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부동산 공부

상속 주택 6개월 내 매각 시 절차와 주의 사항

by 블랙스완 미니 2025. 1. 7.

 

상속-주택-6개월-매각-절차-주의사항
상속 주택 6개월 매각

상속 주택 6개월 내에 매각할 때 절차와 주의할 점

 

1. 상속주택 6개월 내 매각 절차

 

1) 상속 개시일 확인

- 상속주택 매각 기한(6개월)은 상속 개시일 기준으로 계산된다. 

- 상속 개시일은 피상속인이 사망한 날짜다. 

 

2) 매각 준비

- 부동산 평가: 상속 개시일 전후 6개월 내 시가로 평가 

- 감정평가사를 통해 시장 가격 확인 (필요시)

3) 매각 실행 

- 부동산 중개소 또는 직거래 플랫폼을 통해 매수인과 계약 체결

- 매매계약서 작성 후 관련 세무 신고 진행 

4) 관련 세무 처리

- 양도세 신고는 상속 개시일 기준 6개 우러 내 매각한 경우 세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 매각 후 세무서에 상속재산 평가 내역과 매각 증빙 제출 

 

2. 상속 주택 매각 시 주의사항 

 

1) 양도가액 평가 기준

- 상속 재산은 상속개시일 전후 6개월 내 시가를 기준으로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이 동일하게 간주된다. 

- 따라서 양도차익이 없어서 양도세가 '0원'으로 처리된다. 

2) 상속 주택 특례 적용 여부

- 상속주택 특례는 매각 순서에 따라 달라진다. 

- 기존 보유 주택을 먼저 매각하지 않으면 상속주택 특례를 받을 수 없다. 

 

3) 6개월 이내 매각 기한 준수

- 기한 초과 시 상속재산에 대한 특례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양도세 부담 증가

 

4) 비과세 요건 충족 여부

- 상속주택 외 일반 주택 매각 시 1 가구 1 주택 비과세 요건(2년 이상 보유 등)을 충족해야 함

- 상속받은 주택의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이라면 거주 요건 확인 필요 

추가 팁

- 상속세와 관련된 증여세나 다른 세금 부담도 사전에 고려 

- 전문가 상담을 통해 상속재산 매각 및 신고 전략 설계 추천 

 

 


관련 글: 헷갈리는 상속세 사례 정리 8가지

 

헷갈리는 상속세 사례 정리 8가지

상속세란? - 상속세는 돌아가신 분의 재산에 대해 유가족이 납부하는 세금이다. 상속세를 신고하기 위해서는, 돌아가신 분(피상속인) 소유의 주택, 자동차, 주식, 예금과 같은 재산을 모두 파악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상속 주택 양도소득세(양도세) 면제 특례 조건

 

상속 주택 양도소득세(양도세) 면제 특례 조건

상속 주택 특례 조건과 주의점 - 부모가 보유한 주택을 상속받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세법은 이런 경우 양도소득세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물려받은 집을 주택 수에서 제외해 주는 '상속주택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부동산 분양권/계약파기/재건축 중과세 |알아야 할 것들

 

부동산 분양권/계약파기/재건축 중과세 |알아야 할 것들

재건축 일시적 2 주택 종부세 중과 적용 정당 판결 - 재건축으로 아파트 한 채를 갖고 있던 조합원이 아파트 두 채를 나눠 받은 경우도 다주택자에 해당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5월 14일 서울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