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 사채 발행 기업 풋옵션 조심, 투자자 대응 방법
- 전환사채(CB)의 풋옵션(조기상환청구권) 행사 사례가 많다. 특히 주가 하락으로 인해 CB 풋옵션 행사가 증가하면, 해당 기업에 투자한 주식 투자자들 역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해진다. 기업과 투자자 모두 신중한 대응 전략이 필수적이다.
CB 풋옵션 행사 사례
1) 비료 제조업체 누보
- 2023년 발행한 200억 규모 CB 중 91%인 182억 원을 2025년 3월 6일 상환
- 첫 번째 조기상환일이었으며, 조달한 자금으로 생산 확대를 추진했으나 외부 악재로 수익성 악화
- CB 발행 당시 전환가액 2,300원이었던 주가는 현재 1,200원대로 하락
- 주가가 전환가액보다 낮아지면서 채권자들이 풋옵션을 행사해서 원금을 회수
2) 반도체 장비업체 러셀
- 2021년 발행한 100억 규모 CB의 세 번째 조기상환일 도래
- 이번 풋옵션 행사 금액은 60억 원, 누적 풋옵션 행사 비율 85%
3) 환경 엔지니어링 기업 KC 코트렐
- 2022년 발행한 125억 원 규모 CB 중 59%(73억원)에 대한 풋옵션 행사
- 원리금 지급 불능으로 인해 워크아웃(기업 구조조정) 절차 진행
※ 이처럼 주가가 전환가액을 밑돌면 CB투자자들이 풋옵션을 행사하고, 기업들은 현금 상환 부담 증가로 인해 재무적 어려움을 겪게 된다.
대형 기업들도 CB 풋옵션 대응
1) 카카오 게임즈
- 2021년 3월 발행한 5,000억 원 규모 CB
- 발행 당시 주가 5만원 대 -> 현재 1.6만 원대로 급락
- 2025년 3월 첫 조기상환일에 3,708억 원 규모 풋옵션 행사
- 이달 추가로 815억원 행사 -> 누적 풋옵션 행사 비율 90% 초과
- 원금 상환을 위해 2700억 원 규모 교환사채(BB) 발행
2) 하이브
- 2021년 11월 발행한 4,000억 원 규모 CB
- CB 발행 당시 주가 40만 원 -> 현재 16만 원 수준
- 오는 11월 대량 풋옵션 행사 가능성에 대비해 차환(재발행) 준비 중
CB 풋옵션 증가로 인한 기업들의 대응 전략
- CB 풋옵션 행사 증가로 인해 기업들의 자금 운용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 특히 주가 하락이 지속될 경우 CB 상환 부담이 가중돼서, 기업들은 다음과 같은 대책을 마련한다.
1) 차환 발행: 새로운 채권 발행(EB,BW) 등을 통해 기존 채권을 상환
2) 자금 조달 다변화: 은행 대출, 회사채 발행 등으로 현금 확보
3) 재무 구조 개선: 비용 절감, 사업 다각화 등을 통해 투자자 신뢰 회복
4) 주가 방어 전략: 자사주 매입, 배당 확대 등을 통해 CB 투자자의 풋옵션 행사 가능성을 낮춘다
CB 풋옵션 증가 속 주식 투자자의 대응 전략
- CB 풋옵션 행사 증가는 기업의 현금 유동성을 악화시키고,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 따라서 주식 투자자들은 CB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투자 전략을 조정해야 한다.
1. CB 발행 기업의 재무 안정성 점검
- CB 발행 기업의 현금 보유량, 부채비율, 영업이익률 등을 분석
- 풋옵션 행사 시 원금 상환이 가능한지 확인
- 상환 능력이 낮다면 주가 하락 가능성이 커진다
2. 전환가액과 주가 차이 확인
- 주가가 전환가액보다 낮을 경우, 풋옵션 행사 증가 가능성
- 반대로 주가가 전환가액을 웃돌면 주가 상승 가능성 있다
3. CB 조기 상환일 체크
- 풋옵션 행사 가능성이 높은 기업의 경우, 조기상환일이 다가올수록 변동성이 커진다
- 기업이 충분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지 점검 한다
4. 차환 발행 및 자금 조달 여부 확인
- CB 발행 기업이 풋옵션 행사에 대비해 차환 발행, 대출 등을 준비하는지 파악
- 현금 유동성이 부족한 기업이라면 주가 추가 하락 가능성 높다
5. 주가 흐름과 기업 대응 전략 모니터링
- CB 풋옵션 행사 후 주가 흐름 체크
- 주가 부진이 지속될 경우 추가 리스크 발생 가능
- 차환 발행, 자사주 매입 등의 대응 여부 확인
6. 손절 또는 저점 매수 전략 활용
- 기업이 풋옵션 행사로 인해 재무 위기를 겪는다면 손절 고려
- 반면, 기업이 차환 발행, 유동성 확보 등의 대응을 잘한다면 저점 매수 기회 가능
기업과 투자자 모두 신중한 대응 필요
CB 풋옵션 행사 증가로 인해 기업들은 현금 상환 부담 증가, 재무 리스크 확대 등의 문제를 겪는다.
- 기업들은 자금조달 다변화, 주가 방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 투자자들은 기업 재무 상태, 전환가액과 주가 차이, 조기상환일 등을 면밀히 분석하는 전략이 필요
관련 글: 회사채 종류와 주식 차이점 | 공시 읽기
회사채 종류와 주식 차이점 | 공시 읽기
회사채 종류와 주식 차이점 전환 사채(CB, Convertible Bond) 공시 확인 - 주요 사항 보고서(전환 사채권 발행 결정)- 전환사채는 일반 회사채에 주식(보통주)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무상 감자 유상 감자 차이 (+ 출자 전환) | 공시 읽기
무상 감자 유상 감자 차이 (+ 출자 전환) | 공시 읽기
무상/유상 감자 차이와 출자 전환 |공시 읽기 1. 무상 감자 1) 개념 및 목적- 무상감자란, 회사 자본금을 줄이되 주주들에게 아무런 보상(환급)을 해주지 않는 감자를 말한다. - 주주들이 보유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 시장 '블록 딜'이란?_예시
주식 시장 '블록 딜' 이란?_예시
블록딜이란, 장외 대량 매매를 말한다. 할인가 거래로 주가 하락을 부추기는데, 현행법상으로 피해를 막을만한 방법이 없어, 사전 공시제도 대안에도 효과는 미지수다. 개미들 울리는 '블록딜'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 검색식 만드는 방법 (미래에셋 기준) (0) | 2024.09.29 |
---|---|
피봇(pivot) 2차 저항선 돌파 매매법, 거래량과 조건 검색 전략 (0) | 2024.09.29 |
주가에 대한 오해 16가지 (0) | 2024.09.23 |
대주 거래 대신 현물 주식 연계매매 해야 하는 이유 10가지 (0) | 2024.09.22 |
하락주 현물 주식 연계매매로 살리기 (0) | 2024.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