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부동산 공부

상속 주택 양도소득세(양도세) 면제 특례 조건

by 블랙스완 미니 2025. 1. 6.

 

상속세-특례-조건
상속세 특례 조건

상속 주택 특례 조건과 주의점 

 

1. 상속주택 특례란?

- 부모로부터 상속받은 주택으로 인해 다주택자가 된 경우라도, 기존 보유 주택을 양도할 때 한 채만 보유한 것으로 간주해서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적용받는 제도다. 

- 단, 부모가 보유한 주택 중 한 채만 혜택 적용 가능 

 

2. 상속주택 특례 조건

- 상속받은 주택 외에 기존 보유 주택을 양도할 때 적용

 

상속주택에 포함되는 경우

- 조합원 입주권
- 분양권이 완공되어 취득된 주택 

 

3. 특례 적용 순서

- 부모가 상속 당시 2 주택 이상 보유했다면, 특례 대상 주택 선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부모가 가장 오래 보유한 주택
2) 거주 기간이 긴 주택
3) 상속 당시 부모가 실제 거주 중인 주택
4) 기준 시가가 높은 주택
5) 기준 시가도 같다면, 상속인이 선택한 주택 

 

상속인 간의 합의로 임의로 정할 수는 없다. 법령에 따른 순서대로 적용된다. 

 

4. 비과세 요건

- 상속주택은 별도의 시한 없이 비과세 혜택 적용 가능 

 

1 가구 1 주택 비과세 요건 충족 필수 

- 2년 이상 보유
- 주택 가격 12억 이하
-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은 2년 이상 거주 

 

5. 주의 사항: 어떤 집을 먼저 팔아야 할까?

- 기존 주택을 먼저 팔아야 상속주택 특례 적용 가능 

- 상속받은 주택을 상속개시일 기준 6개월 이내에 팔면 양도세 '0원'

이유)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이 같아져 양도차익이 발생하지 않음 

- 상속받은 주택을 먼저 팔면 특레 적용 불가 

 

6. 비과세 혜택 예시

- 김 씨는 기존 A주택(8억 원)을 보유하다 2020년 아버지로부터 B주택(오래 보유)과 C주택(짧게 보유)을 형제와 나눠 상속받음 

- 법령에 따라 B주택만 특례 적용 가능 

- A주택 양도 시, 특례 미적용으로 양도세 7700만원 부과 

 

종합 요약

- 상속주택 특례를 적용받으려면 법령의 순서와 요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상속개시일 기준 6개월 이내 상속주택 매각도 절세 전략으로 활용

- 세금 문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히 게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글: 자녀에게 주택 증여할 때 조심할 점

 

자녀에게 주택 증여할 때 조심할 점

자녀에게 주택 증여할 때 주의사항 자녀 세대분리 요건 확인 - 1 주택자가 주택을 2년 이상 보유(취득 당시 조정대상지역인 경우 2년 이상 거주)하다 처분할 경우, 양도금액 12억까지는 양도세가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헷갈리는 상속세 사례 정리 8가지

 

헷갈리는 상속세 사례 정리 8가지

상속세란? - 상속세는 돌아가신 분의 재산에 대해 유가족이 납부하는 세금이다. 상속세를 신고하기 위해서는, 돌아가신 분(피상속인) 소유의 주택, 자동차, 주식, 예금과 같은 재산을 모두 파악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상속세 부담될 때는 '연부 연납' / 양도소득세 절세

 

상속세 부담될 때는 '연부 연납' / 양도소득세 절세

상속세 부담될 때 '연부연납' - 증여나 상속을 받으면 10%부터 최대 50%까지 세금을 내야 한다. 당장 재산의 현금화가 어려워서 일시에 상속/증여세를 납부하기 힘든 상황에서 기한 유예의 편익이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