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주식공부

비상장 주식 투자, K-OTC와 코넥스(KONEX)의 차이점

by 블랙스완 미니 2022. 5. 13.

K-OTC-코넥스-KONEX-차이-점-비상장-주식-투자
KOTC와 코넥스(KONEX) 의 차이점

K-OTC(비상장 거래)와 코넥스 (KONEX) 차이점과 거래 방법

- 요즘 비상장 주식 투자에 관심 있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K-OTC와 코넥스 두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각 시장의 특징과 투자 방식이 다르므로, 어떤 기업이 상장될 수 있는지? 어떤 투자자에게 적합한지? 거래 방법과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모든 것을 비교해서 정리 했다. 

 

K-OTC (Korea Over The Counter) 시장이란?

- 비상장 기업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장외 시장

- 한국 금융 투자협회 운영 (2014년 개설)

- 중견기업, 대기업, 코스피/코스닥에서 퇴출된 기업 주식 거래 가능 

K-OTC 특징

- 시장 규모: 약 22조 원

- 상장 기업 수: 약 130개

- 일반 투자자도 거래 가능 (증권사 계좌 필요)

- 하루 등락 폭: ± 30% (변동성 큼)

- 벤처기업 투자 시, 소액주주 양도세 면제 혜택

K-OTC 거래 방법

1) 증권사 계좌 개설 -> 일반 주식 계좌에서 K-OTC 종목 거래 가능 

2) 매매 방식: 상대 매매(직접 매도/매수 주문)

3) 거래 가능 시간: 코스닥/코스피와 동일 

※ K-OTC 시장은 투자자가 비상장 대기업/중견기업의 주식을 쉽게 거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기업 정보가 적어 신중한 분석이 필요하다. 

 

코넥스(KONEX) 시장이란?

- 중소/벤처기업 전용 주식 시장 (2013년 개설, 한국거래소 운영)

-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을 준비하는 기업들이 주로 등록

- 혁신 기업 &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에 투자 가능 

코넥스의 특징

- 시장 규모: 약 6조 원

- 상장 기업 수: 약 130개

- 기관투자자 중심 (개인 투자자는 3000만 원 이상 예탁 필요)

- 하루 등락폭 ± 15%(K-OTC보다 변동성 낮음)

- 코스닥 이전 상장 시, 일부 심사 면제 혜택 

코넥스 거래 방법

1) 증권사 계좌 개설(개인 투자자는 기본 예탁금 3000만원 필요)

2) 매매 방식: 일반 주식 거래와 동일 (동시호가 주문 가능)

3)  거래 가능 시간: 코스닥/코스피와 동일

※ 코넥스는 코스닥으로 가기 전 단계의 시장으로, 유망한 중소기업을 조기에 투자할 기회가 있지만, 거래량이 적어 유동성이 낮을 수 있다. 

 

K-OTC vs 코넥스 차이점 한눈에 비교

구분 K-OTC 코넥스
운영기관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거래소
시장 개설 연도  2014년  2013년
시장 규모  약 22조원  약 6조원 
상장 기업 수  약 130개  약 130개 
주요 대상 기업 비상장 대기업/중견기업, 퇴출된 기업 중소/벤처기업(코스닥 이전 상장 목표)
거래 가능 투자자 누구나 가능  기관 투자자 중심(개인:3000만원 이상 예탁 필요)
하루 등락 폭  ± 30% (변동성 큼) ± 15% (안정적)
거래 방식 상대매매 (직접 주문) 일반 주식 거래 방식 
코스닥 이전 혜택  없음  코스닥 이전 상장 시 일부 심사 면제 

- K-OTC는 대기업/중견기업 중심, 코넥스는 중소/벤처기업 중심

- 코넥스는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하는 기업이 많다

- K-OTC는 일반 투자자도 쉽게 접근 가능, 코넥스는 기관투자자 중심 

 

투자 시 주의해야 할 점 

 

1) 유동성 문제

- 두 시장 모두 정규 시장(코스닥/코스피) 보다 거래량이 적어서 매매가 어려울 수 있다 

- 거래량이 적은 종목은 매수/매도 시 주의해야 한다 

2) 기업 정보 부족

- 정규 시장보다 공시 의무가 적어서 기업 분석이 어렵고, 정보가 제한적이다. 

- 투자 전 기업 실적과 재무제표 확인 필수

3) 투자 위험성과 가격 변동성

- K-OTC는 하루 변동폭 ±30% -> 가격이 크게 움직일 수 있다 

- 코넥스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 기업 성장 가능성에 따라 변동 가능 

4) 코스닥 이전 상장 불확실성

- 코넥스에 상장된 기업이 모두 코스닥으로 이전하는 것은 아니다. 

- 이전 상장 심사 통과 여부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장성에 따라 달라진다. 

K-OTC vs 코넥스,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 안정적인 대기업/중견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 K-OTC

- 혁신적인 중소/벤처 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 코넥스

- 코스닥 이전 상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하고 싶다면? -> 코넥스

- 누구나 쉽게 투자하고 싶다면? -> K-OTC (별도 예탁금 필요 없음) 

 

※ 투 시장 모두 투자 위험성이 있으므로, 철저한 기업 분석이 필수다 

 

 


관련 글: 기업 공개 상장 차이 (공시 확인 사항)

 

기업 공개 /상장 차이 | 공시 읽기

기업 공개와 상장 차이  기업공개 (IPO, Initial Public Offering) 투자 설명서 - 기업 공개는 소수의 창업자 및 투자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회사에서 일반 투자자에게 자신의 주식 일부를 팔거나, 새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 영업/자산 양수도 포괄적 교환과 이전 (공시 읽기)

 

주식 영업/자산 양수도 포괄적 교환과 이전 | 공시 읽기

영업/자산 양수도 / 주식 포괄적 교환 및 이전  공시 의미 - 기업이 사업을 확장하거나 구조를 재편할 때 영업/자산 양수도 및 주식 교환/이전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각각의 개념과 차이점,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공모주 청약 투자 장점과 단점 (+SPAC 스팩주)

 

스팩(SPAC) 투자와 공모주 청약 비교_원금 보장부터 차익 실현

공모주 청약(IPO) 투자 장단점- 공모주 투자는, 신규로 코스피나 코스닥에 상장하는 회사의 주식을 미리 청약해서 매입하는 투자 방식이다. 시장과 투자자의 관심을 많이 받기 때문에, 상장 후 가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