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멘텀 지표란?
모멘텀 지표는 일정 기간 전의 주가와 현재 주가의 차이 또는 비율을 통해 주가의 추세 및 방향성을 예측하는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기준선인 0을 중심으로 진동하는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진동형 지표(Oscillator)'로 분류되며, 주가의 강도와 속도를 함께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단기 추세를 빠르게 포착하고 싶은 투자자
- 차트 패턴만으로는 타이밍 잡기 어려웠던 분
- 기술적 지표의 기초부터 정리하고 싶은 분
1. 모멘텀 지표의 기본 원리
- 현재 주가가 과거 일정 기간 전보다 높다면 +권 → 상승추세
- 현재 주가가 일정 기간 전보다 낮다면 -권 → 하락추세
- 주가 변화가 기준선(0)을 중심으로 반복되며 진동
2. 모멘텀 지표 계산 방법
① 차이 기반 방법 (ROC - Rate of Change)
ROC = 현재 주가 - 일정 기간 전 주가
MACD와 같이 단기와 장기 이동평균 간의 차이를 활용하는 방식도 포함됩니다.
② 비율 기반 방법
- ROC 비율 1: (현재 주가 / 일정 기간 전 주가) × 100
- ROC 비율 2: [(현재 주가 - 일정 기간 전 주가) / 일정 기간 전 주가] × 100
스토캐스틱, CCI, TRIX, SONAR 등이 이 방식을 따릅니다.
3. 주기 설정
일정 기간은 보통 5일, 10일, 20일, 30일 등이 사용되며, 짧을수록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길수록 완만한 곡선을 그립니다.
4. 모멘텀 지표의 장점
- 주가 흐름을 파악하기 용이: 주가와 유사한 패턴이나 기준선 중심 진동으로 추세 분석 쉬움
- 기준선으로 추세 판단: 기준선 위 = 상승, 기준선 아래 = 하락
- 과매수/과매도 구간 판단: 일정 수치를 넘는 구간에서 방향 전환 신호
- 신호선과의 교차로 매매 타이밍 포착: 신호선 돌파 = 매수/매도 신호
- 다이버전스로 추세 전환 예측: 주가와 모멘텀이 반대방향 → 추세 반전 가능성
5. 다이버전스(Divergence)의 활용
① 상승형 다이버전스
주가는 하락 중이나 모멘텀 지표가 상승 전환 → 매수 타이밍 가능성
② 하락형 다이버전스
주가는 상승 중이나 모멘텀 지표가 하락 전환 → 매도 타이밍 검토
A종목이 최근 3주간 주가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모멘텀 지표는 오히려 하락세로 전환되었다면? → 하락형 다이버전스 발생 가능성 → 조정 가능성 있음
6. 모멘텀 지표 활용 팁
- 기준선 0 돌파 시 추세 확인
- 신호선과의 교차를 매매 시점으로 활용
- 과매수/과매도 구간 진입 시 역추세 가능성 고려
- 다이버전스 출현 시, 추세 반전 대비
답변: 단독 사용보다, 거래량, 캔들 패턴, 추세선 분석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인 매매에 더 효과적입니다.
지표는 '해석'입니다. 모멘텀도 마찬가지예요. 숫자를 읽는 것이 아니라 '흐름'을 포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관련 글: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 관한 모든 것
스토캐스틱 보는법과 원리 | 모멘텀 지표
스토캐스틱(Stochastic) 종류 - 일정 기간 동안 등락을 보인 가격 범위, 즉 최고가와 최저가 안에서 현재 주가가 어디쯤에 있는가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주가를 예측하는 기술적 분석기법이다. 일정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차트 활용해서 흐름 확인 하는 법 (엘리어트 파동 / 다우 추세)
차트로 엘리어트파동/다우추세 보는 법 | 기술적 분석
차트로 흐름 판단하는 법 1. 그래프로 판단하기 - 증권시장에서 대세 상승이라 하면 보통 20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200일 평균선이 상승중일 때는 대세 상승기라 하고, 하락 중일 때는 대세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 보조지표(DMI/ADX, Chaikin's Oscillator, 그물차트) 정리
주식 보조 지표(DMI/ADX/ Chaikin's Oscillator/ 그물 차트) 종류
보조지표 종류 1. DMI(Directional Movement Index)/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 DMI는 시장이 추세를 가지고 있는지, 또 있다면 어떤 추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지표다. ADX는 DMI를 이동 평균한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기 투자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 3가지 (0) | 2022.12.14 |
---|---|
기업의 내재 가치 분석 방법 4가지 (0) | 2022.12.09 |
거래량 분석 매매 방법 (총 정리) (0) | 2022.11.24 |
차트 패턴 분석 14가지 총 정리, 매수/매도 타이밍 잡는 방법 (0) | 2022.11.24 |
거래량 없이 상한가 공략 방법_실시간 조건 검색과 리스크 관리 (0) | 2022.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