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 주택 특례 조건과 주의점
1. 상속주택 특례란?
- 부모로부터 상속받은 주택으로 인해 다주택자가 된 경우라도, 기존 보유 주택을 양도할 때 한 채만 보유한 것으로 간주해서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적용받는 제도다.
- 단, 부모가 보유한 주택 중 한 채만 혜택 적용 가능
2. 상속주택 특례 조건
- 상속받은 주택 외에 기존 보유 주택을 양도할 때 적용
상속주택에 포함되는 경우
- 조합원 입주권
- 분양권이 완공되어 취득된 주택
3. 특례 적용 순서
- 부모가 상속 당시 2 주택 이상 보유했다면, 특례 대상 주택 선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부모가 가장 오래 보유한 주택
2) 거주 기간이 긴 주택
3) 상속 당시 부모가 실제 거주 중인 주택
4) 기준 시가가 높은 주택
5) 기준 시가도 같다면, 상속인이 선택한 주택
※ 상속인 간의 합의로 임의로 정할 수는 없다. 법령에 따른 순서대로 적용된다.
4. 비과세 요건
- 상속주택은 별도의 시한 없이 비과세 혜택 적용 가능
1 가구 1 주택 비과세 요건 충족 필수
- 2년 이상 보유
- 주택 가격 12억 이하
-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은 2년 이상 거주
5. 주의 사항: 어떤 집을 먼저 팔아야 할까?
- 기존 주택을 먼저 팔아야 상속주택 특례 적용 가능
- 상속받은 주택을 상속개시일 기준 6개월 이내에 팔면 양도세 '0원'
이유)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이 같아져 양도차익이 발생하지 않음
- 상속받은 주택을 먼저 팔면 특레 적용 불가
6. 비과세 혜택 예시
- 김 씨는 기존 A주택(8억 원)을 보유하다 2020년 아버지로부터 B주택(오래 보유)과 C주택(짧게 보유)을 형제와 나눠 상속받음
- 법령에 따라 B주택만 특례 적용 가능
- A주택 양도 시, 특례 미적용으로 양도세 7700만원 부과
종합 요약
- 상속주택 특례를 적용받으려면 법령의 순서와 요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상속개시일 기준 6개월 이내 상속주택 매각도 절세 전략으로 활용
- 세금 문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히 게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글: 자녀에게 주택 증여할 때 조심할 점
자녀에게 주택 증여할 때 조심할 점
자녀에게 주택 증여할 때 주의사항 자녀 세대분리 요건 확인 - 1 주택자가 주택을 2년 이상 보유(취득 당시 조정대상지역인 경우 2년 이상 거주)하다 처분할 경우, 양도금액 12억까지는 양도세가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헷갈리는 상속세 사례 정리 8가지
헷갈리는 상속세 사례 정리 8가지
상속세란? - 상속세는 돌아가신 분의 재산에 대해 유가족이 납부하는 세금이다. 상속세를 신고하기 위해서는, 돌아가신 분(피상속인) 소유의 주택, 자동차, 주식, 예금과 같은 재산을 모두 파악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상속세 부담될 때는 '연부 연납' / 양도소득세 절세
상속세 부담될 때는 '연부 연납' / 양도소득세 절세
상속세 부담될 때 '연부연납' - 증여나 상속을 받으면 10%부터 최대 50%까지 세금을 내야 한다. 당장 재산의 현금화가 어려워서 일시에 상속/증여세를 납부하기 힘든 상황에서 기한 유예의 편익이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자 증여 시 세금 줄이는 3가지 방법_소액 증여/배우자 활용법 (0) | 2025.01.09 |
---|---|
상속 주택 6개월 내 매각 시 절차와 주의 사항 (0) | 2025.01.07 |
매수인 양도세 대납 특약 시 세금 폭탄 주의 (0) | 2025.01.02 |
착한 임대인 혜택, 상생임대주택 특례로 절세 (0) | 2024.12.27 |
2025 분양권 증여 취득세 중과 규정 완벽 정리 (0) | 2024.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