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고 있던 돈 찾는 방법
- 휴면예금, 휴면보험금, 카드 포인트, 통신비 미환급액 등 숨어 있는 자산을 쉽게 찾고 돌려받을 수 있다. 간단한 조회만으로도 내 돈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1. 휴면예금 찾기
- 휴면예금이란 오랫동안 거래가 없어서 휴면 상태가 된 예금을 의미한다.
조회 방법
서민금융진흥원 ' 휴면예금 찾아줌'
금융감독원 '파인' (FINE)
어카운트인포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 2000만 원 초과 시 온라인으로 찾을 수 없으며, 서민금융 통합지원센터 방문이 필요하다.
2. 휴면보험금 찾기
- 보험료를 납입했지만 연체 또는 만기 후 찾아가지 않은 보험금이 있을 수 있다.
조회 방법
생명보험협회 '내 보험 찾아줌'
보험개발원 휴면보험금 조회 서비스
※ 본인 인증 후 환급 가능, 여러 보험사의 보험금을 한 번에 조회 가능
3. 카드 포인트 통합 조회 및 환급
- 사용하지 않은 카드 포인트,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조회 방법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 보인 계좌로 입금 가능. 모든 카드사의 포인트를 한 번에 조회하고 현금화할 수 있다.
4. 통신비 미환급액 찾기
- 휴대폰 번호 변경, 서비스 해지 후 과다 납부한 통신비가 남아 있을 수 있다.
조회 방법
스마트 초이스 통신 미환급액 조회
※ 본인 실명 계좌로 즉시 환급 가능
5. 국세/지방세/연금 미환급금 찾기
- 국세, 지방세, 국민연금 등 돌려받아야 할 공과금도 조회 가능
조회 방법
정부 24 '미환급금 찾기' 서비스
※ 미환급 세금/보험료까지 돌려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
6. 금융소비자 정보 포털 '파인' 활용하기
-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종합 조회 서비스다.
조회 가능한 항목
1) 장기 미거래 예금 및 대출
2) 숨은 금융자산 및 휴면계좌
3) 증권사 계좌 미사용 예탁금 조회
7. 증권 계좌의 장기 미거래 투자자 예탁금 조회
- 주식 투자 후 오랫동안 거래하지 않은 계좌에 남아 있는 돈이 있을 수도 있다.
조회 방법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 '잠자는 내 돈 찾기' 서비스
※ 증권사 계좌 내 숨은 자산까지 확인 가능
8. 어카운트인포 앱으로 통합 조회하기
- 내 모든 계좌를 한눈에! 숨은 돈 찾기 최적화 앱
가능한 서비스
1) 휴면계좌 조회 및 해지
2) 자동이체 내역 확인 및 해지
3) 장기 미거래 계좌 찾기
※ 어카운트 인포 안드로이드 앱
숨은 돈 찾기 핵심 정리
휴면예금, 휴면보험금 -> '파인' 또는 '휴면예금 찾아줌'
카드 포인트 ->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통신비 미환급액 -> 스마트 초이스
공과금 미환급금 -> 정부 24
증권계좌 미사용 예탁금 -> 파인에서 조회 가능
내 계좌 통합 관리 -> 어카운트 인포 앱 활용
※ 정기적으로 조회해서 숨은 돈을 찾아보자! 생각보다 많은 돈이 잠자고 있을 수 있다!!
관련 글: 안 찾으면 국고 환수 되는 '숨은 돈 찾기' 8가지
안 찾으면 국고 환수 되는 '숨은 돈 찾기' 8가지
안 찾으면 국고 환수 되는 '숨은 돈 찾기' 1. 건강보험료 과오납 환급금- 내가 낸 건강보험료 중에 이중으로 납부됐거나, 기타의 사유로 금액이 조정돼서 돌려받아야 하는 돈. - 본인부담금 환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전월 실적과 카드 혜택, 결제일 설정으로 통제
전월 실적과 카드 혜택, 결제일 설정으로 통제
지출 계획 세울 때는 카드 대금 결제일 확인부터- 신용카드를 주로 쓰는 사람이라면 지출 계획을 세우기 전에 카드 대금 결제일을 점검해 보는 것이 좋다. 결제일은 카드 대금을 납부하는 날짜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은퇴 후에 건강보험료(건보료) 적게 내는 방법
은퇴 후에 건강보험료(건보료) 적게 내는 방법
은퇴 후 건강 보험료 적게 내는 방법- 은퇴 후 직장을 퇴직하면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에서 지역 가입자로 전환된다. 지역가입자는 소득뿐만 아니라 보유 재산에도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어 금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세금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25일 까지 부가세 예정 신고 납부 방법 (0) | 2024.10.18 |
---|---|
명절에 받은 상여금/선물 세금 처리는? (0) | 2024.10.06 |
은퇴 후에 건강보험료(건보료) 적게 내는 방법 (0) | 2024.10.02 |
손주 유학비도 증여세 납부 (0) | 2024.10.01 |
토지/주택 재산세 9월 넘으면 3% 가산세 (0) | 2024.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