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vot 2차 저항선(Pivvot) 지표 완벽 활용법
1. Pivot 지표란?
'Pivot' 지표는 데이 트레이딩, 스캘핑과 같은 초단기 매매에 활용되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주로 1분, 3분, 5분봉에서 활용되며, 지지선과 저항선을 기준으로 매수·매도 타이밍을 포착합니다.
2. Pivot 기준선 계산법
- 공식: (전일 고가 + 전일 저가 + 전일 종가) / 3
- 해석: 기준선 위에서 주가 시작 → 강세, 아래에서 시작 → 약세
- 매수 타점은 기준선 위에서 시초가 시작하는 종목
기준선을 뚫고 시작하는 종목을 오전장에 바로 체크하세요.
3. 저항선 및 지지선 공식
- R1 (1차 저항선): (2 × Pivot) – 전일 저가
- R2 (2차 저항선): Pivot + (전일 고가 – 전일 저가)
2차 저항선을 강하게 돌파하면 단기 변동성이 커지므로, 매수 시점으로 적합합니다. 하향 이탈 시에는 관망 또는 매도 전략.
4. 피봇 2차 저항선 매매 전략
- R2 돌파 시 강한 매수세 유입 → 데이 트레이딩 적합
- 전일 고가를 돌파하지 않고 거래 증가 + R2 돌파 시 매수 타점 형성
- 거래량은 반드시 확인해야 할 지표
기본 매수 조건 (피봇 돌파)
- 현재가 > R2
- 현재 거래량 > 20분 평균 거래량 × 1.5
추가 필터 조건
- 5분봉 기준, 20이평선 상향 돌파
- 최근 10분간 등락률 1% 이상 상승
- 분봉 거래대금 1억 원 이상
위 조건을 조합한 검색식을 활용하면 오전 단타 종목 선별이 쉬워집니다.
5. 조건 검색식 예시
현재가 > R2
AND 거래량(분봉) > 20분 평균 거래량 × 1.5
AND 이동평균선(5분, 20) 돌파
AND 등락률 > 1%
6. 피봇 매매 실전 활용 팁
- 30분 이내 실시간 돌파 종목 모니터링
- 검색된 종목의 차트를 보며 거래량·캔들 패턴 확인
- 돌파 실패 시 빠르게 손절
- 목표가: 전일 고가 대비 2~3% 상승 지점
피봇 매매는 속도가 핵심! 목표가와 손절가를 명확히 설정하세요.
7. 이런 경우 피봇 매매가 유리합니다
- 거래량 폭증 + 시초가 기준선 위 출발
- 지수 변동이 크지 않은 박스권 장세
- 단기 급등주 필터링 시, 리스크 관리와 수익률 극대화 가능
기술적 분석 - 오실레이터 (모멘텀 지표)
오실레이터 - 가장 대중적인 기술적 지표가 바로 오실레이터(oscillator)다. 오실레이터는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 RSI), 스토캐스틱(stochastic), 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moving average convergence-div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추세선/ 이동평균선 이용한 매매 방법
추세선/ 이동평균선 이용한 매매 방법
추세선/이동평균선 이용한 매매 방법 추세선(Trend Line)이란? 주가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을 말한다. 주가는 일정 기간 동안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을 추세라 하고,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지지 저항 활용 매매 방법 |차트 분석
지지 저항 활용 매매 방법 |차트 분석
지지와 저항의 강도 - 주가가 밀집 구간에 오래 머물수록 그 구역에 감정적으로 더욱 집착하게 된다. 추세와 여러 차례 접촉한 밀집 구간은 마치 격전이 벌어져서 분화구가 파인 전쟁터와 같다.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집중 투자 ETF, 국내vs 해외 비교 분석 (0) | 2024.10.28 |
---|---|
조건 검색식 만드는 방법 (미래에셋 기준) (0) | 2024.09.29 |
전환사채(CB) 발행 기업 풋옵션 조심(투자자 대응 방법) (0) | 2024.09.26 |
주가에 대한 오해 16가지 (0) | 2024.09.23 |
대주 거래 대신 현물 주식 연계매매 해야 하는 이유 10가지 (0) | 2024.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