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간 부동산 증여 시 세대생략할증세액 피하는 방법
1. 세대 생략 할증 세액 이란?
- 세대 생략 할증 세액은 조부모가 손자/손녀 등 직계비속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 부과되는 추가 세액이다.
- 기본 증여세율에 30%를 추가 적용한다.
예) 조부모가 손자에게 5억을 증여할 경우, 세율은 20% -> 26%로 높아진다.
2. 세대 생략 할증 세액 피하는 방법
1) 부모를 통해 증여
- 조부모 -> 부모 -> 손자 단계로 증여하면, 각 단계에서 증여세를 적용받지만 세대 생략 할증 세액은 피할 수 있다.
- 장기적으로는 누적 세금이 더 적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2) 직계비속이 아닌 배우자/며느리/사위 활용
- 세대 생략이 아닌 법정 상속인의 배우자에게 증여하는 방법이다.
예) 조부모가 부모 대신 손자의 배우자(며느리 또는 사위)에게 증여 시 세대 생략 할증세액 미적용
3) 소액 증여 활용
- 증여 공제 한도를 활용해 세금 부담을 줄이는 방법
- 손자/손녀 10년 기준 2000만 원 비과세 혜택을 활용해 분할 증여 가능
3. 세대 생략이 유리한 경우
- 세대 생략 할증세액을 감수하고도 장기적 절세가 가능한 상황
1) 조부모와 부모가 각각 증여할 경우 두 번의 증여세 발생
2) 손자에게 직접 증여시 한 번의 증여세로 끝나므로 결과적으로 유리할 수 있음
4. 주의 사항
1) 상속재산 합산
- 사망 전 10년 내 조부모 -> 부모 증여는 상속재산에 합산
- 5년 이내 손자/손녀 증여는 동일하게 상속재산 합산 대상
2) 세금 계산 시 신중한 계획 필요
- 각 단계의 세율, 공제 한도, 상속/증여 시점 등을 세심히 검토해야 한다.
관련 글: 최고의 증여세 절약 방법은 '분할'
최고의 증여세 절약 방법은 '분할'
최고의 증여세 절약 방법은 '분할'- 증여하면서 절세하는 방법으로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 주는 기간, 주는 방법 등을 나누는 전략이 필요하다. 자녀에게 증여할 때 부모와 조부모, 외조부모 등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상속 주택 양도소득세(양도세) 면제 특례 조건
상속 주택 양도소득세(양도세) 면제 특례 조건
상속 주택 특례 조건과 주의점 - 부모가 보유한 주택을 상속받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세법은 이런 경우 양도소득세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물려받은 집을 주택 수에서 제외해 주는 '상속주택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차용증 증여 2억원까지 세금 0원
차용증 증여 2억원까지 세금 0원
차용증 증여 합리적으로 하는 법- 서울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상승 조짐을 보이자, 자녀의 내 집 마련 지원을 고민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문제는 자녀에게 증여하는 자금이 많을수록 세 부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양도소득세 경정 청구 절차와 소요 기간 (0) | 2025.01.10 |
---|---|
자녀 증여 세금 줄이는 방법: 부동산 vs 금융 자산 비교 (0) | 2025.01.09 |
상속 주택 6개월 내 매각 시 절차와 주의 사항 (0) | 2025.01.07 |
상속 주택 양도소득세(양도세) 면제 특례 조건 (0) | 2025.01.06 |
매수인 양도세 대납 특약 시 세금 폭탄 주의 (0) | 2025.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