구별하는 방법 (+ 백서 Whitepaper 분석)

관련 글:  코인(암호화폐) 마진/선물 전문 거래소 (+한글 지원/업비트 연동)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