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 0원이더라도 신고해야 할까? 실전 판단 기준 (2025년 기준)
상속 재산이 공제 한도 이내라 세금이 "0원"인 경우에도 상속세 신고는 전략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 주식, 금융자산처럼 향후 매각 시 세금이 걸리는 자산일수록 신고 여부에 따라 양도세가 수천만 원 차이 날 수 있습니다.
- 취득가액을 높여 양도세를 줄일 수 있음
- 감정평가를 통해 시가 기준 취득가액 확정
- 다수의 상속인 간 분쟁 예방 가능
- 사업체나 주식 등은 사후 과세 위험 방지
신고하지 않을 경우의 문제점
- 부동산 취득가액이 기준시가로 고정 → 양도세 부담 증가
- 양도차익 커짐 → 양도세 수천만 원 증가 가능
- 상속인 간 재산 분할 시 분쟁 소지
신고 시 얻을 수 있는 효과
- 감정평가로 시세 반영한 취득가액 확정
- 재산 가치를 명확히 정리해 향후 증여·매각 대비
- 향후 자산 상승 시 절세 기반 확보
실제 사례: 신고 여부에 따른 양도세 차이
A 씨 사례
- 상속 주택 기준시가 3억 (신고 안 함)
→ 2년 후 6억에 매도 → 양도차익 3억 → 양도세 약 1억 원
- 감정평가 후 5억으로 신고했다면?
→ 양도차익 1억 → 양도세 약 2천만 원 → 8천만 원 절세
기타 자산에 대한 상속세 신고 필요성
- 금융자산(예금, 주식) → 상속 당시 시가 기준 평가
- 비상장주식, 사업체 → 신고 없이 보유 시 추후 과세 위험
이런 경우라면 상속세 신고 적극 고려
-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 여러 명의 상속인이 있는 경우
- 상속재산에 주식이나 사업체가 포함된 경우
상속세 신고는 단순한 납세 행위가 아닌 자산 관리의 출발점입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세금은 당장은 없더라도, 향후 수천만 원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 상담이 필요한 이유
- 감정평가, 상속재산 정리, 자산별 신고 방식 등 복잡한 절차 존재
- 세무사·회계사와 상담을 통해 절세 플랜 수립 가능
- 특수 자산(주식, 법인, 상가 등)은 반드시 전문가와 진행 권장
상속세가 0원이라도 신고는 선택이 아닌 전략입니다.
취득가액 확정 → 양도세 절감 → 분쟁 방지
자산 매각이나 이전을 생각하고 있다면 지금 미리 신고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관련 글: 증여 취소 시 세금은?
증여 취소 시 세금은?
증여 취소 시에 세금은?- 절세 목적으로 증여를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명의가 수증자로 넘어가면 증여자의 재산 통제가 어렵다는 점 때문에 걱정이 앞서기도 한다. 이럴 때는 효도계약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집 판돈 물려줄 때 '증여합산 배제' 조심
집 판돈 물려줄 때 '증여합산배세' 조심
집 판돈 '증여합산 배세' 조심- 피상속인이 부동산 매도 거래 중에 상속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전체 거래대금 가운데 이미 수령한 부분과 아직 수령하지 않은 부분으로 나눠 과세 여부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상속 주택 6개월 내 매각 시 절차와 주의 사항
상속 주택 6개월 내 매각 시 절차와 주의 사항
상속 주택 6개월 내에 매각할 때 절차와 주의할 점 1. 상속주택 6개월 내 매각 절차 1) 상속 개시일 확인- 상속주택 매각 기한(6개월)은 상속 개시일 기준으로 계산된다. - 상속 개시일은 피상속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세금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부세 줄이려면 지금부터 준비, 2025 절세 방법 7가지 (0) | 2024.12.03 |
---|---|
퇴직 연금, 수령 방식만 바꿔도 종합 과세 세금 절세 (0) | 2024.11.29 |
증여세 아끼는 가장 확실한 방법, 분할과 자녀 법인 활용 (0) | 2024.11.27 |
퇴직금도 세금 떼나요? 퇴직연금 전환 시 세금 아낀다 (0) | 2024.11.22 |
월 500만원 이상 받는 연금 부자들, 이렇게 투자 한다 (0) | 2024.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