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계약 파기 시 손해배상, 세금, 위자료 정리
2025년 부동산 계약 시장에서도, 계약 파기 시 발생하는 법적 책임과 세금 문제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가계약금 단계부터 중도금 이후 상황까지 단계별로 정리하고, 계약 해지 시 발생하는 세금 및 위약금 처리 방식까지 현실적인 해설을 담았습니다.
1. 가계약금만 지급했을 경우
- 가계약금은 일반적으로 전체 계약금의 10% 수준
-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가계약금 송금 + 일정 협의 문자로 계약 성립으로 간주될 수 있음
- 2025년에도 대법원 판례(2015년 3월 26일 선고, 2013다74245) 기준 유효
2. 계약금 입금 이후 파기
계약서를 작성하고 계약금을 송금한 후 파기하는 경우, 민법 제565조에 따라 계약 파기는 계약금 배액 상환을 원칙으로 합니다.
- 예: 계약금 5천만 원 → 매도인이 파기하면 1억 원 배상
- 매도인이 인정을 거부할 경우 소송 절차로 이행
3. 중도금 입금 이후 파기
- 중도금은 계약 이행 착수로 해석됨
- 매도인이 일방적 해지 불가 → 소송을 통한 강제 이행 또는 손해배상 청구
- 중도금 선입금 후 통보 전략: 계약 이행 의지 입증 가능
4. 계약 파기에 따른 세금 처리
매도인이 파기한 경우
- 계약금 2배 중 추가 1배 금액은 매수인의 기타소득으로 간주
- 매도인은 해당 금액의 22%를 원천징수 후, 나머지 지급
- 지급일 다음 달 10일까지 원천세 신고 납부 의무
매수인이 파기한 경우
- 계약금 포기로 계약 해지 → 별도 세금 발생하지 않음
- 매도인은 받은 계약금을 기타소득으로 처리
종합소득세 신고 관련
- 위약금 수령자는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 원천징수액 300만 원 이하인 경우 분리과세 선택 가능
5. 위자료 청구는 가능한가?
- 일반적인 계약 해지로는 위자료 청구 불가
- 다만, 명백한 신의성실 의무 위반 또는 사기·기망행위가 인정되는 경우 위자료 인정 사례 있음
- 대부분은 계약금 배상으로 갈음되므로, 위자료는 극히 예외적인 경우
실전 팁 – 계약 성립 증거 남기는 법
- 가계약금 송금 시 통장 이체 내역 + 문자 대화 캡처
- 중도금 입금은 계약 이행 착수의 핵심 증거
- 모든 일정은 서면 또는 문자로 통보 → 분쟁 시 유리
계약서 작성 전이라도, 가계약금 송금과 문서 협의 내역은 꼭 확보하세요. 이 작은 준비 하나가 분쟁 시 수천만 원을 지켜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실무 정리
- 가계약금도 계약 성립 판단 가능 → 2배 배상 발생
- 계약 파기로 받은 위약금은 세금 대상 (기타소득)
- 원천징수 및 종합소득세 신고는 필수
- 중도금 입금 시 계약 해지 불가 → 소송 가능성 대비
계약은 감정이 아닌, 기록으로 보호해야 합니다
부동산 계약에서 가장 중요한 건 "증거와 타이밍"입니다. 명확한 금액 입금과 일정 합의, 계약 이행에 대한 증거 확보는 추후 분쟁 시 결정적인 차이를 만듭니다.
관련 글:상가 뺄 때 꼭 알아야 할 권리금/원상 복구 범위와 절차 총정리
상가 뺄 때 꼭 알아야 할 권리금/원상 복구 범위와 절차 총정리
상가 권리금과 원상복구 의무, 분쟁 줄이는 핵심 포인트상가를 정리하거나 임대차 계약을 종료할 때, 권리금 회수와 원상복구 의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불필요한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임장 준비물과 현장 확인 포인트, 수익내는 사람은 다 본다
임장 준비물과 현장 확인 포인트, 수익내는 사람은 다 본다
임장이란 무엇인가요? 부동산 현장 방문의 핵심임장(臨場)은 부동산 물건을 직접 보러 가는 것을 말합니다. 아파트, 상가, 토지 등 투자를 고민 중이라면, 현장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 수익과 직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매수인 양도세 대납 특약 시 세금 폭탄 주의(실전 사례)
매수인 양도세 대납 특약 시 세금 폭탄 주의(실전 사례)
부동산 매매 시 양도세를 매수인이 부담할 경우 주의할 점 1. 양도세 매수인 대납 특약이란?부동산 거래에서 매도인이 부담해야 할 양도세를 매수인이 대신 내기로 특약을 거는 경우가 있습니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세 절세 방법, 상속재산 평가와 공제 전략까지 (0) | 2023.01.17 |
---|---|
부부 공동명의 vs 단독 명의, 뭐가 더 유리할까? (종부세) (0) | 2023.01.13 |
부동산 등기부등본 위조 피해 대처법과 판례 (0) | 2023.01.08 |
전세 사기 의심될 때, 지금 당장 해야 할 8단계 행동 매뉴얼 (0) | 2023.01.06 |
청약 가점 없어도 당첨? 지금 당장 도전해야 할 6가지 전략 (0)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