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주식공부

일목균형표 란? 선/구름/수열로 주가 변곡점 찾는 방법

by 블랙스완 미니 2021. 7. 19.

일목균형표-보는법-매매-방법
일목균형표 보는법

일목균형표란? (실전 정리)

일목균형표는 가격과 거래량뿐 아니라, 시간 요소까지 포함하여 향후 주가 추세를 예측하는 독특한 기술적 분석 기법입니다. 다른 지표와 달리 일정한 시간 수열을 바탕으로 추세 전환점을 계산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이치모쿠 산진이 제안한 수열: 9, 17, 26, 33, 52, 76, 129, 172, 226 … 각각은 일/주/월/분기/년 단위로 변곡 가능 시점을 의미합니다.

일목균형표의 구성 요소

총 5개의 선 + 2개의 구름층으로 구성됩니다.

① 전환선

  • 최근 9일간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
  • 단기 이동 평균 개념

② 기준선

  • 최근 26일간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
  • 중기 기준선으로 시세 중심선 역할

③ 후행스팬

  • 현재가를 26일 뒤로 이동시켜 나타낸 선
  • 과거 주가 대비 현 시세 흐름 비교 가능

④ 선행스팬 1

  • 전환선과 기준선의 중간값을 26일 앞당긴 값

⑤ 선행스팬 2

  • 52일간의 최고·최저 평균을 26일 선행

⑥ 구름층 (양운/음운)

  • 선행스팬 1과 2 사이의 간격 색칠
  • 양운(붉은색) = 상승 / 음운(파란색) = 하락

매매 전략 4가지

1. 기준선 중심 매매

  • 기준선 상승: 매수 우위
  • 기준선 하락: 매도 관점

2. 전환선-기준선 활용

  • 주가 > 전환선 > 기준선 = 강세
  • 기준선 > 전환선 > 주가 = 약세
  • 전환선이 기준선 상향 돌파 = 매수 시점 (골든크로스)
  • 전환선이 기준선 하향 돌파 = 매도 시점 (데드크로스)

3. 후행스팬 돌파

  • 후행스팬이 주가 상향 돌파 = 매수 신호
  • 후행스팬이 하향 돌파 = 매도 신호

4. 구름층 활용

  • 구름층 위에서 지지 → 상승 여력
  • 구름층 아래에서 저항 → 하락 가능
  • 양운 전환 = 강세, 음운 전환 = 약세 신호
  • 구름 두께가 클수록 강한 지지/저항

보조지표와 함께 쓰면 더 강력합니다

일목균형표는 MACD, 스토캐스틱 등과 함께 사용할 때 더욱 정확한 매수/매도 판단이 가능합니다.

  • 스토캐스틱: 단기 과열/침체 체크
  • MACD: 추세 전환 확인
  • 일목균형표: 시간 수열 기반의 추세 흐름 파악
 주의: 지표는 어디까지나 참고 수단이며, 매매 시에는 30분·15분·5분 봉 등 다중 타임프레임 확인이 필수입니다.

2025년 현재, 시장은 금리와 성장주, 기술주 등 다양한 흐름이 교차 중입니다. 일목균형표는 단기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고 흐름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로, 개인 투자자에게 추천되는 실전 분석 툴입니다.

 


관련 글: 주식 보조지표(DMI/ADX, Chaikin's Oscillator, 그물 차트) 정리

 

주식 보조 지표(DMI/ADX/ Chaikin's Oscillator/ 그물 차트) 종류

보조지표 종류 1. DMI(Directional Movement Index)/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 DMI는 시장이 추세를 가지고 있는지, 또 있다면 어떤 추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지표다. ADX는 DMI를 이동 평균한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 보조지표 (투자심리선, 이격률, 삼선전환도, P&F차트, 역시 계곡선, CCI, RSI) 정리

 

주식 보조지표 (투자심리선/이격률/삼선 전환도/P&F차트/역 시계 곡선/CCI/RSI) 종류 총 정리

주식 보조지표 활용 총정리 - 그래프를 클릭하면 주가와 거래량 그리고 이동평균선이 나오는데, 다른 차트와 구분하기 위해 기본 차트라고 한다. 기본 차트 외에, 많은 종류의 보조차트가 있는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추세 분석 이용한 5가지 매매 방법

 

추세 분석과 추세선 활용법: 주가 방향 읽는 매매 전략

추세 분석과 매매 전략 추세 분석이란?- 추세 분석은 주가가 일정 기간 동안 상승, 하락, 횡보라는 특정 방향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활용한 기법이다. - 추세의 지속성: 추세는 한 번 형성되면 상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