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F, 주식처럼 사고파는 펀드 |가장 싸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 ETF 펀드 차이 - ETF는 펀드처럼 투자자들의 돈을 모아 하나의 펀드로 구성해서 주식, 채권, 원자재 등의 자산에 투자한다. 단 이 둘은 거래 방식이 다르다. ETF는 투자자들이 펀드의 지분(share)을 회사로 부터 직접 사고팔 수가 없다. 마치 주식처럼 증권거래소에서 그때그때 거래된다. 그렇기 때문에 펀드와 달리, 거래 가격을 알기 위해 그날의 주식시장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ETF를 이용해 코스피지수에 투자를 한다면, 지수의 가격 변화를 봐가면서 투자를 할 수가 있다. 또 ETF는 펀드와 비슷한 특징을 지닌 거의 모든 종류의 펀드를 가지고 있다.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펀드의 지분을 사는 것과 ETF의 지분을 사는 것은 차이가 있다. ETF의 지분을 살 때는, ETF의 기본 자.. 2023. 8. 19.
ETF 투자 핵심 개념 부터 인기 종목까지 총정리 ETF 투자, 핵심 개념과 종류 완벽 정리  ETF 란?- 개별 종목의 움직임이 아닌, 투자 대상이 되는 시장 전체(기초 자산)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수익을 얻도록 만들어진 투자 상품이다. ETF의 기초 자산(투자 대상)은 주가지수뿐 아니라 원자재, 해외 주식, 채권, 환율 등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투자의 폭이 넓다.  - 일반 펀드는 매매를 요청한 시점과 실제 매매가 이뤄지는 시점에 차이가 있지만, ETF는 주식처럼 거래되기 때문에, 시차가 없이 바로 매매가 이뤄질 수 있다. 대상이 되는 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추종한다는 점에서는 인덱스펀드와 같지만, ETF는 개별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라는 점이 인덱스펀드와는 다르다.  - ETF는 낮은 수수료와 운용보수라는 장점이 돋보이는 상품이지만, 잦은 거래를 .. 2022. 11. 13.
ETF로 상품/통화 투자, 수익 올리는 전략은? 상품과 통화 ETF 종류 통화와 상품 ETF의 공통점 5가지 1. 소액으로 투자 가능하며, 외국통화도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다. - 금, 은 등 귀금속과 농산물 그리고 원유와 같은 실물자산에, 누구나 일반주식처럼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으며, 외국통화도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하다. 2. 실물자산이 아닌 선물에 투자- 상품과 통화 ETF는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선물 가격을 추종하는 ETF다. 실물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배당금이 없다. 또, 파생상품인 선물에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자금의 일부만 선물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현금이나 안전자산에 넣어둔다. 3. 환헤지 상품   - 통화와 상품 ETF는 대부분 환헤지가 되어있다. HTS에서 확인되는 가격 이외에, 별도로 환리스크에 대해 .. 2022. 11. 8.
ETF,ETN,ELS,ELT 각 상품의 특징과 투자 방법 ETF/ETN/ELS/ELT 상품 특징과 투자 방법 1. ETF(상장지수펀드)와 ETN(상장지수채권)의 차이 ETF(Exchange Traded Fund)- ETF는 인덱스 펀드를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금융 상품이다. 투자자가 개별 주식을 선택하지 않고도 여러 주식에 분산 투자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하다. 자산운용사가 발행 하고 실제 자산을 보유하기 때문에, 자산운용사가 파산하더라도 투자자는 자산을 받을 수 있다. 주로 주가지수를 추종한다. ETN (Exchange Traded Note)- ETN은 증권회사가 발행하는 채권 형태로,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상품이다. ETF와 달리 만기가 존재하며, 만기 시 지수 수익률을 기준으로 투자금을 돌려 받는다. ETN은.. 2022. 10. 28.
인덱스 / 액티브 / 패시브 펀드 개념 정리 인덱스/액티브/패시브 펀드 개념 정리 인덱스 펀드란? 1. ETF, 펀드와 주식의 장점만 모은 것  - ETF는 나라별, 업종별, 기업의 특성별로 목적과 취향에 따라 우량주만 골라 바구니에 담은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펀드의 장점인, 우량주에 골고루 분산 투자할 수 있는 부분과  실시간으로 가격을 확인해가며 매매할 수 있는 주식의 장점을 모두 가진 금융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2.  시장평균 수익률을 내는 인덱스펀드  - 인덱스펀드는 펀드 수익률이 종합주가지수(KOSPI) 같은 대표적 지수, 인덱스 수익률을 따라가도록 만든 펀드이다. 시장평균 수익률을 따라가기 때문에, 종목을 고르기 위해 큰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장기투자에 적합) ※ 시장평균 수익률- 증권시장 전체의 평균 수익.. 2022. 9. 27.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