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세금 재테크 공부

사전 증여 효과 제대로 보는 방법

by 블랙스완 미니 2024. 7. 28.

사전증여-절세-효과-제대로-보는-방법
사전증여 절세

사전증여 효과 제대로 보는 방법

- 사전증여로 상속세를 절감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지만, 세금 부담을 줄이는 만능 해결법은 아니다. 사전증여해서 절세 효과를 얻으려면 상속 자산의 종류와 평가 방식, 증여 시점 등을 감안해야 한다. 우선 상속세 부과 대상 재산목록을 정리하고, 재산 가치를 평가해야 한다. 

 

이후에 상속세 과세표준 금액을 확정하기 위해 일정 금액을 차감해 주는 상속 공제를 적용한다. 배우자 공제는 최소 5억 원, 자녀가 있으면 일괄공제 5억 원이 적용돼서 상속재산에서 10억 원을 공제한 후 상속세가 부과된다. 배우자와 자녀가 있으면 상속 시점의 상속 재산이 10억원 이하일 때는 굳이 사전증여를 통해 증여세를 낼 필요가 없다. 

 

추가로 금융재산공제(최대 2억), 동거주택 상속공제(최대 6억)를 감안해 상속세 대상인 재산을 파악해야 한다. 

사전증여 시기와 방법

 

- 부모님의 병세가 위중해 상속 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 상속세 절감을 위해 사전증여를 문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속세를 계산할 때 상속인이 10년 이내에 피상속인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은 상속재산에 포함돼 상속세가 계산되기 때문에 사전증여 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상속세를 줄이기 위해 사전증여를 활용할 대는, 예상 상속 시점으로부터 10년 이전에 해야 한다. 손자, 사위, 며느리 등 비상속인에게 사전 증여한 재산은 상속 시점 5년 이내의 것만 상속재산에 합산되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하면 상속재산에 합산되는 기간을 줄일 수 있다. 

 

자녀가 증여 받은 자산을 잘 관리할 것인가?

- 효과적인 상속 및 사전증여를 위해서는 적합한 계획이 필수다. 상속세와 증여세 관련 법규와 정책의 최신 정보를 꾸준히 확인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도 중요하다. 

 

 


 

관련 글: 자녀에게 주택 증여할 때 조심할 점

관련 글: 아파트 10억 시대 절세 방법

관련 글: 절세를 위한 분산 증여 시 주의사항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