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세금 절세 방법
- 퇴직급여를 일시금으로 받지 않고 퇴직연금으로 분할 수령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 은퇴 후에도 장기간 안정적인 소득을 얻기 위해서다.
퇴직금 원금과 운용수익 구분
- 퇴직급여를 연금으로 분할 수령하는 은퇴자들은 퇴직 당시 받은 퇴직금원금이 얼마이고, 원금 분할 수령이 언제 끝나는지 잊지 말아야 한다.
- 자칫 원금 수령이 끝난 후 원금 운용으로 발생한 운용수익 수령 과정에서 3.3~5.5%의 낮은 연금소득세율 대신 6.6~49.5%의 종합과세 세율을 적용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퇴직금 원금과 운용수익에 적용되는 세율은 다르다
- 퇴직금 원금을 연금으로 분할 수령하는 기간에는 퇴직금을 일시 수령할 때 적용되는 퇴직소득세의 60~70% 비율로 연금 소득세가 부과된다.
- 이후 시간이 흘러 퇴직금 원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모두 연금으로 받은 뒤에야 수익을 연금으로 분할해 수령하는데,이때는 3.3~5.5%의 연금소득세율이 적용된다.
운용수익을 연금으로 받을 때는 연간 수령액이 1200만 원 이하일 때만 3.3~5.5%의 연금소득세율이 적용
- 만약 운용수익을 연금으로 수령하는 기간에 연간 1200만원을 초과해 받으면 다른 모든 소득과 합산돼서 종합과세 대상이 되기 때문에 6.6~49.5%의 세율이 적용된다.
- 퇴직금 원금을 연금으로 받을 때는 1년에 얼마를 수령하든 상관없이 퇴직소득세에서 30~40% 할인된 금액이 연금소득세로 부과된다.
운용수익은 연 1200만원 이하만 분리과세
- 예를 들어
퇴직금 2억을 일시금으로 받아서 퇴직소득세를 2000만 원 내야 하는 60세 은퇴자가 있다고 하자.
이 은퇴자가 퇴직금 수령일부터 60일 이내에 퇴직금을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에 이체해서 10년간 2000만 원씩 분할로 받으면 퇴직소득세의 30%를 할인받은 1400만 원을 10년간 납부하게 된다.
만약 원금 수령 기간을 늘리면
- 11년차 이후 분할 수령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퇴직소득세의 40%를 감면받을 수 있다.
- 매년 2000만원을 연금으로 분할 수령한다면 2억의 원금은 10년 뒤 소진된다.
- 하지만 10년 동안 아직 연금으로 지급되지 않은 돈은 연금계좌에서 다양한 상품에 재투자되면서 운용수익이 발생된다.
2억원의 연금계좌 자산을 통해 10년 동안 발생한 운용수익이 4000만 원이라고 하면,
- 은퇴자가 운용수익을 이전과 같이 2000만 원씩 2년간 연금으로 수령하면 갑자기 종합과세 대상이 된다.
- 퇴직연금 원금이 아닌 운용수익의 연간 수령액이 1200만원을 넘겼기 때문이다.
- 1년에 최대 1200만원으로 수령액을 변경하면 연금 수령액에 3.3~5.5%의 연금소득 세율이 적용된다.
- 이때 연금 수급자의 나이가 55~69세면 5.5%, 70~79세 4.4%, 80세 이상이면 3.3%의 세율이 적용된다.
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은
- 개인이 재직할 때 상품 운용으로 불어난 금액은 운용수익으로 보지 않고, 퇴직할 때 받는 금액 전체가 원금이 된다.
- 퇴직 당시 받은 원금이 얼마인지, 이후 발생하는 운용수익이 얼마인지 노후에도 잊지 않고 체크해 둬야 종합과세 폭탄을 피할 수 있다.
퇴직연금 운용 수익 1년 수령액을 1200만원 이하로 유지하는 방법
1) 연금 수령 기간 연장
- 연금 수령 기간을 길게 설정하면 매년 받는 금액을 줄일 수 있어서 1200만원 이하로 유지가 가능하다.
계산법: 연금 총액 ÷ 수령 기간 = 연간 수령액
예) 총 퇴직연금 원금과 운용수익이 1억 8000만원일 경우,
수령 기간: 15년 -> 연간 1200만원
- 수령기간을 10년으로 설정하면 연간 1800만원이 되어 종합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
2) 퇴직연금 계좌 분리 및 배분
- 퇴직연금을 하나의 계좌에서 수령하지 말고, 여러 연금 계좌로 분리해서 운용
예) IRP(개인형퇴직연금)와 DC(확정기여형) 계좌를 나누어서 수령
- 각각의 계좌에서 발생한 운용수익을 분리 관리해서 한 계좌당 연감 수령액을 1200만원 이하로 유지
3) 원금과 운용수익을 분리 수령
- 퇴직연금 원금을 수령하는 동안에는 운용수익을 이연(추후로 미룸)하여 매년 총 수령액이 1200만원을 넘지 않도록 관리
- 원금을 다 소진한 후 운용 수익을 연간 1200만원 씩 분할 수령
4) IRP 계좌 내 상품 운용 조정
- IRP 계좌에서 투자 상품을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장하는 상품으로 운용
- 연금 게좌 내에서 예상 운용수익이 연간 1200만원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품 조합을 조정
예) 연 3%의 수익률을 목표로 설정한 후 운용 금액을 제한
관련 글: 퇴직금도 세금 떼나요? 퇴직연금 전환 시 세금 아낀다
퇴직금도 세금 떼나요? 퇴직연금 전환 시 세금 아낀다
퇴직금 퇴직연금 세금 절세 방법- 퇴직금도 세금을 뗀다. 퇴직연금으로 전환했을 때 세금을 절세할 수 있다. 퇴직금에도 세금이 부과된다?- 퇴직금을 퇴직연금으로 전환하면 세금 절약 효과를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퇴직 연금 실물 이전 활용 방법
퇴직 연금 실물 이전 활용 방법
퇴직 연금 실물 이전 활용 방법- "넣어두고 잊어라" 과거에 자주 쓰인 은퇴 자금 관리에 대한 격언은 어느덧 힘을 잃은 모습이다. 길어진 노후와 치솟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은 적극적인 퇴직연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든든하게 은퇴하기 위한 준비 방법 4단계
든든하게 은퇴하기 위한 준비 방법 4단계
든든하게 은퇴하기 위한 준비 방법 4단계 1단계 - 먼저 은퇴 시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한지 계산해 보자. 돈이 얼마나 필요한지도 모르고 걱정부터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 매달 얼마만큼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세금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금/양도성예금(CD)/연금으로 완성하는 안정적 투자 전략 (0) | 2024.12.05 |
---|---|
종합부동산세 절세의 비법: 7가지 효과적인 방법으로 세금 부담 줄이기 (0) | 2024.12.03 |
상속세 0원일 때 신고 해야 할까 (0) | 2024.11.28 |
최고의 증여세 절약 방법은 '분할' (0) | 2024.11.27 |
퇴직금도 세금 떼나요? 퇴직연금 전환 시 세금 아낀다 (0) | 2024.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