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코인 공부

코인 ICO 참가, 이것만 알면 안전하다 (단계별 실전 안내)

by 블랙스완 미니 2021. 11. 18.

코인-ICO-하는법-초기-5단계
ICO 참가 하는 법

2025년 ICO 참가하는 법: 단계별 실전 가이드

ICO(Initial Coin Offering)는 여전히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이 자금을 유치하는 주요 수단입니다. 하지만 최근 보안 규제 강화와 프로젝트 투명성 강화 추세 속에서, 개인 투자자도 보다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아래는 최신 기준으로 정리한 ICO 참가 절차입니다.

 

1단계: 거래소에서 가상화폐 구매

  •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신뢰도 높은 거래소에서 계정 생성
  • KYC(신원인증), OTP 등록 후 계좌 활성화
  • 법정화폐 입금 → 이더리움(ETH) 혹은 프로젝트 요구 코인 매수
  • ICO 참여 시 요구하는 특정 코인 송금 가능 여부 반드시 확인
⚠ 거래소마다 특정 코인 송금이 제한되는 경우 있음. 예: 비트코인 가능, 스팀 불가

2단계: 개인 지갑으로 코인 송금

  • 메타마스크, 트러스트월렛 등 ERC-20 호환 개인 지갑 생성
  • 거래소에서 해당 지갑 주소로 이더리움 전송
  • 송금 전, 지갑이 ICO 토큰 표준을 지원하는지 확인
 대부분의 ICO는 ERC-20 기반이나, 일부는 ERC-721, ERC-1155 등도 사용됨

 

3단계: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로 전송

  • 프로젝트 공식 페이지나 백서에서 컨트랙트 주소 확인
  • 개인 지갑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로 코인 전송
  • 거래 이후, 스마트 컨트랙트가 자동으로 토큰 분배

4단계: 소프트캡 달성 여부 확인

  • 이더스캔(Etherscan.io) 등에서 컨트랙트 상태 확인
  • 모금 진행 상황 → 공식 웹사이트 또는 블록 탐색기로 추적
  • 소프트캡 미달성 시 환불 자동 처리됨
프라이빗 세일로 이미 소프트캡 채운 경우도 있음 → 무조건 신뢰 금지

 

5단계: 모금 이후 자금 운용 감시

  • 프로젝트 지갑 주소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공개됨
  • 모금된 ETH 사용처(개발, 마케팅 등) 추적 가능
  • 백서에 명시된 용도와 실제 지출 비교 필요
프로젝트 팀이 자금을 어떻게 집행하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최신 트렌드 요약 (2025년 기준)

  • Web3 기반 프로젝트 중심으로 ICO 증가
  • 이제는 IDO/IFO와 혼용되는 사례도 많아 → 참여 플랫폼 체크 필수
  • KYC 필수화, 보안 인증 절차 강화 추세

ICO는 높은 수익을 줄 수 있지만, 동시에 가장 큰 리스크를 안고 있습니다. 기초부터 보안, 프로젝트 투명성까지 꼼꼼하게 확인하고 참여하시길 바랍니다.

 


관련 글: ICO를 하려고 할 때 고려할 사항( 기본 개념 정리 )

 

ICO를 하려고 할 때 고려할 사항( 기본 개념정리 )

기업은 ICO (Initial Coin Offering)를 왜 하는가? - ICO 이해를 위해서는 IPO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IPO(Initial Public Offering)는 쉽게 말해, 기업이 주식 시장에 상장하는 것이다. IPO를 통해, 주식 시장에 공개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ICO진행 시 감안해야 할 리스크 7가지

 

ICO진행 시 감안해야 할 리스크 7가지

ICO 진행 시 리스크 1. 기존 실패 사례 - ICO가 넘쳐나는 시대다. 각자 자신의 ICO가 특색 있고, 유의미하다고 광고하지만, 참여자 입장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일 수 있다. 현재 AI와 데이터, 게임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ICO 과정 4단계 (개념 요약)

 

ICO 과정 4단계 (개념 요약)

ICO 4단계 간략 요약 1. 웹 페이지 제작 -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팀과 백서를 게시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개설한다. 추가적으로 SNS 채널 정보나 기술 블로그 등을 소개해서, 프로젝트 참가자와 접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