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주식공부

테슬라 집중 투자 ETF, 국내vs 해외 비교 분석

by 블랙스완 미니 2024. 10. 28.

테슬라-집중-투자-ETF-비교
테슬라 ETF

테슬라 집중 투자 ETF 비교: 국내 vs 해외 어디에 투자할까?

- 테슬라의 주가 변동성이 커지면서 테슬라에 집중 투자하는 ETF(상장지수펀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ETF와 해외 ETF는 투자 방식과 리스크, 수익률이 다르기 때문에 신중한 선택이 필요. 국내와 해외 테슬라 집중 투자 ETF를 비교하고 장단점을 정리했다.

 

국내 테슬라 집중 투자 ETF

- 국내 증시에 상장된 테슬라 ETF는 주로 레버리지, 커버드콜, 채권 혼합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화로 거래할 수 있어서 접근성이 높다.

1. ACE 테슬라밸류체인 액티브 (15.8%)

- 테슬라 및 관련 기업에 투자, 레버리지 포함

2. KODEX 테슬라커버드콜 채권혼합 액티브(26.0%)

- 테슬라 주식 + 커버드콜 + 국내 채권

3. KODEX 테슬라밸류체인 FactSet(17.9%)

- 테슬라 밸류체인 관련 기업 투자

4. TIGER 테슬라채권혼합 Fn (29%)

- 테슬라주식 29%와 국내 채권에 투자해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한다.

※ 2025년 3월 17일 기준이며,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국내 테슬라 집중 ETF 장점

1) 거래 편의성: 원화 거래 가능, 환전 없이 투자 가능

2) 세금 혜택: 해외 ETF보다 양도소득세 부담이 적다

3) 변동성 완화: 채권혼합형 ETF는 변동성을 낮춰서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하다

국내 테슬라 집중 ETF 단점

1) 레버리지 부족: 해외 ETF보다 공격적인 투자 상품이 적다

2) 시장 제한: 미국 시장 직접 투자보다 상품 다양성이 떨어진다

3) 환율 제한적: 원화 기준 투자로 달러 강세 시 이익 제한

 

해외 테슬라 집중 투자 ETF

- 해외 ETF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상품을 의미하며, 직접 투자 시 레버리지 상품을 포함해 다양한 선택지가 있다.

1. TSLL( Direxion Daily TSLA Bull 1.5X)

- 테슬라 주가 1.5배 레버리지

2. TSLQ( AXS TSLA Bear 1X ETF)

- 테슬라 주가 역베팅(숏) 가능

3. TSLY( YieldMax TSLA Option Income Strategy)

- 커버드콜 전략, 고배당 ETF

4. ARKK(ARK Innovation ETF)

- 테슬라 비중 높은 혁신기업 투자

해외 테슬라 집중 투자 ETF 장점

1) 상품 다양성: 레버리지(1.5배, 2배) 및 옵션 기반 ETF 존재

2) 직접 투자 기회: 미국 증시와 동일한 조건으로 테슬라 주가 반영

3) 달러 투자 가능: 달러 강세 시 환차익 효과 기대 가능

해외 테슬라 집중 투자 ETF 단점

1) 양도소득세 부담: 연간 매매 차익이 250만 원을 초과하면 세금 부과

2) 환율 리스크: 원화 가치 변동에 따라 손실 가능성 존재

3) 거래 불편: 해외 증권사 계좌 개설 필요, 원화 환전 과정 있음

어떤 ETF가 나에게 맞을까?

1) 안정적인 수익 + 세금 부담 최소화 -> 국내 채권 혼합형 ETF

2) 레버리지 활용한 고위험/고수익 투자 -> 해외 레버리지 ETF

3) 배당 수익 + 테슬라 투자 -> 커버드콜 전략 ETF

 

※ 투자 목표와 리스크 감내 수준에 맞춰서 적절한 ETF를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

 

 


 

관련 글: 퇴직연금 복리로 제대로 굴리는 방법

 

퇴직연금 복리로 제대로 굴리는 방법

퇴직연금 복리 운용 제대로 하는 방법- 퇴직연금은 복리의 마법이 가장 잘 작동하는 금융시장이다. 월 75만 원을 연평균 5% 수익률로 30년간 투자하면 6억이 넘게 불어난다. 하지만 연평균 수익률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배당형 ETF로 '배당 달력' 짜기 전략

 

배당형 ETF로 '배당 달력' 짜기 전략

배당형 ETF '배당 달력' 전략서학개미 '필수템' 미국 배당 ETF- 'SCHD' 'VOO' 'QQQ' 'JEPT' 등 얼핏 암호처럼 보이지만 해외주식 투자하는 사람 사이에서는 익숙한 단어다. 서학개미는 올해 들어 지난 19일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매달 배당주는 한국판 TLTW

 

매달 배당주는 한국판 TLTW

매달 배당주는 한국판 TLTW 1. 미국에서 성공한 커버드콜 ETF의 국내 출시  커버드콜 ETF란?- 기초 자산(주식/채권 등)을 보유하며, 해당 자산을 특정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를 매도해 수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