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부동산 공부

부동산 등기부등본 위조 피해 대처법과 판례

by 블랙스완 미니 2023. 1. 8.

부동산-등기부등본-위조-사기-피헤-대처-판례
부동산 등기부등본 위조 피해

부동산 등기부등본 위조 피해 대처법과 판례

- 부동산 거래 시 가장 중요한 서류 중 하나가 등기부등본이다. 하지만 등기부등본이 위조될 가능성이 있다면? 이를 믿고 거래했다가 집을 잃을 수도 있다. 실제 국내에서는 부식등기로 인해 피해를 본 사례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등기부등본 위조 피해 사례, 한국과 해외의 등기부 공신력 차이, 그리고 부실 등기로 인한 피해를 막는 방법을 정리 했다.

 

1. 부동산 등기부등본 위조 피해 사례

 

예시) 대출 없는 집을 샀지만, 모든 권리를 잃는 경우 

- A 씨는 자비 5천만 원과 주택담보대출 1억 3천만 원을 합쳐서 빌라를 구입했다. 대출을 모두 갚고 집의 소유권을 완전히 확보했다고 생각하던 중, 뜻밖의 법원 소장을 받게 된다. 

- 국내 한 은행이 "이 빌라의 근저당권을 원상 복구하라"는 소송을 제기

이유

- 이전 집주인 B 씨가 빌라를 담보로 대출을 받았으나, 근저당 말소 기록이 위조된 것이다. 

- A 씨는 분명 깨끗한 등기부등본을 보고 집을 샀다. 하지만 실제로는 위조된 등기부를 기반으로 거래한 것이었고, 결국 A 씨의 권리는 무효가 되었다. 

위조 과정 - 전주인 B 씨의 치밀한 사기 수법

이전 집주인 B 씨는

- 빌라를 담보로 1억 4,280만 원 대출받음

- 대출금을 갚지 않았으면서도, 갚은 것처럼 인감과 서류를 위조

- 위조된 서류를 이용해 근저당권을 말소

이후 B 씨는 이 빌라를 A 씨에게 팔았고, A 씨는 아무것도 모른 채 거래를 진행했다. 

- 결과적으로, A 씨가 본 등기부등본은 부실 등기였고, 실제로는 은행이 근저당권을 보유한 상태였다. 

- 법원은 A 씨에게 근저당권을 다시 회복시키라고 판결했고, 결국 빌라는 경매로 넘어갔으며 은행이 대출금을 회수했다. 

A 씨는 모든 돈을 일고 빌라에 대한 권리를 상실했다. 

 

2. 한국에서 등기부등본을 믿을 수 없는 이유는 "공신력 부재"

등기부등본이 실제 부동산의 상태와 다르다면? 

- 한국에서는 등기부의 "공신력"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피해자가 보호받지 못한다. 

 

공신력이란?

공신력이 인정된다는 것은,

- "등기부가 실제 사실과 다르더라도, 부동산을 산 사람이 이를 모른 채 거래했다면 보호받을 수 있다"는 개념이다.

- 즉, 등기부를 믿고 거래했을 경우, 해당 거래는 유효하게 인정되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은 등기부의 공신력을 인정하지 않는다

- 따라서 거래 이후에 등기가 잘못된 것이 밝혀지면, 부동산 구매자는 아무런 보호를 받을 수 없다. 

- 등기부가 깨끗해 보여도 나중에 문제가 발생하면 무조건 피해자가 책임을 져야 한다. 

 

왜 한국은 등기부 공신력을 인정하지 않을까?

- 일제강점기, 광복, 6.25 전쟁 등의 역사적 혼란으로 인해, 실제 권리 관계와 등기 기록이 다르게 남아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그래서 법원은 "등기부를 절대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3. 해외에서는 등기부 공신력을 인정

- 독일: 민법(BGB) 제892조, 제893조를 통해 등기부 공신력 명시

- 대만: 토지법 제43조에서 등기부 공신력 보장

- 미국: '토렌스 시스템'을 통해 부실 등기로 피해를 본 경우 보상 기금 마련

- 영국: 토지등기법에 따라 등기기관이 직접 손해 배상 책임을 진다 

※ 즉, 독일, 대만, 미국, 영국 등에서는 등기부를 믿고 거래한 사람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보호하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4. 부실 등기로 피해를 본 경우 국가 배상 가능성

- 등기소 공무원이 위조된 서류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서 부실 등기가 발생했다면, 국가 배상을 받을 수도 있다. 

