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우선주/보통주, 공시 읽는 법
- 배당을 받기 위해 배당 기준일과 배당락을 정확히 이해해야 하며, 공시 내용을 해석할 수 있어야 투자에 유리하다. 그래서 배당의 종류, 우선주와 보통주의 차이, 공시 읽는 방법에 대해 쉽게 정리했다.
1. 배당이란?
- 기업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이익(이익잉여금)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이다.
- 보통 현금 배당과 주식 배당이 있으며, 기업의 실적과 정책에 따라서 결정된다.
배당의 종류
1) 현금 배당
- 주주들에게 현금으로 배당하는 방식
- 기업이 직접 수익을 주주에게 돌려줌으로써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
2) 주식 배당
- 현금을 배당하지 않고, 추가 주식을 발행해서 배당
- 주주들의 보유 주식 수가 늘어나지만, 주가가 조정되면서 전체 가치는 유지
3) 혼합 배당
- 현금과 주식 배당을 함께 지급하는 방식
- 기업이 현금 흐름을 고려해서 배당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배당 성향(Dividend Payout Ratio)이란?
- 기업이 번 돈(순이익) 중에서 얼마나 많은 부분을 배당으로 지급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배당 성향이 높은 기업은 배당 지급을 적극적으로 하는 기업으로 볼 수 있다.
2. 우선주 vs 보통주 차이점과 특징
- 주식에는 크게 보통주(Common Stock)와 우선주(Preferred Stock)가 있다.
의결권 | O (보유 주주가 주주총회에서 의결권 행사 가능) | X (일반적으로 의결권 없음) |
배당 우선권 | X (우선주보다 후순위) | O (보통주보다 먼저 배당 지급) |
배당 수익률 | 보통주보다 낮음 | 상대적으로 높음 |
가격 변동성 | 상대적으로 높음 | 상대적으로 낮음 |
기업 부도 시 배당금 지급 순위 | 우선주보다 후순위 | 보통주보다 먼저 배당 지급 |
- 즉, 우선주는 배당을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지만, 의결권이 없거나 제한될 수 있다.
3. 우선주의 종류와 특징
- 우선주는 배당 지급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1) 참가적 우선주 (Participating Preferred Stock)
- 우선주 배당을 받은 후, 추가적으로 잔여 이익 배당에도 참여할 수 있는 주식
- 보통주와 함께 배당을 받을 수 있어서 투자자에게 유리하다.
2) 비참가적 우선주 (Non-Participating Preferred Stock)
- 정해진 우선 배당만 지급하고, 추가 이익 배당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3) 누적적 우선주 (Cumulative Preferred Stock)
- 배당금 지급이 연기되더라도 누적되어 이후 지급받을 권리가 있는 우선주
- 기업이 배당을 지급하지 못한 해가 있어도, 다음 해에 밀린 배당까지 받을 수 있다.
4) 비누적적 우선주 (Non-Cumulative Preferred Stock)
- 특정 연도에 배당을 받지 못하면, 이월되지 않는다.
※ 한국에서는 보통주에 배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우선주에도 배당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투자 매력이 다소 낮을 수 있다.
4. 상환전환 우선주 (RCPS) 란?
- 상환전환 우선주(Redeemable Convertible Preference Shares, RCPS)
- 전환 우선주와 상환 우선주의 성격을 결합한 주식
상환 우선주
- 채권처럼 만기 시 기업이 주식을 되사는 주식
- 기업이 어려운 시기에 주로 발행
전환 우선주
- 일정 조건에 따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주식
- 기업이 성장할 경우, 시세 차익까지 기대할 수 있다.
※ RCPS는 투자자 입장에서 채권처럼 안정적인 배당을 받으면서도, 주가 상승 시 전환권을 행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5. 배당을 받기 위한 조건, 배당 기준일과 배당락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 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배당 기준일: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주주를 결정하는 기준일(보통 12월 31일)
배당락(Ex-Dividend Date): 배당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짜
배당을 받으려면?
- 배당 기준일 전에 주식을 매수하고 보유해야 한다.
- 보통 결제일을 고려해서 최소 2 거래일 전까지 주식 매수 필요
※ 즉, 12월 31일이 배당 기준일이면, 최소 12월 26~27일까지 매수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다.
6. 배당락이란? 배당 후 주가 하락의 원인
- 배당락이 발생하면, 배당금 지급 후 주가가 배당금만큼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배당락 계산 방식
- 현금 배당: 배당락 후 기준 주가는 배당락 전일 종가 - 주당 배당금
- 주식 배당: 배당락 후 기준 주가는 배당락 전일 종가 ÷ (1+배당률)
※ 즉, 배당 이후 주가는 배당액만큼 조정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단기 투자자들은 이걸 고려해서 계산해야 한다.
배당 투자 시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 배당의 종류: 현금 배당, 주식 배당, 혼합 배당
- 우선주 vs 보통주: 배당 우선권 O / 의결권 제한
- 우선주의 종류: 참가적/비참가적, 누적적/비누적적
- 배당락: 배당 후 주가 하락 가능성 존재
- 배당 기준일: 배당을 받기 위해 반드시 주식 보유 필요
관련 글: 회사채 종류와 특성/주식과 차이점
회사채 종류와 주식 차이점 | 공시 읽기
회사채 종류와 주식 차이점 전환 사채(CB, Convertible Bond) 공시 확인 - 주요 사항 보고서(전환 사채권 발행 결정)- 전환사채는 일반 회사채에 주식(보통주)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배당주 투자에 관한 A~Z까지 (높은 배당에 베팅)
배당주 투자에 관한 모든 것 (기초부터)
배당주 투자에 관한 모든 것 - 배당주 투자란, 국내 및 해외에 상장돼 있는 회사 중에서, 배당을 많이 주는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배당이란,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기업 내재 가치 분석, 핵심 4가지 (총 정리)
기업의 주식 내재 가치 계산/분석 | 핵심 4가지
1. 현금 흐름(Cach Flow) 1) 배당금 (Dividend) - 우리가 기업으로부터 얻는 직접적인 현금흐름은 배당금이다. - 조정 배당금 = 배당금 + 자사주 매입액(불규칙해서 몇 년간의 평균 수치 체크) - Constant divi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정 관리/ 워크 아웃/ 정리 매매 | 공시 읽기 (0) | 2022.11.13 |
---|---|
지주회사 전환 방법 / 기업 공개 매수 |공시 의미 (0) | 2022.11.12 |
자사주 매입/처분/소각 목적 | 공시 읽기 (0) | 2022.11.12 |
회사채 종류와 주식 차이점 | 공시 읽기 (0) | 2022.11.12 |
MACD와 RSI 같이 사용하는 전략 사용 법 (0) | 2022.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