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볼린저 밴드 + 거래량 조합 분석 방법
- 볼린저 밴드는 주가의 변동성을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도구이고, 거래량은 매매 활동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이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하면 추세의 신뢰도를 높이고 효과적인 매매 결정을 내릴 수 있다.
1. 볼린저 밴드와 거래량의 개념
1) 볼린저 밴드
- 주가의 20일 이동평균선(MA)을 기준으로, 표준편차 범위(상단/하단 밴드)를 형성
- 밴드 폭의 확장과 수축으로 추세 전환이나 지속 여부를 파악
2) 거래량
- 특정 시간 동안의 매매 수량
- 거래량 증가는 추세 강화 신호로 작용하며, 감소는 추세 약화 가능성을 의미
2. 매매 전략
1) 밴드 폭 수축 + 거래량 급증 -> 추세 전환 가능성
- 볼린저 밴드 폭이 좁아지는 것은 시장의 변동성이 축소되었음을 의미
- 이후 거래량이 급증하면 강한 추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음
활용법
- 밴드 폭이 좁아진 상태에서 상단 밴드를 돌파 + 거래량 급증 -> 매수 신호
- 하단 밴드 이탈 + 거래량 급증 -> 매도 신호
2) 밴드 돌파와 거래량 변화의 조합
상단 밴드 돌파 + 거래량 증가
- 주가가 상단 밴드를 돌파하며 거래량이 증가하면 상승 추세 지속 가능성
- 거래량 감소 시 상승 지속 가능성이 낮고 조정 위험 증가
하단 밴드 돌파 + 거래량 증가
- 하락 추세가 강화될 가능성
- 거래량 감소 시 하락세가 약화될 가능성
3) 밴드 중심선(20일 이동평균선)과 거래량 활용
- 주가가 중심선 위에 위치하며 거래량 증가 -> 강한 상승 추세 신호
- 주가가 중심선 아래에 위치하며 거래량 증가 -> 강한 하락 추세 신호
3. 거래량 급증과 밴드 활용
1) 거래량 급증 후 밴드 돌파 여부 확인
- 거래량이 급증했음에도 상단 밴드를 돌파하지 못하면 -> 매도 신호
- 하단 밴드를 이탈하지 않으면 -> 매수 신호
2) 거래량과 밴드 폭 비교
- 밴드 폭이 넓은 상황에서 거래량 급증 -> 현재 추세 강화 신호
- 밴드 폭이 좁아진 상태에서 거래량 급증 -> 새로운 추세 시작 가능성
4. 주의점
1)가짜 신호 주의
- 거래량 급증이 외부 요인(루머, 일시적 이벤트) 때문일 경우 신호의 신뢰도가 낮음
2) 추가 지표 병행
- MACD,RSI 등의 지표와 조합해 추세 확인 신뢰도를 높임
3) 시간 프레임 선택
- 단기 변동성을 피하기 위해 중기(일봉)나 장기(주봉) 차트를 함께 분석
5. 예시
1) 상승 추세 예시
- 볼린저 밴드 상단 돌파와 함께 거래량이 크게 증가 -> 상승 추세 강화
- 거래량 증가와 함께 중심선 위에 머무르면 매수 타이밍
2) 하락 추세 예시
- 볼린저 밴드 하단 돌파와 함께 거래량이 급증 -> 하락 추세 강화
- 거래량 증가와 중심선 아래에서 머무르면 추가 하락 가능성
요약
- 볼린저 밴드와 거래량을 조합하면 추세의 신뢰도를 높이고 상승/하락의 지속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 밴드의 변동성과 거래량 변화를 동시에 고려하면 매매 결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관련 글: 10배주(텐버거) 종목 알아차리기 10가지
10배주(텐버거) 종목 알아차리기 10가지
10배 주(텐버거) 종목 알아차리기1. 주가 이변을 알아차리기 위한 정보 수집- 주가가 언제가 같은 곳에 있을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위로 아래로, 때로는 격렬하게 움직인다. 이런 '변동'이야말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피봇(pivot 2차 저항선) 지표 사용법
피봇(pivot 2차 저항선) 지표 사용법
피봇 (pivot 2차 저항선) 지표- 'Pivvot'이란 초단기 매매인 데이 트레이딩이나 스캘핑에 주로 적용된다. 투자자들이 피봇 지표의 지지와 저항을 참고해서 매매에 활용하는데, 이 경우 1분, 3분, 5분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선물 거래할 때 인사이드 데이 전략 적용 방법
주식/선물 거래할 때 인사이드 데이 전략 적용 방법
주식/선물 투자 시 인사이드 데이 전략 적용 방법- 인사이드 데이(Inside Day) 전략은 통화쌍 외에도 주식, 선물과 같은 금융상품에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단, 각 자산군마다 시장 특성과 변동성 패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에서 내재 가치가 실제 가격과 차이 나는 이유 (0) | 2022.06.29 |
---|---|
MACD와 볼린저 밴드 조합 매매 전략 (0) | 2022.06.24 |
인플레이션 시기 해외 주식 투자 방법 (0) | 2022.06.05 |
비상장 주식 투자, K-OTC와 코넥스(KONEX)의 차이점 (0) | 2022.05.13 |
어려워 보일 만한 주식 용어 총 정리 (0) | 2022.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