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ETN/ELS/ELT 상품 특징과 투자 방법
ETF, ETN, ELS, ELT는 각각 특성과 운용 방식이 다른 금융상품입니다. 각 상품의 구조, 리스크, 투자 포인트를 비교해보고 어떤 상황에 어떤 상품이 적합한지 정리해보았습니다.
1. ETF(상장지수펀드)와 ETN(상장지수채권) 차이
ETF (Exchange Traded Fund)
-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로,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 가능
- 자산운용사가 실물 자산을 실제로 보유
- 분산투자 효과로 리스크 분산
- 주가지수 외에도 금,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하게 투자 가능
ETN (Exchange Traded Note)
- 지수를 추종하지만 실제 자산을 보유하지 않음
- 증권사가 발행하며, 채권 형식의 구조
- 수익은 증권사의 신용에 의존
- 원자재, 통화, 레버리지 등 특화 지수 중심
2. ETN 투자 시 주의할 점
- 레버리지/인버스 ETN: 지수의 2배 또는 -2배 수익을 추종
- 괴리율: 시장 가격과 지표 가치(IV) 차이 발생 시 수익 왜곡 가능
- 만기 구조: 일정 기간 후 지수 수익률에 따라 상환
3. ELS (Equity Linked Security)
- 기초 자산(주가 지수 등)의 성과에 따라 수익이 결정됨
- 2~3년의 투자 기간, 조기 상환 가능 구조
- 조건 충족 시 고정 수익 제공
4. ELT (Equity Linked Trust)
- 주가 지수를 기반으로 월 이자를 지급하는 신탁 상품
- 3년 만기 구조이나 6개월 단위 조기 상환 가능
- IRP, 연금저축 등과 함께 운용 가능
- 예측 가능한 연 수익률 (보통 3~8%)
ETF/ETN/ELS/ELT 차이점 요약
구분 | 특징 | 발행주체 | 투자 형태 | 주요 리스크 |
---|---|---|---|---|
ETF | 지수 추종 펀드, 실시간 거래 | 자산운용사 | 실물 자산 보유 | 낮음 (파산해도 자산 보호) |
ETN | 지수 수익률 지급 채권 | 증권사 | 기초 자산 미보유 | 증권사 신용 리스크, 괴리율 |
ELS | 주가 연계 파생상품 | 증권사 | 조건부 수익형 | 기초 자산 변동성 |
ELT | 주가 연계 신탁, 월이자형 | 금융기관 | 정기 이자 지급형 | 조기 상환 리스크 |
투자자별 추천 전략
- 단기 수익 + 실시간 매매: ETF → 'TIGER 코스닥150', 'KODEX 2차전지산업' 등 주도 테마 투자 가능
- 특정 지수에 고수익 기대: ETN → '신한 천연가스 레버리지 ETN'으로 단기 고수익 전략
- 예측 가능한 고정 수익: ELS → 은행 추천형 ELS 가입 시 연 5%대 고정 수익 가능
- 월별 안정적 현금 흐름: ELT → IRP/연금저축과 병행 시 절세 + 월이자 수익 확보
구조와 리스크를 이해하고 선택하자
ETF, ETN, ELS, ELT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투자 방식과 리스크 구조가 전혀 다릅니다. 상품을 고르기 전에는 누가 발행하는지, 어떤 자산을 기반으로 하는지, 만기 구조는 어떤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ETN은 신용 리스크, ELS/ELT는 기초 자산의 성과 조건을 잘 이해하지 못하면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정보 습득과 상담이 필요합니다.
상품을 단순히 수익률만 보고 고르기보다는, 본인의 투자 성향과 목적에 맞는 상품인지 먼저 검토해 보세요.
관련 글: ELS 투자 종류 (+ DLS 요점 정리)
ELS 투자 방법/종류 간단 정리
ELS - 주가가 떨어져도 수익은 난다 - ELS는 주가가 일정 수준까지 하락하는 것을 버텨내면,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상품이다. 주가 수준이 일정한 범위 안에서 움직이는 박스권 장세에서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ETF/ETN 투자 전략: 장기 투자 부터 단기매매 까지
ETF/ETN 투자 전략: 장기 투자 부터 단기매매 까지
ETF/ETN 투자 전략 - 수익 극대화를 위한 최적화- ETF(상장지수펀드)와 ETN(상장지수증권)는 개별 종목 투자보다 리스크가 적고, 장기적인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다. 하지만 전략 없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 분석 방법 4가지 (추세/패턴/장세/목표치)
주식 분석 방법 4가지 (추세/패턴/장세/목표치)
기술적 분석의 종류 - 분석방법에 따라 추세 분석, 패턴 분석, 장세 분석, 목표치 계산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추세 분석 (Trend Analysis) - 주가의 움직임 속에서, 추세선이나 추세대를 찾아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ETF 파생상품 외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처음 시작한다면, 꼭 알아야 할 매매 전략과 주의사항 (0) | 2022.11.07 |
---|---|
TDF/OCIO 부터 DB/DC 선택 기준까지, 퇴직 연금 투자 전략 (0) | 2022.11.04 |
은퇴 후에도 돈이 들어오는 투자법, 월 수익형 상품 모음 (0) | 2022.10.28 |
코스피200 ETF, 어떤 지수를 골라야 할까? 초보 필수 전략 총 정리 (0) | 2022.09.29 |
ETF 적립식 투자, 매월 10만원으로 자산 불리는 방법 (0) | 2022.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