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인 사망 시, 공동 상속인의 임대차 보증금 반환 책임
1. 주택/상가 건물 임대차 계약에서 임대인의 지위 승계 원칙
1) 임대주택 또는 상가의 양수인(새 소유자)의 임대인 지위 승계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3항 및 상가건물 임대차 보호법에서는 "임대차 계약이 체결된 주택/상가를 양수한 사람은 자동으로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다"
- 즉, 소유권을 취득한 양수인은 기존 임대인의 모든 권리/의무를 그대로 승계한다.
- 결과적으로 임대차보증금 반환 의무도 새로운 소유자(양수인)가 부담하게 된다.
- 반대로, 기존 임대인(양도인)은 임대차 관계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2) 상속 시 임대인 지위는 공동상속인에게 승계 됨
- 상속이 개시되면, 공동상속인은 상속 재산을 공유하는 형태로 상속받는다.
- 즉, 임대부동산도 상속 재산이므로 상속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공동상속인이 임대인의 지위를 공동으로 갖는다.
- 임대차보증금 반환 청구가 발생하면 공동상속인 중 누구에게든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2. 공동상속인의 임대인 지위 승계 및 보증금 반환 책임
1) 공동상속인이 상속재산을 공유하는 동안 (상속재산분할 전)
- 임대인이 사망했지만 상속재산 분할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모든 공동상속인이 임대인의 지위를 공동으로 가진다.
- 따라서 임차인은 공동상속인 중 1인을 상대로도 임대차보증금 전액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 만약 특정 공동상속인이 자기 지분을 초과해서 보증금을 반환하면, 다른 공동 상속인들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2) 상속재산 분할 후 (특정 상속인이 단독 소유권 취득 시)
- 공동상속인 간 협의 또는 법원의 상속재산분할 심판을 통해, 임대 부동산이 특정 공동 상속인의 단독 소유로 확정되면, 임대인 지위는 해당 상속인 1인에게만 승계된다.
- 이때부터는 다른 공동상속인은 임대차 관계에서 완전히 벗어나며, 임대차계약 상 권리/의무는 단독 소유자가 승계
- 따라서 임대차계약 종료 시에도 임대차보증금 반환 책임은 특정 상속인 1인에게만 있게 된다.
3. 주요 판례 정리 (대법원 판결)
1) 임차 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상속인은 양수인으로서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
에)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이 거주하는 주택의 임대인이 사망
-> 임대인의 상속인은 자동으로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해서 임차인에게 임대차보증금 반환 의무를 부담
2) 공동상속인이 상속재산 분할을 통해 특정인이 임대부동산을 단독 소유하면, 나머지 상속인은 임대인 지위에서 벗어난다
예) 상속인들이 상속재산 분할을 통해 특정 공동상속인이 임대 부동산을 단독 소유하기로 결정하면,
-> 해당 상속인 1인만 임대차계약의 권리/의무를 승계
- > 따라서 임대차 계약 종료 시에도 임대차 보증금 반환 청구는 해당 특정 상속인에게만 가능
3) 상속재산 분할 전이라면, 공동 상속인은 임대인의 지위를 공동으로 승계
예) 상속재산 분할이 완료되기 전에는 모든 공동상속인이 임대인의 지위를 공동으로 가진다.
-> 따라서 임대차보증금 반환 청구 시 공동상속인 중 1인을 상대로도 전액 반환 요구 가능
-> 만약 특정 공동상속인이 자기 지분을 초과해서 반환하면, 다른 공동상속인들에게 구상권 행사 가능
공동상속인의 임대인 지위 및 보증금 반환 책임 핵심
- 임대주택/상가가 양도되면 새로운 소유자가 자동으로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다.
- 임대인이 사망하면, 공동상속인은 상속재산 분할 전까지 공동으로 임대인의 지위를 가진다.
- 상속재산 분할이 확정되면, 해당 부동산을 단독 소유하게 된 특정 상속인만 임대인의 권리/의무를 승계한다.
- 임대차보증금 반환은 상속재산 분할 전까지는 모든 공동상속인에게 청구 가능 하지만, 이후에는 단독 소유자가 책임진다.
관련 글: 계약 기간 중 집주인(임대인) 사망 시 보증금 받는 법
계약 기간 중 집주인(임대인) 사망 시 보증금 받는 법
계약 기간 중 집주인 사망 예시 전세계약 2년 중 1년이 지난 시점에 집주인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거기에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가기까지 했다. 아직 계약 기간이 1년이 남은 시점에서 전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보증금 돌려받지 못했을 때, 임차권 등기 명령 신청/경매/서류
보증금 돌려 받지 못 했을 때, 임차권 등기 명령 신청/경매/서류
보증금 못 돌려 받았을 때,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경매/서류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 전세로 살다가 집주인(임대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 때, 일정 조건이 갖춰지면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역전세 반환 대출 방법과 내용 정리
역전세 반환 대출 방법과 내용 정리
역전세 반환 대출 규제완화 내용 - 7/27일부터 1년 간(24.7.31까지) 은행권 전세보증금 반환목적 대출규제 완화를 시행했다. DSR 40% -> DTI 60%, RTI 1.25~1.5배 ->1.0배로 변경됐다. 전세금 반환 용도로 은행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주택자도 양도세 비과세 가능! 필수 조건과 주의 사항 (0) | 2025.02.15 |
---|---|
미래 등기 시스템 도입! 주택 매매/대출/상속 시 꼭 알아야 할 것 (0) | 2025.02.09 |
비사업용 토지 중과세 피하는 방법과 사례 (0) | 2025.01.17 |
부동산 양도소득세 경정 청구 절차와 소요 기간 (0) | 2025.01.10 |
자녀 증여 세금 줄이는 방법: 부동산 vs 금융 자산 비교 (0) | 2025.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