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서 이론가격과 실제 주가가 다른 이유
이론적으로는 내재가치에 수렴해야 할 주가가 왜 현실에서는 그렇게 움직이지 않는 걸까?
행동재무학적 관점으로 그 괴리의 원인을 정리해본다.
투자자의 심리와 시장 구조, 정보의 왜곡이 모두 영향을 미칩니다.
1. 이론가격과 실전 주가, 왜 다를까?
이론가격은 기업의 실적과 자산, 성장률 등을 토대로 산출한 내재가치 기반 적정 주가다.
하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심리와 수급이 가격을 결정한다.
- 실적 발표 후 예상보다 좋으면 투자자 매수 몰림 → 오버슈팅 현상 발생
- 시장 관심이 집중되면 군중심리 → 버블 형성 가능
장기적으로는 내재가치에 수렴하더라도 정보 비대칭, 시장 기대감, 유동성 등으로 단기 괴리는 반복된다.
2. 이익은 짧게, 손실은 길게… 심리적 편향
- 이익이 나면 심리적으로 빠르게 실현하고 싶어 함
- 손실이 나면 회복 기대심리로 보유하는 경향
이는 행동경제학의 전망이론(Prospect Theory)으로 설명된다.
손실에 대한 고통이 이익에 대한 기쁨보다 크기 때문에 손절매를 꺼리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런 판단 오류가 만드는 괴리
- 객관적 데이터보다 자기 기준(매수가 등)에 근거해 판단
- 막연한 기대감이 매도 타이밍을 흐림
3. 투자자 성향이 시장 가격을 만든다
시장 전체가 기업의 펀더멘털에만 따라 움직인다면 괴리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개인의 투자 원칙, 매도 기준, 자금 상황 등이 실전 매매에 반영되기 때문에 일시적인 괴리는 항상 존재한다.
4. 정보 비대칭과 SNS의 영향
- 개인은 고급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보하기 어렵다는 인식
- 이를 이용해 선동성 종목 추천과 매수세 유도가 자주 발생
특히 시가총액이 낮은 종목일수록 일시적 버블이 형성되기 쉬우며, 이는 이론가격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급등락을 유발한다.
실전에서는 '가치 + 심리 + 타이밍'이 함께 작동한다
주가는 단순한 숫자가 아닌, 시장의 감정과 기대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괴리는 정보의 부족이 아니라 인간의 행동에서 비롯됩니다.
시장을 '오차범위'로 이해하면 투자가 훨씬 편안해집니다.
관련 글:추세 분석과 추세선 활용법: 주가 방향 읽는 매매 전략
추세 분석과 추세선 활용법: 주가 방향 읽는 매매 전략
추세 분석과 매매 전략 추세 분석이란?- 추세 분석은 주가가 일정 기간 동안 상승, 하락, 횡보라는 특정 방향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활용한 기법이다. - 추세의 지속성: 추세는 한 번 형성되면 상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벤저민 그레이엄 투자 전략 (주식 기본적 분석법)
벤저민 그레이엄 투자 전략 (주식 기본적 분석법)
주식 기본 분석을 위해 필요한 지식- 벤저민 그레이엄의 기본적 분석법은 기업의 자산, 이익, 배당금, 부채 등 재무지표를 치밀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정확한 수치자료를 바탕으로 삼아야, 주식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기업의 내재 가치 분석 방법 4가지
기업의 내재 가치 분석 방법 4가지
기업 내재 가치 분석 핵심 4가지 1. 현금 흐름(Cach Flow) 1) 배당금 (Dividend)- 우리가 기업으로부터 얻는 직접적인 현금흐름은 배당금이다. - 조정 배당금 = 배당금 + 자사주 매입액(불규칙해서 몇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란 무엇인가? 꼭 알아야 할 원리와 리스크 정리 (0) | 2022.07.09 |
---|---|
이 종목 위험하다? 상장 폐지 전 나오는 경고 신호 9가지 (0) | 2022.07.08 |
추세 전환 신호 한 번에 읽는 법, MACD/볼린저밴드 조합 매매 방법 (0) | 2022.06.24 |
추세 전환 잡는 법, 볼린저 밴드와 거래량 조합 매매 방법 (0) | 2022.06.07 |
달러 강세/고물가 시대, 해외 주식 배당주/ETF/유럽 투자 수익 내는법 (0) | 2022.06.05 |
댓글