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세금 재테크 공부

'금리' 란 무엇인가?

by 블랙스완 미니 2023. 1. 23.

 

금리-란-인상-투자-부자-재테크-초보
금리 란?

금리란 무엇인가?

- 금리를 알아야 투자에 성공할 수 있다. 세계 경제의 흐름뿐 아니라 주식과 채권, 부동산 모두 금리와 큰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명목 금리와 실질 금리

- 금리는 '명목'과 '실질'로 나눌 수 있다. 명목금리는, 예금이나 대출처럼 실제로 고시된 금리다. 반면에 실질 금리는, '체감할 수 있는' 금리다. 내가 실질적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금리를 말하는 것이다. 

 

명목 금리 - 물가 상승률 = 실질 금리 

 

예를 들어,

현재 명목이 5%이고, 물가 상승률도 5%라면 실질 금리는 0%가 된다. 즉 이자를 받아도 실질적으로 얻는 이득은 0인 셈이다. 그런데 실제로는 명목 금리와 물가 상승률이 동일하면 실질 금리는 마이너스가 된다. 왜냐하면 여기에 세금이 붙기 때문이다. 은행 이자의 15.4%는 세금으로 내야 하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는 손해를 보게 되는 것이다. 

 

같은 원리로 월급 오르는 폭(임금 상승률)이 물가 오르는 폭(물가 상승률)보다 같거나 작다면 직장에 다닐수록 가난해지는 것이다. 직장인이라면 실제 내 연봉이 얼마나 올랐는지 확인할 수 있는 공식이 있다. 

 

임금 상승률 - 물가 상승률 = 실질 연봉 상승률 

 

금리가 더 높은 적금과 예금 중 어느 게 더 유리할까? 

 

 

 

- 1년 이율 4.5%인 정기 예금과 1년 이율 7%의 적금이 있다고 했을 때,

적금 금리가 정기 예금 금리보다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가 아니라면, 정기 예금이 이자를 더 많이 받는다. 예치 금액이 1,000만원이라고 했을 때, 정기 예금에 가입하면 세후 380,700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적금에 가입하면 세후 320,771원을 받을 수 있다. 

 

적금 금리가 높은 상품일수록 기간이 짧거나 납입 금액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특정 조건을 채워야 최고 금리를 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세부 내용을 잘 확인해야 한다. 보통은 최고금리 조건은 신용카드 실적, 자동이체 등의 조건이 붙게 된다. 

 

신용 점수 관리를 해야 하는 이유 

- 소득과 신용 등급에 따라 대출 금리가 정해진다. 대출 금리를 낮추려면, 사회초년생 때부터 신용을 관리해야 한다. 사회 초년생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가 차를 구매할 때 받는 '자동차 할부 대출'이다. 자동차 판매 회사에서 해주는 할부 대출이 신용 점수를 많이 떨어뜨린다. 대부분의 자동차 할부 회사는 3 금융권인 캐피털 회사이기 때문이다.

 

1 금융권 : 시중 은행 (카카오 뱅크, 토스뱅크 포함)
2 금융권 : 저축 은행, 새마을금고, 지역 농/축협, 산림 조합
3 금융권 : 대부업체, 캐피털

 

2 금융이나 3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는다는 것은, 그만큼 경제 상황이 안 좋다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신용 점수를 떨어뜨린다. 대출을 이용해야 할 때는 1 금융권에서 받고, 차선책으로 2 금융권을 받는다는 생각이 기본적으로 확립되어 있어야 한다. 

 

기존받은 대출 금리를 낮추는 방법

- 은행에서 금리를 올리면 올렸지, 내려주지는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고객이 금리 인하 요구를 할 수 있다. '금리 인하 요구'는 소득이나 재산이 증가해서 재무 상태가 개선된 경우나 신용 평점이 상승한 경우 요청할 수 있다. 주택 담보 대출을 변동 금리로 받았는데, 너무 높아진 경우에는 안심 전환 대출을 이용해서 고정 금리로 갈아탈 수 있다. 

 

안심 전환 대출을 이용하면, 최저 3.7~최대 4%의 금리로 이자를 낮출 수 있다. 부부 합산(미혼은 단독) 소득이 최대 1억 이하이며, 주택 가격이 4억 이하(시세), 1 주택자만 신청이 가능하다.  

 

금리 상승기 투자 방식

 

 

 

- 금리가 상승하면 주가가 하락한다. 특히 경제가 안 좋을 때 금리가 상승하면 주식 시장은 큰 폭으로 하락한다. 투자자들이 이율이 높은 은행으로 자금을 옮겨 가고, 미국의 금리가 높아지면서 한국에 투자된 외국 자본들도 미국으로 옮겨가기 때문이다.  앞으로 금리가 더 인상된다면, 주식 시장도 더 하락할 수 있다. 

 

하락장에서는 인버스 ETF로 수익

반면에, 앞으로 금리가 인하해서 주식 시장이 반등할 것으로 예측될 때는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적립식으로 매입하는 것도 좋다.

 

채권은 국가나 은행, 회사가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유가증권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받는 이자를 만기 수익률이라고 하는데, 금리가 오르면 채권의 가격이 내려가면서 수익률은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금리가 고점일 때 채권을 매수해 놨다가 하락 시점에 채권을 매도하면 좋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 금리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인다. 지금 금리가 높다고 해서 앞으로도 이자를 많이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금리가 변화하는 시기에는 새로운 투자 기회를 잡을 수 있는 변곡점이 될 것이다. 금리를 아는 사람만이 부의 흐름에 올라탈 수 있다.  

 

 


관련 글: 투자 재테크 난이도 별 종류

 

투자 재테크 난이도 별 종류

나에게 맞는 재테크, 난이도와 운영 금액 별 총 정리  1. 난이도 - 상  1) ELS (100만~ 500만 원)  - 최악의 경우 100% 원금 손실 위험- 투자가 성공적일 때는 금액 상향 가능- 기초자산의 움직임을 스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투자의 기본 원칙 14가지

 

주식 실전 투자 기본 원칙 14가지

주식 투자 기본 원칙  1. 손절매! 손절매! 손~~ 절~~ 매- 수십 번, 수백 번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는 말이다.  그만큼 중요하고 또 중요한 원칙이다. '매수가 보다 낮은 가격으로는 도저히 매도하지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ETF 매매 방법에 관한 모든 것

 

ETF 매매 방법에 관한 모든 것

ETF 매매할 때 알아야 할 것  1. 매매시간 (주식과 같은 방식)  - 오전 9시~ 오후 3시, 시간 외 매매 오전 7:30~8:30, 오후 15:00~15:10으로 주식과 같다.  2. 호가단위(사고팔 수 있는 단위)  - 5원 단위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