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건강 보험료 적게 내는 방법
- 은퇴 후 직장을 퇴직하면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에서 지역 가입자로 전환된다. 지역가입자는 소득뿐만 아니라 보유 재산에도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어 금전적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아래는 퇴직 후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이는 실질적인 방법과 추가 팁이다.
1. 임의 계속 가입 제도 활용
- 퇴직 전 직장 가입자의 건강보험료가 지역가입자의 봏럼료보다 낮다면, 퇴직 후 최대 36개월간 직장가입자 보험료를 그대로 납부할 수 있다.
신청 방법
- 퇴직 후 지역가입자로 고지된 첫 보험료의 납부기한 부터 2개월 이내에 국민건강보험 공단에 신청
장점
-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는 시점을 늦출 수 있어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주의 사항
- 임의 게속가입 기간 종료 후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므로, 이후 계획도 미리 세워야 한다.
2. 자녀의 피부양자로 등재
1) 소득 요건
- 연소득 2,000만원 이하
- 금융소득(이자/배당)은 1,000만 원 미만인 경우 합산되지 않는다.
2) 재산 요건
- '재산세 과세 표준' (공시지가의 60~70%)이 일정 기준 이하여야 한다.
활용 예시
- 부부가 시가 20억 원의 아파트를 공동명의(50%씩0로 보유하고 있으며, 연소득이 각각 2,000만 원 이하인 경우 피부양자 등재 가능
장점
- 자녀가 직장가입자라면 피부양자로 등록해서 건강보험료 면제 가능
주의 사항
- 자녀의 소득/재산 조건도 고려해야 하므로, 사전에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다.
3. 근로소득자로 재취업
- 은퇴 후 재취업을 통해 다시 직장가입자로 전환할 수 있다.
- 이 경우 지역가입자가 아닌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 된다.
주의 사항
- 창업을 고려할 경우, 종업원의 유무에 따라 지역가입자로 분류될 수 있다.
- 금융소득이 연 1,000만원 이상인 경우 자녀의 피부양자로 등재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4. 건강보험료 줄이는 실질적인 방법
1) 부동산 명의 조정
- 지역가입자는 재산에도 건강보험료가 부과되므로, 부동산을 배우자와 공동 명의로 분산하거나, 일부 자산을 처분해 재산세 과세 표준을 낮추는 방법이 있다.
2) 금융소득 관리
- 금융소득(이자/배당)이 연 1,000만 원을 넘으면 부담이 커질 수 있으므로 비과세 상품(ISA 계좌, 비과세 저축) 활용
- 분리과세 소득은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에서 제외되므로 이를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3) 건강보험공단 상담
- 개인 상황에 따라 최적의 방안을 찾기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상담을 받아 볼 수 있다.
- 공단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건강보험료 절감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다.
4) 1세대 1주택자의 재산세 경감 활용
- 고령자이거나 1세대 1주택자인 경우, 재산세 경감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자. 재산세가 줄어들면 건강보험료 부담도 함께 줄어든다.
5) 생활비 구조 조정
-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자산을 재구성하거나, 세금과 보험료를 줄이는 방향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다.
종합 요약
- 퇴직 후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임의 계속가입 제도 활용, 자녀의 피부양자로 등재, 재취업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추가적으로, 부동산 명의 조정, 금융소득 관리, 국민건강보험공단 상담을 통해 개인 상황에 맞는 최적의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본인의 재산/소득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고, 미래의 재정 계획까지 고려한 장기적인 전략을 세워야 한다.
관련 글: 잘 모르는 퇴직 연금 세금 절세 하는 방법
잘 모르는 퇴직 연금 세금 절세 하는 방법
퇴직연금 세금 절세 방법- 퇴직급여를 일시금으로 받지 않고 퇴직연금으로 분할 수령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은퇴 후에도 장기간 안정적인 소득을 얻기 위해서다. 퇴직금 원금과 운용수익 구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안 찾으면 국고 환수 되는 '숨은 돈 찾기' 8가지
안 찾으면 국고 환수 되는 '숨은 돈 찾기' 8가지
안 찾으면 국고 환수 되는 '숨은 돈 찾기' 1. 건강보험료 과오납 환급금- 내가 낸 건강보험료 중에 이중으로 납부됐거나, 기타의 사유로 금액이 조정돼서 돌려받아야 하는 돈. - 본인부담금 환
zezemini.tistory.com
퇴직 연금 계좌 활용한 고수익 투자 방법
고수익 퇴직연금 계좌 투자 방법1. 미국 주식 비중 높은 게 유리- 퇴직연금 계좌는 은퇴 시점을 고려해서 장기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곳에 최소 10개 이상 상품으로 분산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세금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절에 받은 상여금/선물 세금 처리는? (0) | 2024.10.06 |
---|---|
오래 전 잊고 있던 돈 찾는 방법 (0) | 2024.10.05 |
손주 유학비도 증여세 납부 (0) | 2024.10.01 |
토지/주택 재산세 9월 넘으면 3% 가산세 (0) | 2024.09.27 |
금/은/백금/팔라듐/귀금속 투자 방법 (0) | 2024.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