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용카드 똑똑하게 활용하는 7가지 실전 전략
신용카드 발급과 활용에는 생각보다 많은 팁이 숨어 있습니다. 캐시백부터 신용 점수 관리, 카드 해지 시 주의할 점까지 꼭 알아두면 돈도 아끼고 신용도도 올릴 수 있습니다.
1. 신규 발급 캐시백 이벤트 제대로 활용하기
카드사마다 신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7만~15만 원 상당의 캐시백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대개 최근 6개월간 해당 카드사 이용 이력이 없으면 참여 가능하며, 프로모션은 매달 금액과 조건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주의: 과도한 카드 발급은 신용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2. 카드 풍차돌리기 전략
'풍차 돌리기'는 매달 다른 카드사에서 신규 발급 이벤트를 활용해 캐시백을 받는 방식입니다. 단, 여러 카드를 동시에 신청하면 거절 가능성이 커지므로 1~2개월 간격으로 신청하는 게 안전합니다.
3. 간편 결제 할인 챙기기
온라인 쇼핑 시 간편결제 앱에서 제공하는 할인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카카오페이, 페이코, 네이버페이, 토스 등에서 특정 카드와 연결하면 10~20% 할인 이벤트를 상시 제공합니다.
활용 팁: 결제 직전, 해당 쇼핑몰에서 어떤 간편결제 이벤트가 있는지 꼭 확인하고 진행하세요.
4. 신용 점수 올리는 카드 사용법
신용 점수를 올리려면 다음 조건을 지켜야 합니다:
- 결제일을 13일 또는 14일로 지정해 실적 계산일을 1일~말일로 맞추기
- 카드 한도의 50% 이내 사용
- 할부는 사용하지 않기
- 리볼빙·현금서비스·카드론은 절대 금지
5. 카드 포인트 통합 관리법
여신금융협회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서비스에서는 각 카드사 포인트를 한번에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할 수 있습니다. 휴대폰 인증만으로 이용 가능하며, 토스 앱에서도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6. 카드 해지 vs 탈회 차이
- 카드 해지: 특정 카드만 해지, 회원 정보는 유지
- 카드 탈회: 해당 카드사의 모든 카드 해지, 회원 탈퇴
오래 사용한 카드를 해지하면 신용 점수 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단순 해지로 충분한지 꼭 따져보세요.
7. 안 쓰는 카드 정리법
사용하지 않는 카드는 반드시 고객센터에 연락해 해지하거나 탈회하고, 실물 카드는 잘라서 폐기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연회비가 자동 청구되거나, 불필요한 갱신 발급이 될 수 있습니다.
※ 불필요한 연회비 납부, 낮은 신용 점수로 손해 보지 않도록 지금부터 카드 습관을 정리해보세요.
관련 글:환율 급등기 재테크 전략 9가지
환율 급등기 재테크 전략 9가지
환율 급등 시 일반인이 할 수 있는 재테크 전략- 환율이 급등할 때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투자와 소비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환율 급등기에는 아래와 같은 재테크 전략이 효과적일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재테크 초보를 위한 꿀 팁 14가지
몰랐던 금융 꿀팁, 연말 정산 + 재테크 실수 줄이는 방법
연말정산 & 재테크 실전 전략 14가지알아두면 세금도 줄이고 돈도 아낄 수 있는 2025년 최신 재테크 꿀팁을 정리했습니다. 연말정산과 연계되는 금융 습관, 꼭 체크하세요. 1. 예금/적금 깨지 말고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초보 달러 투자 종류/방법 4가지 (+ 주의 사항)
달러 투자, 예금만으로 충분할까? 초보부터 고수까지 전략 총 정리
초보자를 위한 달러 투자 방법 정리처음 달러 투자를 시작하려는 분이라면, 가장 쉬운 방법부터 점차 고수익을 노리는 투자까지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방법과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세금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금,생활비 어디 두세요? 고금리 CMA 통장 200% 활용법 (0) | 2022.10.28 |
---|---|
지식은 곧 현금이다, 초고속 독서/아이디어/수익화 3단계 (0) | 2022.10.26 |
COFIx(코픽스) + 1.3%의 진짜 의미, 대출 금리 결정 구조 및 변동 구조 (0) | 2022.10.12 |
이게 불법이라고? 몰라서 당하는 불법 채권 추심 대처 방법 (0) | 2022.10.11 |
KG모빌리언스 미납문자 (채권 소멸시효 확인 필수) (0) | 2022.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