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투자자를 위한 세력 매수 포착 전략: 기관과 외인의 평균 매수가 활용법
개인 투자자들이 기관이나 외국인 같은 큰 손의 흐름을 따라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바로 거래량 분석과 평균 매수가 추정입니다.
왜 평균 매수가를 찾아야 할까?
- 기관과 외인은 수백억 원 단위로 주식을 매집하므로, 손실을 피하려 주가를 지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들이 매수한 가격대 이하로 주가가 하락하면, 매도 전환 혹은 손절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평균 매수가 계산 실전 방법
- STEP 1 최근 3~5일간 기관·외인의 매수량 급증일을 찾습니다.
- STEP 2 해당 일자의 고가·저가·종가를 확보합니다.
- STEP 3 평균가 = (고가 + 저가) / 2
- STEP 4 종가 보정: 종가가 평균가보다 높으면 차액의 50%를 더하고, 낮으면 50%를 뺍니다.
예시 계산
100만 주 매수일
고가: 11,000원 / 저가: 10,000원 / 종가: 10,800원
(고가 + 저가) / 2 = 10,500원 → 종가 보정: (10,800 - 10,500) / 2 = 150원
최종 평균 매수가 ≈ 10,650원
고가: 11,000원 / 저가: 10,000원 / 종가: 10,800원
(고가 + 저가) / 2 = 10,500원 → 종가 보정: (10,800 - 10,500) / 2 = 150원
최종 평균 매수가 ≈ 10,650원
더 정밀하게 보는 팁
- 보정 평균가 × 당일 거래량 = 매수 금액
- 최근 5일 치 평균 매수가 × 각 일 거래량 → 가중 평균 매수가 산출
- 이 수치를 기준으로 지지선 or 손절라인 설정 가능
꼭 주의할 점
- 기관·외인도 손절매를 할 수 있음 → 평균가 이탈 시 매도 가능성 증가
- 기관 매수 후 평균가 이탈 + 고점 갱신 실패 시 청산 신호 가능성 높음
세력 매수 추천 방법 실전 팁
- HTS/MTS에서 일자별 매매주체별 누적 매수량 그래프를 설정해 5일 평균 매수가 추정 가능
- 보조지표로 볼륨 프로파일(Volume Profile)을 추가하면 매집대 추적에 유용
- 해외 HTS처럼 VWAP(체결가 가중 평균가)를 추정 지표로 활용하면 더 정확한 흐름 판단 가능
관련 글: 주가 움직임 의 핵심 원리와 주기 (정상 움직임과 사이클 4단계)
주가 움직이는 핵심 원리와 사이클
주가 움직이는 핵심 원리와 사이클 주가의 정상적인 움직임이란? - 주가 추세를 분석하려면, 일단 주가의 움직임이 정상적인지부터 파악해야 한다. 1) 추세와 추세선- 정상적인 상승 추세라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 개인투자자가 망하는 이유 5가지 (내가 사기만 하면 떨어진다면?)
내가 사면 떨어지는 이유 5가지
내가 사면 떨어지는 이유:개인 투자자가 빠지기 쉬운 함정과 극복법 1. 종목을 탐구하고 과학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제시리버모어처럼 추세 매매를 통해 성공한 투자자의 사례는 분명하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시장 대세상승기/하락기 판단하는 방법
주식 상승/하락기 (엘리엇 파동/다우 시장 6국면/우라카미 장세 4단계) 판단법
주식시장 대세 읽는 법- 대세 상승기에는 시장에 적극 참여하고, 대세 하락기에는 시장을 떠나 쉬는 것이 좋다. 쉬는 것도 하나의 투자방법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숲을 보고 나무를 보아야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한가 따라잡기 조건 검색 매매방법 (0) | 2022.07.25 |
---|---|
하따 전략 성공하려면? 점하 탈출 조건과 타이밍 (조건 검색식) (0) | 2022.07.25 |
주식 단기/장기 투자 전략은? (0) | 2022.07.22 |
추세선/ 이동평균선 이용한 매매 방법 (0) | 2022.07.22 |
주식 들어갈 타이밍 예측하는 방법 (0) | 2022.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