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주식공부

주식 시장 '블록 딜' 이란?_예시

by 블랙스완 미니 2023. 1. 14.

블록딜이란, 장외 대량 매매를 말한다. 할인가 거래로 주가 하락을 부추기는데, 현행법상으로 피해를 막을만한 방법이 없어, 사전 공시제도 대안에도 효과는 미지수다.

 

블록딜-이란-주가-영향
블록딜

개미들 울리는 '블록딜'이란?

- 블록딜(Block Deal)은 장이 끝난 후, 미리 정해진 매수자에게 대량의 주식을 장외에서 매매하는 방식이다. 보통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되기 때문에, 이후 공시를 통해 알려지면 주가가 급락하는 경우가 많다. 소액 투자자들은 이유도 모른 채 큰 손실을 입게 된다. 

 

블록딜 주요 사례 

 

1) 카카오페이

- 2023년, 알리페이 싱가포르 홀딩스가 500만 주 (약 4700억 원) 매각

- 당일 주가 15.57% 폭락 

2) 삼성전자

- 2023년, 홍라의 전 리움미술관장이 상속세 마련을 위해 1조 3,700억 규모 지분 블록딜 

- 이후 주가 하락세 지속 

3) HD 현대중공업

- 2024년, HD한국 조선해양이 지분 3% 블록딜 진행

- 주가 7.33% 하락

4) 알테오젠

- 2024년, 공동 창업자가 160만 주 블록딜 매각 후 주가 하락세 전환 

블록딜 규제, 어떻게 바뀌었나?

2024년 7월 24일부터 '블록딜 사전공시제도' 시행

- 상장사 임원 및 주요 주주(지분 10% 이상 보유자)

공시 의무

- 발행주식 총수의 1% 이상 또는 50억 원 이상 거래

- 거래 최소 30일 전, 가격/수량/목적 등 공시 

위반 시 제재

- 최대 20억 원 과징금 부과 

※ 단, 재무적 투자자(FI)부득이한 사유로 인한 거래는 예외 

개인 투자자가 주의해야 할 점 

대주주의 지분 매각 동향 주시

- 블록딜 발생 가능성이 있는 종목이라면 조심해야 한다. 

기업의 공시 정보 확인

- 이제는 사전공시가 의무화되었으니, 관련 정보를 미리 체크한다. 

단기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는 투자 전략

- 블록딜로 인한 주가 하락이 장기적인 기업 가치와 일치하는지 살펴본다. 

 

 


관련 글: 계좌를 파랗게 만드는 심리 요소 4가지

 

계좌를 파랗게 만드는 심리 요소 4가지

계좌를 파랗게 만드는 심리 요소 4가지 - 네 가지 형태 모두 오랜 세월 투자자들의 계좌를 적자로 파랗게 물들인 주범이다. 네 가지 형태는 확률에 대한 무감각/위험과 혜택은 반비례한다는 판단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공모주 청약 투자 장점과 단점 (+SPAC 스팩주)

 

스팩(SPAC) 투자와 공모주 청약 비교_원금 보장부터 차익 실현

공모주 청약(IPO) 투자 장단점- 공모주 투자는, 신규로 코스피나 코스닥에 상장하는 회사의 주식을 미리 청약해서 매입하는 투자 방식이다. 시장과 투자자의 관심을 많이 받기 때문에, 상장 후 가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개인 투자자 성공 확률 높이는 12가지 방법

 

개인 투자자 성공 확률 높이는 12가지 방법

개인 투자자가 성공하기 위한  12가지 1. 시장의 흐름에 맞는 투자를 해라  - 투자시점과 시장의 흐름을 파악해 투자하라는 말이다. 현재 시장이 강세장인지, 약세장인지, 코스피가 오르는 시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