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 투잡 3700만원 이상 넘으면 양도세 비과세 혜택 못 받아
- 농지의 양도세 감면 혜택은 농지 보유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이슈다. 하지만 자경요건, 소득 기준, 경작 기간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면 세제 혜택을 놓칠 수 있다.
1. 자경 농지와 세제 혜택
자경 농지란?
- 농지를 직접 경작해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농지다.
주요 혜택
- 8년 이상 경작 시 양도세 최대 100% 감면 가능
- 단, 연소득 3700만원 미만이어야 자경으로 인정된다.
2. 자경 요건 충족 중요성 사례
자경 농지 불인정 사례
1) 소득 초과
- 투자 등으로 연소득 3700만원 초과 시 자경 기간 제외
예) A씨는 2008년 ~2012년 5년간 연소득이 3700만원 미만이라서 인정 받았지만, 이후 소득 증가로 나머지 10년은 자경 불인정
2) 농지 지목 변경
- 농지를 대지로 변경한 경우 감면 헤택 불가
예) B씨는 농지에 건물을 신축하기 위해 지목을 변경해 양도세 감면에서 제외 됐다.
3) 축사용지 이전
- 축사용지 매각 시 시설 이전은 양도세 감면 불가
예) C씨는 축사를 이전하려다가 감면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자경 농지 인정 사례
1) 비사업용 토지 제외 요건
- 전체 보유기간의 60% 이상 경작
- 양도일 직전 5년 중 3년 이상 경작
예) D씨는 6년간 경작 후 3년간 농사를 쉬었지만, 전체 기간 중 60% 이상 경작해서 비사업용 토지에서 제외
2) 부모의 자경 실적 상속
- 부모가 8년 이상 자경한 실적이 있으면 상속 후 자녀도 혜택 가능
예) E씨는 도시 거주 중이지만 부모의 자경 실적을 인정받아 기본 세율 적요
3. 비사업용 토지와 중과세
비사업용 토지란?
- 자경하지 않은 농지는 기본 세율에 10%포인트 추가 과세 된다.
비사업용 토지 제외 조건
1) 전체 보유기간 중 60% 이상 경작
2) 양도일 직전 5년 중 3년 이상 경작
3) 양도일 직전 3년 중 2년 이상 경작
종합 요약
- 농지를 소유하고 있다면 양도세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자경 요건과 경작 기간을 반드시 충족해야 한다. 또, 상속 농지와 비사업용 토지 여부도 세제 혜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농지대토 감면 규제 강화로 양도 시 주의사항
농지대토 감면 규제 강화 양도 주의사항 - 농지는 '재촌자경' 여부가 중요하다. 재촌은 농지 소재지와 같은 시/군/구에 거주하거나 직선거리고 30km 이내에 있는 인접 지역에 거주하는 것을 말한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비사업용 토지 중과세 피하는 방법과 사례
비사업용 토지 중과세 피하는 방법과 사례
비사업용 토지 중과세 피하는 방법 사례 - 비사업용 토지는 자경농지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토지를 포함하며, 절세 방법도 자경농지 외에도 여러 대안이 존재한다. 1. 비사업용 토지란?- 비사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자경농지 양도세 감면 조건
자경농지 양도세 감면 조건
자경농지 양도세 감면 조건 - 자경농지는 양도소득세가 100% 감면된다. 세법에서 인정하는 자경농지 요건은, 농지 소재지에 거주해야 한다. 또 농지 양도 당시 거주자(비거주자가 된 날부터 2년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200 합법적 에어비앤비 운영 방법 (0) | 2024.11.24 |
---|---|
이주 기간 넘겨서 재건축 조합에게 소송 당했을 때 대처 방법 (0) | 2024.11.23 |
30년 넘으면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 가능 (0) | 2024.11.15 |
증여세 미신고 15년 지나도 과세 가능한 이유 (0) | 2024.11.14 |
상생 임대인 혜택_양도세 특례 (0) | 2024.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