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D와 RSI 조합에 거래량 지표 추가 분석 방법
- MACD와 RSI는 추세와 모멘텀을 분석하는 데 유용한 도구다. 여기에 거래량 지표를 결합하면 매매 신호와 신뢰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아래는 이 세 가지 지표를 조합해서 분석하는 방법이다.
1. 거래량 지표의 기본 역할
- 거래량은 매매 활동의 강도를 나타내며, 추세의 강도를 확인하거나 신호를 보완하는 데 유용하다.
- 일반적으로 거래량 증가는 현재 추세 강화, 거래량 감소는 추세 약화 가능성을 나타낸다.
2. MACD + RSI + 거래량 활용 전략
1) 매수 신호
- MACD: 신호선을 상향 돌파 (골든 크로스)
- RSI: 과매도 구간(30 이하)에서 반등 시작
- 거래량: 이전 거래량 평균 대비 급증하면 신호의 신뢰도 상승한다. 상승하면서 거래량이 증가 -> 강한 매수 신호
2) 매도 신호
- MACD: 신호선을 하향 돌파 (데드 크로스)
- RSI: 과매수 구간(70 이상)에 도달 후 하락
- 거래량: 증가하면서 하락 -> 강한 매도 신호, 거래량 감소 시 하락세 약화 가능성 -> 조정 국면일 가능성
3. 거래량과 MACD, RSI의 조합 활용법
1) 확증 신호
- MACD와 RSI 신호에 거래량 급증 여부를 추가 확인
- 거래량 증가가 없으면 신호의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
2) 추세 지속 여부 확인
상승 지속 확인
- MACD와 RSI가 상승 신호를 보이는 동안 거래량 증가 -> 상승 지속 가능성
하락 지속 확인
- MACD와 RSI가 하락 신호를 보이는 동안 거래량 증가 -> 하락 지속 가능성
3) 거래량 다이버전스
매수 다이버전스: 주가는 하락하지만 거래량이 증가 -> 매수 신호 가능성
매도 다이버전스: 주가는 상승하지만 거래량이 감소 -> 매도 신호 가능성
4. 구체적 매매 예시
1) 매수 사례
- 주가가 하락하면서 RSI가 과매도 구간(30 이하)에서 반등
- 동시에 MACD 히스토그램이 양(+)으로 전환되거나 MACD 골든 크로스 발생
- 거래량이 급증하며 상승 -> 강한 매수 신호
2) 매도 사례
- 주가가 상승하면서 RSI가 과매수 구간(70 이상)에 도달 후 하락
- 동시에 MACD 히스토그랭이 음(-)으로 전환되거나 MACD 데드 크로스 발생
- 거래량이 증가하며 하락 -> 강한 매도 신호
5. 장점과 한계
1) 장점
- 거래량 지표를 추가하면 MACD와 RSI 신호의 신뢰도가 향상
- 추세와 모멘텀, 매매 강도를 종합적으로 분석 가능
2) 한계
- 거래량 분석은 특정 종목이나 시장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
- 외부 이벤트 (뉴스, 루머)에 의해 거래량이 급증한 경우 신호의 신뢰도 감소 가능성 있음
관련 글: 주식 보조지표 (투자심리선/이격률/삼선 전환도/P&F차트/역 시계 곡선/CCI/RSI) 종류 총 정리
관련 글: 50일 이동평균 종목 |시장분석 지표
관련 글: 거래량 판단 유형과 보조 지표 종류에 관한 모든 것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C와 코넥스(KONEX)의 차이점 (0) | 2022.05.13 |
---|---|
어려워 보일 만한 주식 용어 총 정리 (0) | 2022.03.27 |
주식 매도 타이밍 (원칙 6가지) (0) | 2021.12.17 |
주식 초보 업종 선정 3단계 방법 (0) | 2021.12.17 |
투자자로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9가지 (0) | 2021.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