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대출 피해 사례와 예방법
불법 대출 사기, 중개수수료 편취, 유사 수신 투자 사기 등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통해 실제 사례와 예방법을 확인하세요.
1. 법정 최고 금리 초과 및 불법 추심
사례: 박 모 씨는 대출금 100만 원에 연 24% 이자율로 계약했으나, 실제 수령은 97만 원이었고 일주일 후 140만 원을 상환하라는 요구를 받았습니다. 이는 연 2,311%의 초고금리였습니다.
2. 불법 대출 광고 및 중개 수수료 편취
사례: 인터넷 블로그를 통해 햇살론을 소개받은 오 모 씨는 1,000만 원 대출 후, 중개인에게 200만 원을 수수료로 지급했습니다.
3. 유사 수신 피해
사례: B사의 코인에 6천만 원을 투자한 홍 모 씨는 일부 수익을 받은 후, B사가 잠적하며 피해를 입었습니다.
불법 대출 피해 예방 수칙
- 법정 최고금리 20% 초과 이자는 무효입니다.
- 등록 대부업자/금융회사 여부는 금융감독원 파인 (fine.fss.or.kr)에서 확인하세요.
- 채무 독촉을 당할 경우, 채무자 대리인 제도나 법률구조공단을 통해 대응하세요.
- 정부지원 대출 문자 링크는 클릭하지 말고 불법스팸대응센터에 신고하세요.
- 고수익+원금 보장 투자 제안은 의심하고, 유사수신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신고 및 지원 방법
-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 국번 없이 1332 → 3번
- 금융감독원 민원/신고 센터: www.fss.or.kr
-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자 대리인 지원: 전화 1600-5500 또는 지역 법률구조공단 방문
예시로 보는 피해 상황별 체크포인트
- 고금리 사채: 대출 시 실제 수령액보다 원리금 상환 요구가 훨씬 크면 연이율 재계산 필요
- 중개 수수료 편취: 정식 금융회사를 통해 직접 대출 진행했는지 확인
- 다단계 투자 유도: 지인 추천 시 수당 지급을 제안한다면 다단계 사기 의심
자주 묻는 질문 (FAQ)
- Q. 문자로 온 정부지원 대출, 클릭해도 되나요?
A.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대부분 불법 중개 또는 피싱 위험이 있습니다. - Q. 연 24%로 대출받았는데 실제 이자율이 다르다면?
A. 실제 수령액 기준으로 재계산 시 법정 최고금리를 초과하면 무효입니다. - Q. 이미 수수료를 지급했는데 돌려받을 수 있나요?
A. 불법 수수료는 환수 대상이며, 금감원에 신고하면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 Q. 유사수신 피해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A. 즉시 금감원 또는 수사기관에 신고하고, 집단소송 등을 검토해야 합니다.
관련 글: 잘 모르는 불법 채권추심 사례/대응 방법 9가지
알아야 지킬 수 있다! 불법 채권추심 신고하는 법
불법 채권추심 신고하는 방법 1. 변제 완료 후 추심 연락이 온 경우 - 채무 변제를 완료했음에도 장시간 지난 후 같은 채무에 대해 추심을 하는 경우대처 방법- 변제 확인서를 제시하거나 통장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전세 사기 유형 별 조심해야 할 점
조심해야 할 전세 사기 유형 총 정리 (2025)
전세 계약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사기 유형 8가지 1. 이중계약 사기관리인이 집주인 몰래 전세 계약 후 보증금을 챙기거나, 기존 세입자가 집주인 행세를 하며 이중 계약을 체결하는 유형입니다.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대출 이자 줄이는 4가지 방법
은행 대출 이자 줄이는 4가지 방법
대출 이자 깎는 4가지 방법 1. 기존 대출자는 금리인하권 활용 금리인하 요구권- 재산 증가, 소득 상승, 승진 등으로 신용점수가 올랐다면, 금융사에 대출 금리를 낮춰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세금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기 vs 회전식 예금, 금리 변동기 이자 손해 막는 예금 전략 (0) | 2022.05.02 |
---|---|
몰라서 못 찾은 내 돈! 지금 바로 환급 가능한 '숨은 돈' 8가지 (0) | 2022.04.22 |
몰랐던 금융 꿀팁, 연말 정산 + 재테크 실수 줄이는 방법 (0) | 2022.03.04 |
신용불량 막는 방법, 장기 연체자 채무 감면 받는 개인워크아웃 (0) | 2022.01.18 |
소득 vs 세액 공제, 차이와 세금 절세 전략 한 눈에 (0) | 2021.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