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만의 경험/나를 챙김

강박적 행동의 치유 효과 5가지

by 블랙스완 미니 2022. 11. 23.

강박적-행동-위안-효과-하는-이유
강박적 행동 치유 효과 5가지

1. 기분을 바꿔 준다

- 강박 행동은 우리가 느끼고 싶은 감정은 느끼게, 느끼고 싶지 않은 감정은 느끼지 않게 해 준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긴장되는 회의를 하다가 담배 한 대 피우러 밖에 나가는 것은 긴장을 해소하고 대신 좀 더 편안한 기분을 느끼기 위해서다. 전국 술집에 저녁마다 사람이 북적이는 이유는, 직장에서 받은 압력과 불만을 잊으려는 사람들 때문이다. 

 

일 중독자들은 프로젝트를 성공시킬 때마다 대단한 성취감을 느낀다고 말한다. 사람은 저마다 자기만의 욕구와 생활양식, 유전적 구성에 적합한 방식으로 강박적이 된다. 부모가 아이를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키려고 강박적으로 애를 쓰는 경우, 그 아이는 자라서 강박적으로 위험을 즐기는 사람, 즉 관계에서, 일에서, 그리고 라스베이거스에서 도박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2. 일시적인 해결책으로 작용한다

- 어떤 행동이 어떤 욕구를 충족시킬 때, 그 행동은 계속될 공산이 크다. 사람들은 효과가 있는 행동을 반복한다. 엔도르핀이라는 기분 전환 물질은 뇌의 쾌락 영역을 자극한다. 이 뇌 화학물질이 분비되면 도취감이 생긴다.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은 달릴 때 엔도르핀이 분비돼서 이른바 '러너스 하이(Runner's High)'에 도달한다고 주장한다. 

 

뇌에서 일어나는 이  화학반응은 짧은 쾌락을 제공하고, 스트레스로 인식된 문제로부터 도피시켜 준다. 이렇게 마음의 고통에 일시적으로 연고를 발라 주는 행동들은 무수히 많다. 어떤 사람들은 쇼핑에서 위안을 얻는다. 어쩌다 한 번 하는 쇼핑이 아니라 특정 상품을 찾아, 또는 뭐라도 사려고 오래, 자주, 강박적으로 하는 쇼핑이다. 

 

쇼핑은 마음을 차분하게 해 준다. 괴로운 마음의 상처로부터 주의를 돌려, 다른 무언가에 집중하게 해 준다. 물건 하나 살 때마다 성취감이 생기고 통제력을 쥔 느낌이 든다. 이런 것들이 효과는 있지만 일시적일 뿐이며, 장기적으로 지불할 대가도 크다.  

3. 부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집요하게 계속된다

- 흡연자들은 중독의 위험성이 알려진 지 벌써 40년이 넘었다. 강박적인 도박꾼들은 파산과 압류, 관계의 절연으로 얼룩진 고통스러운 과거에도 불구하고 한 방 크게 터뜨리려는 시도를 집요하게 계속한다. 어떤 사람은 강박적으로 쇼핑을 하다가 도저히 갚을 엄두도 못 낼 정도로 어마어마한 카드빚을 쌓는다. 

왜 계속 이런 행동에 몰두할까?

- 흔히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이들이 나약하거나 의지가 없어서가 아니다. 대부분 일주일에 20시간씩 하는 쇼핑이 자기에게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고, 그래서 쇼핑을 줄이거나 그만두려고 시도하기도 한다. 하지만 각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개는 실패한다. 

 

그 행동에 생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의존하게 됐기 때문이고, 이 의존이 다른 무언가, 집착을 강화하는 무언가로 자연스럽게 넘어갔기 때문이다. 

4. 자생력을 얻는다

- 유명 심리학자인 고든 울 포트는 '기능적 자율성'이라는 개념을 창안했다. 이 개념은 어떤 행동이 특정 이유로 시작되지만, 나중에는 그 행동 자체가 자율성을 획득해서 원래 목적이 사라지고 나서 한참 뒤에도 저절로 계속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13살짜리 아이가 또래들과 어울리기 위해 담배를 피웠다고 치자. 46살이 되어 원래 목적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데도 계속 담배를 피운다. 계속 피는 이유는, 그 행동이 자생력을 얻었기 때문이다. 생화학적으로 니코틴에 중독되고 심리적으로 담배의 스트레스 저감 능력에 의존하게 돼서, 흡연에서 얻는 행복감과 몇 시간 만에 피웠을 때의 뿌듯한 느낌을 사랑한다. 

 

더 이상 멋지게 보이거나 특정 집단의 사람들과 어울리기 위해 담배를 피울 필요가 없는데도 계속 자신을 흡연자로 인식한다. 만약 자신을 사전적으로 정희 하게 된다면 '흡연자'가 그가 사용할 어휘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스스로의 정의 

- 사람들은 스스로를 쇼핑광으로, 비디오 게이머로, 운동 마니아로도 정의한다. 처음에는 이런 행동들은 불편하거나 고통스러운 감정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런 기능을 상실한다. 대신 그 자체의 게슈탈트(자체적 구조나 체제를 갖는 형태), 즉 사람들의 자기 인식에 기여하는 일련의 특성들을 갖추게 된다. 

 

강박이 자기를 정의하는 행동이 될 때 우리는 그 행동을 좀처럼 포기하지 못한다. 

5. 예측 가능한 패턴을 따른다

- 강박의 굴레를 끊으려는 사람은 강박의 패턴을 인지해야 한다. 강박 행동은 동기화된 행동의 범주에 속하며, 특성 면에서 순환적이고 형태 면에서 예측 가능하다는 이론이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동기화된 행동은 순환되면서 강화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스트레스 인식 단계 -> 강박관념 단계 -> 강박 행동 단계 -> 단기적 위안 단계  (순환)

 

따라서 일단 당신의 특정 행동을 이 네 단계 패턴에 적용해 보면서, 그 행동이 어떻게 진화하며 그것을 통제하기 위해 어디에 개입해야 할지를 알아낼 수 있다. 그러면 당신이 왜 그런 행동에 몰두하는지, 그런 행동이 어떻게 일시적인 보상을 안기는지 의식하게 될 것이고, 어떻게 순환 과정에 걸려들었는지 볼 수 있게 된다. 

 

 


관련 글: 트라우마 극복 후 긍정적 성장으로 간다

관련 글: 머릿속 걱정 날려버리는 방법 6가지

관련 글: 나도 모르던 내 안의 '자책감' 들여다 보기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