대법원 판례

- 등기 신청 서류에 명확한 결함이 있었는데도 확인하지 않았다면, 등기소 공무원의 책임을 물을 수 있다

- 공무원이 "서류가 형식적으로 올바른지"를 확인할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면 국가 배상이 가능하다 

실제 판례 (1993년 대법원 판결)

- 위조된 인감증명서의 유효기간이 1개월이 아닌 3개월로 표시되어 있었음

- 등기 공무원이 이를 확인하지 않고 등기를 승인

- 대법원은 이를 등기 공무원의 "심사 의무 위반"으로 판결 

2014년 서울중앙지방법원 판결

- 위조 서류로 인해 토지를 빼앗긴 경기동부과수농업협동조합에 대해 

- 국가가 7억 2천만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

※ 하지만 국가 배상을 받기 위해서는 긴 소송 과정이 필요하고, 현행법이 바뀌지 않는 이상 부실 등기로 인한 피해는 계속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5. 부실 등기로부터 내 부동산을 지키는 방법

 

1) 등기부등본만 믿지 말고 추가 서류 확인하기

- 등기부등본뿐만 아니라 소유권 이전 서류, 근저당 설정 문서, 매매 계약서 등 추가 확인

- 실거래가 신고 여부도 확인 필수

2) 등기소 방문 시 직접 확인 요청하기

- 부동산 등기소에서 최근 1년간 등기 변경 내역을 직접 확인 

- 가능하다면 등기소 공무원에게 서류의 진위 여부 질의

3) 중개사와 변호사를 통해 이중 체크

- 공인중개사뿐만 아니라 부동산 전문 변호사의 검토를 받으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4) 부실 등기 예방을 위한 법 개정 필요성 요구하기

- 등기부 공신력 보장을 위한 법 개정을 요구하는 시민단체나 정부 정책을 지지하는 것도 중요 

등기부등본만 믿고 거래하면 위험하다

- 한국에서는 등기부 공신력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부실 등기로 인한 피해를 본다면 보호받을 수 없다. 

- 해외(독일, 미국, 대만 등)에서는 등기부를 믿고 거래한 사람이 보호받을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 등기소 공무원이 위조 서류를 감별하지 못했다면, 국가 배상 청구가 가능할 수도 있지만, 소송 과정이 복잡하다

- 따라서, 부동산 거래 시 반드시 등기부등본 외에도 여러 서류를 검토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수

 

 

 


관련 글: 전세사기 의심될 때 대처하는 방법

 

전세 사기 의심될 때 대처하는 방법

전세 사기 의심될 때 대처 방법 1. 계약 전 필수 확인 서류들  1) 등기부등본소유자 = 계약자 확인 필수 (가압류, 근저당 등이 있으면 X) 2) 국세/지방세 완납증명서- 집주인이 세금 체납 시 보증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전세사기 피해자가 꼭 알아야 할 것 2가지

 

전세사기 피해자가 꼭 알아야 할 것 2가지

신규 전셋집 이사하거나 계속 거주하는 경우 알아야 할 대출 - 국토부는 신규 전셋집으로 이사하는 임차인을 위해서 '저리대출'에 이어, 기존 전셋집에 계속 거주할 수밖에 없는 임차인을 위해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경매할 때 '말소 기준권리' 체크 필수

 

경매할 때 '말소 기준권리' 체크 필수

경매할 때 '말소기준권리' 체크 필수 - 경매로 부동산을 취득하려고 할 때, 1차적으로 분석해야 할 서류는 등기부등본(등기사항전부증명서)이다. 등기부등본에는 소유자나 부동산에 관한 각종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