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주식공부

주식 보조 지표(DMI/ADX/ Chaikin's Oscillator/ 그물 차트) 종류

by 블랙스완 미니 2022. 7. 28.

주식-보조-지표-종류-피벗차트-그물차트-DMIADX-차이킨오스칼
주식 보조지표 정리 2

보조지표 종류 및 실전 활용 방법: DMI/ADX/CO/피벗라인/그물차트

- 기술적 분석에서 보조지표(Technical Indicator)는 추세 분석, 매매 타이밍 포착, 변동성 파악 등을 위해 활용된다. 하지만 보조지표만 맹신하면 잘못된 매매 판단을 할 수 있으므로, 여러 지표를 조합해서 실전에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요 보조지표 5가지(DMI, ADX, CO, 피벗라인, 그물 차트)를 정리하고, 실전에서 효율적으로 매매 전략 세우는 방법을 정리 했다.

 

1. DMI(Directional Movement Index) &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1) DMI(방향성 지표)란?

- 시장이 상승 추세인지 하락 추세인지를 판단하는 지표

- +DI(상승 강도), -DI(하락 강도)를 비교해서 매매 신호 포착 

2) ADX(평균 방향성 지표) 란?

- DMI를 이동 평균해서 추세의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

- ADX 값이 높을수록 강한 추세 

DMI & ADX 활용 방법

1) +DI가 -DI를 상향 돌파하면 매수, 반대로 -DI가 +DI를 상향 돌파하면 매도

2) ADX가 20 이상에서 상승하면, 강한 추세 시작 가능성 (매매 확률 높음)

3) ADX가 20 이하이면 횡보 가능성 크므로 매매 보류

4) ADX가 고점을 찍고 하락하면, 추세 전환 가능성 (다이버전스 발생)

- DMI& ADX는 단독 사용보다 이동평균선(MA)과 함께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2. CO(Chaikin's Oscillator, 차이킨 오실레이터)

 

CO 란?

- 주가 상승 시 거래량 증가, 주가 하락 시 거래량 감소하는 원칙을 활용

- 매집 & 분산 여부를 파악하는 지표 

CO 활용 방법

1) CO 값이 0선 위로 돌파 -> 매수 신호 

2) CO 값이 0선 아래로 하락 -> 매도 신호

3) 가격과 CO 지표가 반대로 움직이면(다이버전스 발생) 추세 전환 가능성

- CO는 MACD와 함께 사용하면 신뢰도 높은 매매 신호를 얻을 수 있다. 

 

피벗 차트

3. 피벗 라인 (Pivot Line)

 

피벗 라인이란?

- 전일 주가(고가, 저가, 종가)를 기준으로 당일 지지선과 저항선을 예측

- 단기 트레이딩(스캘핑, 데이트레이딩)에서 많이 사용된다 

피벗 라인 활용 방법

1) 주가가 피벗 포인트 위에서 움직이면 강세 -> 매수 진입 고려

2) 주가가 피벗 포인트 아래에서 움직이면 약세 -> 매도 진입 고려

3) 1차, 2차 저항선 돌파 시 강한 상승 가능성 -> 목표가 설정 가능 

4) 1차, 2차 지지선 이탈 시 손절 필요 

- 피벗 라인은 RSI, MACD 등 다른 지표와 함께 활용하면 매매 신호 정확도가 높아진다 

 


관련 글: '선물' '옵션'의 차이는? (간단 개념 정리)

관련 글: ETF 파생상품 정리 (레버리지, 인버스, 커버드콜)

관련 글:  선물옵션/자문형 랩/주식형 펀드 위험성 알고 start


4. 그물 차트 (GM)

그물 차트란?

- 여러 개의 이동평균선을 조합해서 추세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지표

- 이동평균선(MA)의 간격이 넓어지면 추세 강화, 좁아지면 추세 약화 

그물 차트 활용 방법

1) 이동평균선 간격이 좁아지면 추세 변화 가능성이 높다 

2) 위로 벌어지면 강한 상승 신호 -> 매수 기회

3) 아래로 벌어지면 강한 하락 신호 -> 매도 기회

4)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 위치하면 강세, 아래에 위치하면 약세

- 그물 차트는 변동성이 높은 종목의 추세 파악에 유용하다. 

 

실전 매매 전략 요약

보조지표 조합 활용 방법 

- 추세 판단: DMI & ADX -> 상승/하락/횡보 구간 확인 

- 거래량 분석: CO -> 매집 & 분산 확인 

- 매매 타이밍: 피벗라인 -> 지지선 & 저항선 활용

- 추세 지속성 확인: 그물 차트 -> 이동평균선 간격 분석 

매매 전략 예시 

1) DMI +ADX 활용: ADX 20 이상 & +DI가 -DI 돌파 시 매수 신호 

2) CO 활용: 0선 돌파 시 추세 확인 후 진입 

3) 피벗라인 활용: 피벗 포인트 돌파 후 거래량 증가 시 매수 

4) 그물 차트 활용: 이동평균선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매매 

 

 


관련 글: 주식 '악재' 역이용 투자 법

 

주식 '악재' 역 이용 투자 방법

주식 역발상 투자방법 (악재성 뉴스 따라잡기) - 악재성 뉴스 따라잡기는 호재성 뉴스와는 다르게, 서둘러 주문을 넣어야 하는 긴박함에서 벗어나, 여유를 가지고 매수할 수 있다. 왜냐면 악재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 매매 타이밍 (매수/손절매 시점 잡기)

 

매수 / 손절매지표 보고 타이밍 잡는 방법

매수/손절매 지표 보고 타이밍 잡는 방법 손절매 개념 - 손절매도(Loss Cut)는 현재의 손실을 정리하고, 더 이상의 추가 손실을 막는다는 의미가 있다.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손절매도를 할 것인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가치주 개념과 투자방법 (정확히 알기)

 

저평가 가치주 투자 방법

저평가 가치주 란?- 가치주 투자는 현재 형성된 주가 수준이 낮은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방법이다. 즉, 현재는 저평가되어 있지만, 미래의 어느 순간에는 가격이 많이 오를 수 있을 것으로 기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